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정씨

덤프버전 :


한국의 성씨
[ 펼치기 · 접기 ]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펼치기 · 접기 ]
사로 6촌신라 6부성씨시조
알천 양산촌급량부이씨알평
돌산 고허촌사량부최씨소벌도리
취산 진지촌본피부정씨지백호
무산 대수촌점량부손씨구례마
금산 가리촌한기부배씨지타
명활산 고야촌습비부설씨호진
삼국사기 기준.# 삼국유사에서는 돌산 고허촌(사량부) 소벌도리를 정씨로 취산 진지촌(본피부) 지백호를 최씨로 기록했다. 또한 6촌의 순서도 셋째가 무산 대수촌(점량부), 넷째가 취산 진지촌(본피부)이라고 기록했다.#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개국공신
[ 펼치기 · 접기 ]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좌명개국공신 (1등)
김사형남 은1,2남 재배극렴
오몽을1이 제1, 2이지란이 화
장사길정도전1, 3정 총정 탁
정희계조 박4조인옥조 준
김인찬5이방간6, 7이방원6이방의6
협찬개국공신 (2등)
박 포8유 창윤 호이민도
장 담9정용수10조 기조 반
조영규조 온홍길민조 견11
황희석12
익대개국공신 (3등)
고 여김 균김 로손흥종13
심효생1안경공오사충유원정
이 근1이백유이 부이 서
이 직14장지화1함부림황거정13
민여익11임언충11장사정11, 15조영무11
한상경11한 충11
1 1409년 1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2 1421년 태종 때 복권
3 1865년 고종 때 복권
4 1409년 친척의 아들을 정종의 아들로 속인 혐의로 인한 제명
5 1392년 9월 16일 태조에 의해 책록
6 1398년 2월 15일 정종에 의해 책록
7 1416년 2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8 1400년 2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9 1422년 2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10 1418년 조사의의 난으로 인한 제명, 1437년 세종 때 복권
11 1392년 9월 27일 태조에 의해 책록
12 1392년 11월 19일 태조에 의해 책록
13 1411년 이숭인, 이종학을 죽인 혐의로 인한 제명
14 1415년 민무회, 민무휼의 옥으로 인한 제명, 1422년 세종 때 복권
15 1417년 회안군의 첩과 간통한 혐의로 인한 제명


신라 6성
淸州 鄭氏
청주 정씨
관향충청북도 청주시
비조지백호(智伯虎)
시조정극경(鄭克卿)
중시조정오(鄭䫨), 정포(鄭鋪)
집성촌대구광역시 수성구
경기도 파주시
충청남도 천안시
전라남도 광양시
경상북도 문경시·성주군·안동시·영주시·예천군
황해도 옹진군
인구46,419명(2015년)

1. 개요
2. 계보와 시조 및 역사
3. 규모와 집성촌
4. 설헌파
5. 설곡파
6. 항렬도
7. 인물
7.1. 근대 이전
7.1.1. 고려
7.1.2. 조선
7.2. 근·현대
8. 여담


1. 개요[편집]


청주 정씨[1]는 조선 1등 개국좌명공신 정탁(-擢) 이래 상신(相臣)[2] 2명, 청백리 4명, 공신 5명, 문과급제자 19명을 배출했다. 청주 정씨 재실은 유형문화재 제315호로 지정되어 있다.


2. 계보와 시조 및 역사[편집]


청주 정씨(淸州 鄭氏)는 한국의 성씨 중 하나로서 시조는 같으나 서로 다른 두 중시조를 이어오고 있다.

청주정씨(淸州鄭氏) 본관(本貫)인 서원(西原)은 청주(淸州)의 신라때 옛 이름이고, 청주정씨(鄭氏)는 신라 때부터 서원경(西原景)에 살고 있던 명망 있던 씨족(氏族)이었을 것이다라고 추측된다. 그러나 이를 고증할 문서는 없으며, 고려 중엽 이후로부터 세상에 처음 나타나는데 고려 의종 때 보승별장을 지낸 정극경(鄭克卿)을 시조로 하였다. 사후중랑장(中郞將)으로 증직되었다.

시조 정극경(鄭克卿)은 고려시대의 인종의종 때에 2군 6위 중 흥위위 혹은 좌우위에 소속되어[3] 정7품 보승별장[4]을 지냈는데 사후에, 후손이 높은 벼슬을 하여 정5품 중랑장(中郞將)[5]으로 증직되었다.

정극경의 장남 계열 후손인 손자 고려 고종 때 3세손 대리(臺吏) 서경분사(西京分司) 겸 섭중랑장(攝中郞將) 대장군 정의(鄭顗)이 있고, 그의 아들 4세손 정현(鄭儇)은 감찰어사(監察御史)가 되고,

5세손 판선공(判繕工) 정해(鄭瑎)가 고려 원종 때 문과에 합격하여 광정대부(匡靖大夫)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 응양군(鷹揚軍) 상호군(上護軍)에 올랐다. 정해(鄭瑎)의 장남인 정책(鄭幘)이 통헌대부(通憲大夫) 판선공사(判繕工事)지내고 청하군(淸河君)에 봉해졌다. 정해(鄭瑎)는 부령 김씨(扶寧金氏) 김구(金坵)의 맏딸 및 남양 홍씨(南陽 洪氏) 당홍계 (唐洪系) 홍규(洪奎)의 둘째 딸과 결혼했는데, 부령김씨(또는 부안 김씨) 딸과는 자식이 없고, 남양홍씨 둘째 딸에서 정척(鄭㥽 또는 鄭幘)과 정이(鄭怡) 두 아들을 두었다.

