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 버지

덤프버전 :

파일:hardberge.jpg
이름ハードバージ
Hard Berge
출생1974년 3월 15일
죽음1987년 7월 (14세)
성별수컷
털색밤색 (栗毛, 쿠리게)
아비파버지 (Faberge)
어미로치 (ロツチ)
외조부다이 하드 (Die Hard)
생산자후지와라 목장
마주요시미네 카즈노리
조교사이토 유지 (릿토)
성적11전 3승 (3-2-1-7)
총상금8599만 3200엔
주요
우승
팔대
경주
사츠키상 (1977)
중상마이니치배 (1977)
상세 정보파일:netkeiba_logo.png | JBIS

1. 개요
2. 혈통
3. 생애
4. 기타
5.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일본의 경주마.


2. 혈통[편집]


1대2대3대
파버지
Faberge
1961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린슬리 기프트
Princely Gift
1951 파일:영국 국기.svg
나스룰라
Nasrullah
블루 젬
Blue Gem
스프링 오펜시브
Spring Offensive
1943 파일:영국 국기.svg
레전드 오프 프랑스
Legend of France
바티카
Batika
로치
ロツチ
1969
다이 하드
Die Hard
1957 파일:영국 국기.svg
네버 새이 다이
Never Say Die
믹스드 블레싱
Mixed Blessing
스타 로치
スターロツチ
1957
해로웨이
Harroway
코로나
コロナ
* Nasrullah 3×4 18.75%
* Pharos=Fairway 5×5×4 12.5%
* Dark Legend 4×5 9.375%
* Blenheim S5×S4 9.375%
* Blandford M5×M5 6.25%

부마 파버지(Faberge)는 프랑스산 말로 현역 11전 3승을 기록하고 아일랜드에서 종마로 활동하면서 1973년 개선문상 우승마 라인골드(Rheingold)등을 배출했고 1971년 부터 일본에서 종마로 공용되었다. 대표 자마에 하드 버지와 1982년 엘리자베스 여왕배 우승마 빅토리아 크라운 등이 있고 1990년 일본 리딩 브루드메어 사이어에 올랐다. 주요 BMS 산구마로는 샤다이 카구라, 오사이치 조지등이 있다.

모마 로치는 13전 3승(중상 0승)의 평범한 말이지만 외조모 스타 로치는 1960년 오크스, 아리마 기념 우승마이자 모계 후손으로 사쿠라 유타카 오, 사쿠라 스타 오, 위닝 티켓등을 배출한 명암계다.


3. 생애[편집]


하드 버지는 어린 시절에는 마체가 작고 볼품없어 목장을 방문한 조교사들의 눈길을 끌지 못했지만 방목 때 낮게 가라앉는 폼으로 작은 몸이 느껴지지 않는 움직임을 보였고 모마 로치와 외조모 스타 로치의 승부근성을 물려받았다. 경주연령이 된 3세(현 2세)에 목장과 친교가 깊었던 조교사 이토 유지의 마방에 들어갔다.

1976년 7월 데뷔해 그 해 6경기를 뛰었지만 승리를 올리지 못하고 이듬해 클래식 시즌의 1월 첫 경기에서 겨우 미승리전을 탈출했지만 다음 조건전 경기에서 다시 5착으로 패배했다. 좀처럼 이길 수 없는 하드 버지는 마이니치배에서 중상 첫 도전을 하게 된다. 마이니치배는 이미 동상최종편(東上最終便 - 더비 출주를 건 마지막 싸움의 의미)이라고 불리우며 당시 클래식 유력마는 이미 야요이상 혹은 스프링 스테이크스에 출주하고 있어 출주마의 레벨은 자연스럽게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럼에도 하드 버지는 12마리 중 10번 인기로 낮은 평가였지만 말각을 발휘해 단번에 첫 중상승리를 챙겼다. 이 승리로 상금을 쌓아 하드 버지는 사츠키상에 나갈 수 있게 되었는데 이 해 클래식 전선은 세대 최강인 마루젠스키가 지입마라서 출전이 불가했기에 예상이 안되는 혼전 상태였다.

