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풍산역 (r14판)

편집일시 :

河南豊山 / Hanam Pungsan
하남풍산
파일:Seoulmetro5_icon.svg


다국어 표기
영어Hanam Pungsan
한자河南豊山
중국어河南丰山
일본어ハナンプンサン
주소
경기도 하남시 덕풍서로 지하 50 (덕풍동 727-3번지)
운영 기관
5호선파일:서울교통공사_Logo.png
5호선2020년 8월 8일
하남선
노선거리표
하남선
하남풍산

파일:하남풍산역6번.jpg
하남풍산역 6번 출구

파일:하남풍산역 역명판.jpg
하남풍산역 역명판

1. 개요
2. 역 정보
2.1. 역명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기타
7. 연계 교통




1. 개요[편집]


파일:하남풍산역.jpg
하남풍산 역사

수도권 전철 5호선 556번, 경기도 하남시 덕풍서로 지하 50 (덕풍동 727-3번지) 소재.


2. 역 정보[편집]


역 안내도[1]

하남 풍산지구 한복판에 지어졌으며, 상대식 승강장이다.

출근시간대 방화역 방향으로 이 역부터 입석이 발생한다.[2]

파일:20200811_171623.jpg
1/2번 출구 부분에 썬큰광장이 지어졌다. 내부 구조를 보아 상가가 들어설 예정인 것 같다.

2020년 8월 8일부터 2021년 3월 26일까지 약 7개월 동안 하남선 1단계 구간의 종착역 임무를 담당했었다. 전 구간 개통 이후에는 중간역으로 전환되었으며, 더 이상 종착역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미사역 ~ 하남검단산역 구간은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지만, 경기도하남시 소유의 구간이기 때문에[3] 이 역에서는 서울 전용 정기권의 사용이 불가능하다.[4]


2.1. 역명[편집]


역명은 역 주변의 택지개발지구 이름인 풍산지구에서 유래했다. 하남시에서는 이 역의 가칭인 '풍산역'이 경의중앙선 풍산역과 겹치기 때문에, 다른 역명으로 변경할 것임을 밝혔다. 두 '풍산역' 간의 직선거리만 약 40㎞쯤 된다.

법정동이 덕풍동이고 행정동도 덕풍3동이지만, 지역 주민들은 이곳을 풍산지구라고 하지 덕풍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하남시민들도 전통적으로 덕풍동이라 하면 덕풍1~2동을 떠올리기도 하고, 3동은 생활권도 1~2동과는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실제로 역명 선정에서 덕풍이 가장 낮은 지지도를 보였다. 결국 하남시 역명 확정고시에서 '하남풍산역'으로 확정되었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 나룰도서관

  • 덕풍119 안전센터

  • 덕풍3동 주민센터

  • 덕풍지구대

  • 빌리브하남 오피스텔(21년 완공예정)

  • 시각공원(풍산지구 근린공원) - 호수를 포함한 주변 경치가 썩 괜찮은 공원으로, 내부에 놀이터가 있으며 여름엔 물놀이장으로 이용한다. 공원을 가로지르면 KN몰빌딩을 포함한 상가단지가 나온다. 상가건물 오피스텔과 하술하는 아파트단지 주민들이 애용하고 있다.

  • 이마트 하남점

  • 풍산지구 아파트단지
    • 꽃뫼마을휴먼시아 1,2단지 아파트
    • 삼부르네상스 아파트
    • 아이파크 5단지 아파트 - (아이파크 1단지는 약 800m 떨어진 동남쪽에 있다)
    • 우남퍼스트빌리젠트 아파트

  • 하남농협
  • 1번 출구: 덕풍119안전센터, 덕풍3동행정복지센터, 이마트하남점
  • 2번 출구: 하남시립나룰도서관, 풍산지구3호근린공원
  • 3번 출구: 덕풍지구대, 나룰초등학교
  • 4번 출구: 하남시선거관리위원회
  • 5번 출구: 풍산고등학교, 풍산지구4호어린이공원
  • 6번 출구: 덕풍중학교, 풍산지구2호근린공원
  • 7번 출구: 하남풍산초등학교, 풍산지구1호근린공원
  • 8번 출구: 미사경정공원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Seoulmetro5_icon.svg비고
2020년7,319명
2021년7,147명

  • 2020년 자료는 개통일인 8월 8일부터 12월 31일까지 14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2021년 3월 27일 2단계 개통 이후 중간정차역이 되면서 이용객이 살짝 감소했다.


5. 승강장[편집]


파일:FDFBF4BC-D94E-47B6-8D7A-B60935B0F75C.jpg
360도 파노라마 보기
미사
하남시청역


한때 이 역과 미사역 스크린도어는 다른 5678호선 스크린도어와는 달리 개폐될 때 매우 낮은 톤의 목소리로 "안전문이 열립니다(닫힙니다)"라고만 나왔었으나, 2021년 4월 경 다른 5678호선 스크린도어의 소리로 개정되었다.


6. 기타[편집]


하남선 2단계 구간 개통 전까지 하남검단산 방면 스크린도어에 쓰여진 하남시청역을 A4용지로 땜질했었으며 승강장에서 대합실로 올라가는 에스컬레이터 옆에 있던 '하남시청, 하남검단산' 표지판도 회색 A4용지로 가렸었다.


7. 연계 교통[편집]




[1] 하남선 2단계 개통 이전에 만들어진 안내도이기 때문에 하남시청역 방면 표기가 빠져 있다.[2] 주말, 평시에는 미사역에서 입석이 발생하는 게 대부분이다.[3] 서울 지하철 7호선 까치울역~상동역 구간이 부천시 소유이고, 삼산체육관역~부평구청역인천시 소유이지만 2021년까지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했던 것과 것과 같은 사례이다.[4] 따라서 서울 전용 정기권을 태그하면 승차가 불가능하고, 하차 시 1회 추가 차감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