정읍역

덤프버전 :

정읍역
일반열차 노선 보기
목포·광주 방면
백양사[1]
17.2 ㎞ →
[1] 목포 착발 ITX-새마을은 백양사역을 무정차 통과한다.

다른 문자 표기
[ 펼치기 · 접기 ]
로마자Jeongeup
한자井邑
간체자
가나井邑(チョンウプ
주소
전라북도 정읍시 서부산업도로 305 (연지동)
관리역 등급
보통역 (2급)
(익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전북본부)
운영 기관
호남선한국철도공사[1]
호남고속선
개업일
[ 펼치기 · 접기 ]
호남선1912년 12월 1일
호남고속선2015년 4월 2일
파일:KTX BI_White, Red.svg2004년 4월 1일
파일:Untitled-1.png2016년 12월 9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2014년 5월 12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2023년 9월 1일
무궁화호1984년 1월 1일
역사 구조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4면 10선 혼합형[2] 승강장
철도거리표
호남선
정 읍
호남고속선
정 읍

한때 익산역과 이 역 사이에 전북혁신역의 건설이 추진 중이었으나 무산되었다.

파일:정읍역.jpg
현 역사(2015년 준공)
파일:정읍역 구역사.jpg
구 역사(1985년 준공, 2015년 철거)[3]

1. 개요
2. 역 정보
2.1. 열차 운행 정보
2.2. 시간표
2.2.1. 상행
2.2.2. 하행
3. 승강장
4. 일평균 이용객
5. 연계 교통
6. 역 주변 정보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호남선철도역. 전라북도 정읍시 서부산업도로 305 (연지동) 소재.

정읍역으로 개업해서 정주역(井州驛)으로 이름을 바꿨다가[4] 정주시정읍군이 합쳐지면서 다시 정읍역으로 이름을 복원하였다.

전통한옥 처마 계승, 우물을 형상화한 지붕

정읍역은 1912년 12월 1일, 호남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호남선의 역들이 100여 년의 세월 동안 새롭게 생기고 또 사라지는 과정에서 정읍시 안에만 감곡, 신태인, 초강, 정읍, 천원, 노령역이 운영되었으며, 오늘날에는 1914년 첫 개통 당시 문을 열었던 신태인역과 정읍역만이 영업을 하고 있다. 1982년 정주역으로 바뀌었다가 1995년 다시 정읍역으로 이름을 변경하였으며 2015년 호남고속철도가 개통되면서 서울과의 거리가 한층 더 가까워지게 되었다. 기존의 정읍역사는 기와를 얹은 전통한옥의 형태로 1985년부터 30여 년 동안 정읍의 상징으로 역할해 왔다. 이에 새롭게 지어진 정읍역사는 이러한 전통 한옥의 처마 형태를 계승하고 정읍(井邑) 지명의 의미를 담아 우물을 형상화한 지붕으로 완성하였으며 태양광과 지열을 활용하는 첨단역사로 탄생하게 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편집]


1977년 8월 5일부터 철도청고시 제22호에 따라서 무연탄취급을 중지했다.

호남선 KTX가 운행을 시작하면서 고속열차 선택정차역으로 지정되었고 호남고속선이 준공된 후에도 KTX가 선택정차[5]를 하게 되면서 2013년 9월 25일호남고속선 개통에 대비한 신 정읍역사 기공식이 있었다. 2층의 선상역사로 건설되며 2015년 1월 13일에 완공되었다. 완공하기 전에는 익산역이나 광주송정역처럼 기존의 자리에 역사를 재건축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역사에서 남쪽으로 조금 이동하여 신축되기 때문에 따로 임시역사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역사를 그대로 사용했다. 물론 신역사 건설이 끝난 지금은 신역사로 역무를 이전했다. 구 역사는 철거되었고 그 자리에는 동서를 관통하는 정읍역지하차도가 개설되었다. 호남고속선 개통 뒤로 정읍시뿐만 아니라 인근에 고창군, 부안군, 전라남도 장성군[6]에서도 이 역을 많이 이용한다.

이 역 타는곳 전광판이 궁서체이다.