사츠키상에서 천재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기수 후쿠나가 요이치가 기승하게 되었지만 8번 인기를 받았다. 데뷔 때 450kg이었던 마체중이 430kg까지 떨어진 상태였고 마방 스텝들은 경주에 비관적이었지만 조교사 이토 유지는 마주에게 자신감을 보이며 미국식으로 (조교를)깔끔하게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경주에서는 럭키 룰러가 빠른 페이스로 마군을 선도하고 하드 버지는 후방에 위치했다. 마지막 직선에서 13번 인기의 애로우 뱅가드가 안쪽을 파고들며 럭키 룰러와 선두 경쟁에 나섰다. 이 때 후쿠나가 요이치와 하드 버지가 더 안쪽을 공략하며 찔러 들어 두 말을 단번에 제쳐내고 2.5 마신 차 승리를 거두었다. 이 경기는 후쿠나가 요이치의 명기승 경기 중에서도 손꼽히는 경기로 당시에도 경마 관계자들의 극찬을 받았으며 아들인 후쿠나가 유이치도 아버지의 기승 중 가장 좋아하는 경기로 꼽았다. 또한 2착의 럭키 룰러에는 이토 마사노리, 3착 애로우 뱅가드에는 시바타 마사토가 기승하고 있어 마사공원 꽃의 15기생이라 불리는 동기 기수들이 1~3위를 기록했다.

다음 경주인 더비에서도 조교사 이토 유지는 후쿠나가 요이치에게 기승을 의뢰했다. 그러나 후쿠나가는 호리타 엔젤(ホリタエンジェル)에 선약이 있다며 거절했다. 그 때까지 호리타 엔젤은 4전 3승에 NHK배 2착을 기록한 말로 전경기에 후쿠나가가 기승했으며 조건전에 나갔을 때 이 경기에서 승리하면 더비에 타고 나가겠다고 후쿠나가가 호리타 엔젤의 조교사 나가오 겐타로에게 먼저 제의했었다고 한다. 이에 이토 유지는 "요이치, 만약 이 말을 타지 않으면 평생 더비를 잡을 수 없을지도 모르겠어" 라는 농담으로 하드 버지에 기승할 것을 촉구했지만 후쿠나가의 의지는 변하지 않았다. 결국 하드 버지는 타케 쿠니히코가 기승하게 되며 1번 인기로 더비에 출주, 2번 인기는 호리타 엔젤이 되었다. 경주가 시작되고 하드 버지는 제 1,2 코너로 2번 앞이 막히며 후방에 위치했다. 타케 쿠니히코의 능숙한 기승으로 마지막 직선 중반 바깥 코스로 추격했지만 선행한 럭키 룰러를 쫒지 못하고 머리 차 2착을 기록했다. 경기 후 하드 버지는 제대로 걸을 수 없을 정도로 지쳐 이를 본 구무원과 조교조수도 감동해 눈물을 흘렸고 타케 쿠니히코도 기수 생활동안 유일한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한편 후쿠나가 요이치 기승의 호리타 엔젤은 15착으로 대패했다. 후쿠나가는 "우승한 럭키 룰러의 이토군과는 마사공원 동기생입니다. 동기생의 활약은 저에게 좋은 자극이 됩니다. 물론 앞으로도 더비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하드 버지를 타지 못한 건 유감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라고 인터뷰했다. 그러나 후쿠나가 요이치는 2년 후인 1979년 마이니치배에서 메리 조이(マリージョーイ)를 타다 낙마로 결국 더비 우승을 못한 채로 은퇴했다. 호리타 엔젤의 조교사 나가오 겐타로는 "호리타 엔젤은 NHK배 때가 피크로 더비에서는 상태가 떨어지고 있었다. 이럴 줄 알았으면 요이치가 하드 버지에 그대로 타는 게 좋았다. 나쁜 일을 했다."[1] 라고 술회하고 있다.