6세손 응양군 상호군(鷹楊軍上護軍) 정책(鄭㥽 또는 鄭幘)의 장남 정오(鄭䫨)가 공민왕 때 1등공신으로 첨의평리(僉議評理)에 오르며 서원군(西原君)에 봉해졌고. 차남 정포(鄭誧)가 있다.


3. 규모와 집성촌[편집]


2019년 기준 청주정씨는 전국 약 1만 2천여 가구, 4만여 명 정도의 규모로 추산된다. 전체 성씨 가운데에서는 150위권 정도에 속하는 규모로 비교적 적은 편에 속한다.

대표적인 집성촌은 아래와 같다.

  • 경기도 파주시 진동면 하포리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매주리
  • 전라남도 광양시 다압면 고사리
  • 대구광역시 수성구 노변동[6]
  •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성저리
  • 경상북도 문경시 호계면 막곡리·우로리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칠봉리 유촌[7]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수성리 갖말[8]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신양리[9]
  •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단호리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소천리
  •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고평리
  •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
  • 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
  • 충청북도 청주시 우암동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 황해도 옹진군 봉치면 장수리
  • 황해도 옹진군 용연면 수계리

4. 설헌파[편집]


그 후 후손들은 2의 파계로 나누어지게 되었는데, 여말선초 무렵 고려 충신불사이군(忠臣不事二君) 설헌파 문극공 정오(鄭䫨)가 있고, 정오의 후손인 삼형제 인노, 훈노, 원로의 중 원로의 후손인 약포 정탁(鄭琢)[10] 등이 있다.


5. 설곡파[편집]


새로운 왕조에 충성을 한 설곡파 정포(鄭誧)의 후손인 호성공신 1등공신 정곤수(鄭崑壽), 한강 정구(鄭逑) 정사성(鄭士誠), 정사공(鄭士恭), 정사신(鄭士信) 등이 있다.


6. 항렬도[편집]


#사라짐
25세◯규(逵)◯락(洛)◯영(永)
26세◯흠(欽)주(柱)◯◯화(和)
27세승(承)◯◯섭(燮)◯용(容)
28세◯원(元)재(載)◯재(在)◯
29세◯의(義)사(思)◯◯호(鎬)◯환(煥)◯진(鎭)
30세◯윤(潤)◯원(源)◯수(洙)◯순(淳)
31세인(寅)◯진(震)◯◯식(植)수(樹)◯동(棟)◯
32세日 부수心 부수헌(憲)◯◯창(暢)◯항(恒)
33세건(建)◯교(敎)◯박(珀)◯용(墉)◯
34세◯발(發)◯회(會)◯록(錄)
35세도(道)◯우(遇)◯홍(洪)◯


7. 인물[편집]



7.1. 근대 이전[편집]



7.1.1. 고려[편집]



7.1.2. 조선[편집]



7.2. 근·현대[편집]




8. 여담[편집]


  • 청주정씨의 시조인 정극경의 자는 경주 정씨 및 외 정씨에 克 자 돌림자가 존재하여 경주정씨의 분파가 아닌가 하고 추측되기도 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22:21:28에 나무위키 청주 정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오늘날 현존하는 정씨의 본관은 30여본 정도이다. 우리나라 정씨의 원조는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전하는 신라의 6촌중 하나인 진지촌(珍支村) 촌장인 지백호(智伯虎)이다. 정씨의 각 본관별 시조들은 모두 지백호의 원손(遠孫)들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념이지만 그 혈연적 계보는 상고할 수 없다. 어쨌든 정씨는 일반적으로 같은 혈손으로 그중 경주 정씨(慶州鄭氏)가 종통(宗統)이라는 데에는 별로 이론이 없는 것 같다. 정씨는 신라 9성중의 하나로 역사적으로 명벌의 지위를 누려 왔으며, 특히 조선조에 이르러서는 청주 정씨(淸州鄭氏)를 비롯해 동래 정씨(東萊鄭氏)·연일 정씨(延日鄭氏)·온양 정씨(溫陽鄭氏)·진주 정씨(晋州鄭氏)·봉화 정씨(奉化鄭氏)·하동 정씨(河東鄭氏) 등이 상당한 세력을 떨쳤다.[2] 정승을 뜻하는 말로 영의정, 우의정, 좌의정을 이르는 말[3] 그렇게 추정된다.[4] 오늘날의 중위[5] 오늘날의 소령[6] 아프리카 TV BJ 퀸가현이 추석 때 제사를 지냈던 재실이 이곳에 있다.[7] 조선 중기의 문신 한강 정구가 이 마을 출신이다.[8] 독립유공자 정순영·정재기·정종호가 이 마을 출신이다.[9] 정양호 전 조달청장이 이 마을 출신이다.[10] 호는 약포(藥圃: 1526~1605)이며 여러 판서와 우의정, 좌의정, 정1품 영예직인 서원부원군에 오른 조선 중기 문신이다. 이 분은 이순신 장군이 누명으로 옥에 갇혔을 때 그를 구하기 위한 신구차(伸救箚: 목숨을 구하기 위해 아뢰는 상소문)를 올려 이순신 장군을 살려 냈고, 의병장 김덕령을 변호하고, 명나라 장수 두사충을 구명한 이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