2.1. 열차 운행 정보[편집]


호남선 모든 무궁화호와 부정기 임시열차를 제외한 ITX-새마을[7]이 정차하며 호남고속선 KTX도 하루 상, 하행 17편이 선택 정차하고 있다. 이중 상/하행 각각 2편성이 김제, 서대전 정차하는 열차이다.[8]

또한, 호남고속선 SRT 역시 하루 상행 9편, 하행 14편이 선택 정차하고 있다.[9]


2.2. 시간표[편집]



2.2.1. 상행[편집]


파일:KTX BI.svg
파일:KTX-산천 BI.svg(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5:58KTX402용산
06:21KTX-산천404행신
06:43KTX472[김제,서대전]서울
08:01KTX406용산
09:08KTX_산천408행신
10:47KTX412서울
11:55KTX416용산
13:48KTX418서울
14:42KTX420용산
15:18KTX-산천422서울
16:49KTX-산천424행신
17:33KTX-산천482[김제,서대전][월~목]
488[김제,서대전][금~일]
행신
17:52KTX-산천426용산
18:55KTX430용산
19:46KTX432용산
20:10KTX-산천4044[서대전][금~일]용산
21:10KTX436용산
21:40KTX-산천438용산

파일:SRT BI.svg (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5:33SRT602수서
06:37SRT604수서
07:19SRT652수서
08:54SRT654수서
11:03SRT656수서
14:03SRT658수서
14:58SRT660수서
16:42SRT616수서
17:40SRT662수서
18:46SRT618+9618[10]수서
20:00SRT664수서
21:20SRT666수서
22:13SRT622수서
23:23SRT668수서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6:28무궁화1462서대전
07:08ITX-새마을1072용산
07:59무궁화1472익산
08:38무궁화1402용산
10:05ITX-새마을1074용산
11:46ITX-새마을1062용산
12:22ITX-마음1162용산
13:01무궁화1422용산
14:28ITX-새마을1076용산
15:51무궁화1424용산
17:09ITX-마음1164용산
17:49무궁화1404용산
18:54ITX-새마을1064용산
19:27ITX-새마을1078용산
20:11무궁화1470익산
22:19무궁화1464서대전


2.2.2. 하행[편집]


파일:KTX BI.svg
파일:KTX-산천 BI.svg(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6:47KTX_산천401목포
07:26KTX-산천403목포
08:08KTX405목포
09:22KTX_산천407목포
09:53KTX409목포
12:13KTX413목포
12:20KTX-산천475[장성]목포
14:19KTX-산천417목포
15:03KTX-산천419+9419[월~목]
419[금~일]
목포
16:26KTX421목포
17:05KTX-산천4041[금~일]목포
17:14KTX423목포
18:23KTX-산천427목포
19:37KTX481[장성]목포
20:10KTX431광주송정
21:21KTX433목포
22:11KTX-산천435목포
00:02KTX439광주송정

파일:SRT BI.svg (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6:30SRT651목포
08:17SRT653목포
10:10SRT605광주송정
12:23SRT657목포
15:37SRT611광주송정
18:38SRT663목포
20:49SRT665목포
21:09SRT617광주송정
23:47SRT619+9619[11]광주송정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7:56무궁화1461광주
10:18무궁화1421광주
11:22무궁화1401목포
11:46ITX-새마을1071광주
13:01ITX-마음1161목포
15:26ITX-새마을1061목포
16:57ITX-새마을1073광주
17:08무궁화1473목포
18:35ITX-새마을1075광주
19:08무궁화1469목포
20:08무궁화1423광주
20:28ITX-마음1163목포
20:49무궁화1403목포
21:30무궁화1463광주
22:31ITX-새마을1063목포
23:26ITX-새마을1077광주

3. 승강장[편집]


익산·신태인
876541
광주송정·백양사

1호남고속선파일:KTX BI.svg·파일:SRT BI.svg광주송정·나주·목포 방면
4익산·용산·수서 방면
5·6호남선파일:KTX BI.svg·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무궁화호|

무궁화호
]]
광주·나주·목포 방면
7·8익산·서대전·용산 방면

KTX 선택정차역으로서 경부고속선의 역과 동일하게 고속열차 통과선로가 만들어진다. 도상도 KTX 타는 곳은 콘크리트 도상으로 건설되었고 일반열차 타는 곳은 자갈 도상으로 건설되었다. 호남고속선호남선을 연결하는 선로가 있어 구조상 KTX, SRT가 이 역에서 일반선로로 옮겨가 장성역, 광주역도 경유할 수는 있다. 하지만 구내에서 평면교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아직까지 여객열차가 이 선로를 이용하여 운행하긴 쉽지 않아 보인다. 비상상황이거나 시설물 보수 철도차량 등이 진출입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듯하다.