하드 버지는 일본 더비 후 굴건염을 발병, 재기를 도모해 치료에 전념했지만 결국 복귀하지 못하고 1980년에 은퇴를 결정했다. 은퇴 후 홋카이도의 몬베츠 스탤리온 센터에서 종마가 되었지만 지방 중상마 하나를 배출하는 데 그쳤고 1986년 종마를 은퇴해 홋카이도 이시카리 승마 클럽에서 인수했지만 승마 적성이 없어 3개월 만인 1987년 후쿠이시의 한 관광회사에 양도되었다. 양도 후에는 관광객을 태운 수레를 끌거나 마술 쇼 등에 나섰고 3월~5월에는 시가현 히코네시의 히코네성에서 열린 세계고성박람회의 중세 기사의 기마전을 컨셉으로 한 이벤트에 나와 갑옷 포함 90kg 이상의 무게를 짊어지고 3주간 쉬지 않고 참가를 계속한 후에 급격하게 쇠약해져갔다. 그 해 7월 도엔승마클럽의 목장에서 방목 중 일사병으로 죽었다. 하드 버지의 비참한 말로가 신문기사로 다루어지면서 명마의 여생을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고 경주마의 양로시설과 제도(공로마연양전시사업)가 만들어지는 계기 중 하나가 되었다.


4. 기타[편집]


  • 전형제 동생인 마치카네 이와시미즈(マチカネイワシミズ, 1983)는 5전 3승을 기록하고 부상으로 일찍 은퇴했는데 하드 버지의 전형제라는 점 때문에 종마가 되었다. 종부료는 20만 엔으로 설정하려 했지만 반응이 미적지근하자 마주 지인인 경마평론가 시라이 토오루(白井 透)의 제안을 수용해 무료로 활동했다. 특출난 성적을 거둔 말은 배출하지 못했지만 이 종부료 무료의 설정이 일본 경마 게임 더비 스탤리온에 반영되자 더비 스탤리온 3에서 오오시마 나기사(オオシマナギサ)와의 배합이 게임 시작 직후 파산 상황을 탈출하는 간편하고 강력한 배합으로 널리 알려져있다.


5.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경기명등급트랙인기착순기수1착마
(2착마)
1976년 (3세, 현 2세)
7.24삿포로신마더트 1000m38착유쿠보 사치오마스에이 오
8.7삿포로신마더트 1000m34착쿄에이 스왈로
8.22하코다테미출주 미승리잔디 1000m94착하베루 하프트
10.23한신미출주 미승리잔디 1200m취소우치다 쿠니오포워드 러너
11.14교토미출주 미승리더트 1200m57착타케다 사토루오토미 실버
11.28교토미출주 미승리잔디 1600m42착우치다 쿠니오니시마루 오자
12.12한신미출주 미승리잔디 1600m23착더비 보이
1977년 (4세, 현 3세)
1.23교토미출주 미승리더트 1200m21착우치다 쿠니오(벨 노 퀸)
2.6교토크로커스 상300만 이하잔디 1400m45착파인 소브린
3.6한신마이니치배중상잔디 1600m101착(케이 츠나미)
4.17나카야마사츠키상팔대경주잔디 2000m81착후쿠나가 요이치(럭키 룰러)
5.29도쿄도쿄 우준 (일본 더비)팔대경주잔디 2400m12착타케 쿠니히코럭키 룰러
[1] 호리타 엔젤은 더비 이후 그 해 7전(후쿠나가 요이치 4번 기승)에 승리가 없었고 이 후 후쿠나가는 기승하지 않았으며 현역 통산 29전 6승(중상 0승)으로 조건전 5승을 기록했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사츠키상|{{{#fff 사츠키상

(팔대경주)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39
록 파크
1940
월드 마인
1941
세인트 라이트 >

1942
아르바이트

1943
다이엘렉

1944
쿠리 야마토 ~~

1945 · 1946
없음~~

1947
토키츠카제암컷

1948
히데 히카리암컷

1949
토사 미도리
1950
쿠모노 하나
1951
토키노 미노루 >

1952
쿠리노 하나

1953
보스터니안

1954
다이나나 호슈

1955
케곤

1956
헤키라쿠

1957
카즈요시

1958
타이세이 호프

1959
윌 딜
1960
코다마
1961
신 츠바메 >

1962
야마노 오

1963
메이즈이

1964
신잔

1965
치토세 오

1966
니혼 필로 에이스

1967
류즈키

1968
마치스

1969
와일드 모어
1970
타니노 무티에
1971
히카루 이마이 >

1972
랜드 프린스

1973
하이세이코

1974
키타노 카치도키

1975
카부라야 오

1976
토쇼 보이

1977
하드 버지

1978
판타스트

1979
빙고 가루
1980
하와이안 이미지
1981
카츠 탑 에이스 >

1982
아즈마 헌터

1983
미스터 시비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 지정 후
1984
심볼리 루돌프
1985
미호 신잔 >

1986
다이나 코스모스

1987
사쿠라 스타 오

1988
야에노 무테키

1989
닥터 스퍼트
1990
하쿠 타이세이
1991
토카이 테이오 >

1992
미호노 부르봉

1993
나리타 타이신

1994
나리타 브라이언

1995
제뉴인

1996
이시노 선데이

1997
서니 브라이언

1998
세이운 스카이

1999
티엠 오페라 오
2000
에어 샤커
2001
아그네스 타키온 >

2002
노 리즌

2003
네오 유니버스

2004
다이와 메이저

2005
딥 임팩트

2006
메이쇼 삼손

2007
빅토리

2008
캡틴 툴레

2009
언라이벌드
국제 GI 지정 후
2010
빅투아르 피사
2011
오르페브르 >

2012
골드 쉽

2013
로고타입

2014
이슬라 보니타

2015
두라멘테

2016
디 마제스티

2017
알 아인

2018
에포카 도로

2019
사투르날리아
2020
콘트레일
2021
에프포리아 >

2022
지오글리프

2023
솔 오리엔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마이니치배|{{{#fff 마이니치배

(중상)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54
미네마사
1955
야사카 >

1956
캐슬

1957
신 세카이이치

1958
타카하루

1959
하츠라이
1960
타이곤 오
1961
야마사카에 >

1962
골든 스타

1963
패스포트

1964
온워드 세컨드

1965
타니노 라이징

1966
아포 온워드

1967
사토 히카루

1968
다테 호라이

1969
마사 파이터
1970
다테 텐류
1971
니혼 필로 무티에 >

1972
유몬드

1973
호슈 에이트

1974
에리모 마치스

1975
후사토로 퀴노

1976
에리모 파더

1977
하드 버지

1978
아그네스 호프

1979
하시 허밋
1980
레드 재규어
1981
히로노 와카코마 >

1982
에리모 로라

1983
타케노 히엔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I 지정 후
1984
마루부츠 서펜
1985
뉴 판판 >

1986
프레시 보이스

1987
다이고 알파

1988
오구리 캡

1989
스타 선샤인
1990
키 미노부
1991
이이데 새턴 >

1992
히시 마사루

1993
시클레논 셰리프

1994
메르시 스테이지

1995
다이타쿠 테이오

1996
타이키 포츈

1997
티엠 탑 댄

1998
미라클 타임

1999
티엠 오페라 오
2000
실버 콕핏
2001
쿠로후네 >

2002
치어즈 슈타르크

2003
타카라 샤디

2004
킹 카메하메하

2005
로젠크로이츠

2006
어드마이어 메인

2007
나무라 마스

2008
딥 스카이
국제 G3 지정 후
2009
아이언 룩
2010
다논 샹티이
2011
레드 데이비스 >

2012
히스토리컬

2013
키즈나

2014
마이네르 프로스트

2015
뮈제 에일리언

2016
스마트 오딘

2017
알 아인

2018
블래스트 원피스

2019
랜스 오브 푸라나
2020
사토노 임프레사
2021
샤흐리야르 >

2022
피스 오브 에이트

2023
시즌 리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00:08:19에 나무위키 하드 버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