2019년 9월 16일부터 김제역 경유 KTX가 운행한다. 고속선로를 이용하여 정읍역에서 일반선로로 옮겨 운행할 것이란 추측도 있었지만, 서대전역, 김제역 경유로 운행한다. 호남고속선 개통 전의 KTX 편성이 부활하였으며, 2019년 9월 16일부터 일반열차 승강장에도 KTX가 정차하는 모습을 하루 4회 볼 수 있다. 일반열차 승강장에 정차하는 KTX는 요금이 저렴하지만 호남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상당히 걸리므로 참고하여 이용하길 바람.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파일:KTX BI.svg파일:SRT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총합비고
2004년526명371명1,909명2,806명[12]
2005년889명325명1,868명3,082명
2006년1,054명284명1,728명3,066명
2007년1,085명309명1,626명3,020명
2008년1,091명361명1,535명2,987명
2009년1,171명387명1,441명2,999명
2010년1,290명401명1,440명3,131명
2011년1,298명355명1,588명3,241명
2012년1,155명351명1,566명3,072명
2013년1,142명342명1,616명3,100명
2014년1,097명387명1,503명2,987명
2015년1,376명474명1,386명3,236명
2016년1,670명471명500명1,130명3,771명[13]
2017년1,452명579명 526명1,055명3,612명
2018년1,588명677명487명1,067명3,819명
2019년1,661명730명489명1,111명3,991명
2020년1,101명589명295명654명2,639명
2021년1,292명664명300명661명2,917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1] 한국철도공사에서 SRT 매표업무를 위탁계약에 따라 함께 처리한다.[2] 3섬식+단선[3] 진주역과 형태가 유사하다.[4] 현 정읍시 동 지역의 전신인 정읍면이 읍으로 승격할 당시 읍자가 두 번 연속되어 발음하기 불편하다는 이유로 정주읍으로 이름을 바꿨는데 역 이름도 이를 따라갔다.[5] 본래 계획으로는 익산역광주송정역에만 정차할 예정이었으나 지역 주민의 반발로 공주역과 함께 정차역으로 선정되었는데 정읍역과 다르게 공주역 같은 경우는 더 이상 설명은 생략한다.[6] 생활권은 광주권이지만 장성역KTX 운행 횟수가 왕복 2편으로 그리 많지 않고 기존 호남선을 타고 서대전역 경유해서 가는 저속 KTX이기 때문에 용산, 수서 방향으로 가기 위해서는 광주송정역이나 정읍역으로 와야 하는데, 목적지가 서울, 수도권일 경우 광주송정역으로 간다면 일반열차나 버스를 이용해 남쪽으로 역주행해서 가야 해서 시간과 돈이 모두 낭비되므로, 용산행 무궁화호ITX-새마을을 이용하여 이 역에서 내려 KTXSRT로 환승하는 수요도 어느 정도 있다. 특히 장성군상무대가 있어 군인 수요도 꽤 있다.[7] 부정기 임시열차는 익산 - 광주송정 구간과 광주송정 - 목포 구간을 무정차 운행한다.[8] 김제 경유 KTX는 정읍역에 필수정차한다.[9] 목포에서 출발한 SRT 열차는 필수 정차한다.[김제,서대전] A B C 김제,서대전 경유[월~목] A B 월~목에만 운행한다.[금~일] A B C D 금~일에만 운행한다.[서대전] 서대전 경유[10] 9618열차는 목,금요일에만 운행한다.[장성] A B 장성 경유[11] 9619열차는 일요일에만 운행한다.[12] KTX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4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27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3] SRT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12월 9일부터 12월 31일까지 2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5. 연계 교통[편집]


걸어서 5분 거리에 정읍종합버스터미널이 있다. 또한 정읍 터미널 못가서 약국 앞에 시내버스 정류장이 있는데 정읍 기점 노선의 시내버스 거의 전부가 여기에 정차한다. 덕천방향을 운행하는 X20번대 버스는 역 앞을 경유하지 않는다. 약 500m 거리에 있는 잔다리목 사거리 정류장에는 정읍시 시내버스 순환노선을 제외한 전 노선이 정차한다.

또한 역을 나와서 오른쪽으로 가면 205번(애당리 방면), 215번(부안군 평교 방면) 등을 탈 수 있다.(단 시내방향이 아니다)

6. 역 주변 정보[편집]


역 주변 광장에는 우리 문학사에서 가장 오래된 한글로 쓰인 가요 정읍사의 주인공인 망부의 석상(정읍사 망부상)과 동학혁명농민군의 동상이 있다. 그런데 옛 역사 광장 기준으로 세워진 거라 현 위치가 영 좋지 않다.

내장산 국립공원 단풍놀이가 한창일 때 찾으면 좋은 역이다. 내장산은 백양사역이 더 가깝지만 왕복 11회 무궁화호 정차 뿐이고, 연계교통도 부실하다. 그러나 이 역은 무궁화호, ITX-새마을 필수 정차, KTX, SRT 선택 정차로 열차수가 3배 이상 많은 정읍역을 이용해 가는 사람들이 훨씬 많다. 또한 버스터미널도 걸어서 5분 내에 있기에 내장산, 백양사가 목적지라면 백양사역 보단 이 역을 이용할 것을 권장한다.


7.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1:21:23에 나무위키 정읍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