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야구/1987년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KBO 리그

}}} ||





1. 개요
1.1. 5월 16일 해태 VS 롯데
2. 정규시즌 최종순위
3. 시즌 최종과 시즌 마감
3.1. 정규 시즌 기록 1위
3.1.1. 타자, 공격
3.1.2. 투수, 수비
4. 신인드래프트
5. 포스트시즌



1. 개요[편집]


1987년 열린 프로야구 시즌.

팀당 108경기, 총 378경기를 치뤘다.

전년도 준우승에 그친 삼성 라이온즈는 타격코치 박영길을 새 감독으로 선임하였고 그 결과 그 해 삼성은 프로야구 최초로 팀타율 3할을 기록했다.[1] 김성래, 장효조, 이만수, 허규옥, 류중일 등 5명이나 세 자리 수 안타를 때려냈고 타격왕 장효조, 타점왕 이만수, 홈런왕 김성래 등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여기에 김동재 0.318, 오대석 0.326 허규옥 0.326, 박승호 0.286 장태수 0.282 등 하위타선까지 0.250 이하는 한 명도 없는 그야말로 쉬어갈 틈이 없는 역사에 길이 남을 타선을 구축했다.

또한 삼성은 1985년에 이어 전/후기 통합 우승을 다시 이루어내어 한국시리즈에 직행했다. 한국시리즈 상대는 OB 베어스를 간신히 이기고 온 전년도 우승팀 해태 타이거즈. 이번에야 말로 삼성의 한국시리즈 우승이 유력했지만 현실은...


1.1. 5월 16일 해태 VS 롯데[편집]





5.16(토), 14:00 사직 야구장
선발123456789101112131415RHE
해태선동열0010000010000002111
롯데최동원020000000000000271

이 경기에서 선동열최동원은 무려 15회까지 불펜투수 없이 완투한 경기다.
경기에 대해 자세한 내용은 선동열 vs 최동원 항목 참조.

그리고 이 경기는 약 24년 후 퍼펙트 게임이라는 제목으로 영화화되었다.


2. 정규시즌 최종순위[편집]


순위경기수게임차승률비고
전기리그
1삼성 라이온즈54330210.00.611
2OB 베어스54311221.50.583
3해태 타이거즈54272255.00.519
3롯데 자이언츠54272255.00.519
5MBC 청룡54243276.50.472
6빙그레 이글스54242287.00.463
7청보 핀토스541803615.00.333
후기리그
1삼성 라이온즈54310230.00.574
2해태 타이거즈54283231.50.549
3롯데 자이언츠54273242.50.528
4MBC 청룡54264243.00.519
5OB 베어스54240307.00.444
5청보 핀토스54232297.00.444
5빙그레 이글스54232297.00.444
통합승률
1해태 타이거즈108555480.00.532구단 통산 3번째 우승 V3
구단 통산 3년 연속 우승
2삼성 라이온즈10864044-6.50.593구단 통산 2번째 한국시리즈 직행
3롯데 자이언츠108545491.00.523
4OB 베어스108551522.00.514구단 통산 첫 플레이오프 직행
5MBC 청룡108507514.00.495
6빙그레 이글스108474578.50.454
7청보 핀토스1084126515.50.389

이 시즌부터 무승부를 0.5승으로 간주하는 승률제가 채택되었다. 즉, ((승수+무승부 수*0.5)/전체 경기수)의 공식을 사용했다.[2]

삼성 라이온즈가 1985년 시즌에 이어 다시 한번 리그를 지배한 시즌. OB 베어스는 여전히 강자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었고 해태 타이거즈는 후기 2위로 간신히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3] 누가 봐도 삼성의 우승이 유력했다. 그러나...

MBC 청룡은 2년 연속 불운에 의해 눈물을 흘려야했다. 전기리그 김건우의 소포모어 징크스와 김재박의 실책, 유종겸의 부상 등으로 고전한 끝에 5위까지 내려앉으며 김동엽 감독이 경질되었다가 후반기 김건우의 부활과 이광은-김상훈의 맹활약과 함께 줄곧 2위 이내에서 머물며 플레이오프 진출이 유력해보였다. 그러다가 김건우가 교통사고를 당하며 전력에서 이탈한 것이 치명타가 되었으며, 시즌 막판에는 청보와의 경기에서는 1루주자 김우근이 홈으로 달리다가 다리에 쥐가 나서 넘어지는 바람에 아웃당해 다잡은 경기를 비기는 불운까지 겹쳤다. 결국 청룡은 이 무승부가 짐이 되어 삼성의 암묵적 밀어주기[4]에도 불구하고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해태에게 가을야구 티켓을 넘겨주고 말았다.


3. 시즌 최종과 시즌 마감[편집]



3.1. 정규 시즌 기록 1위[편집]


이하 실제로 수상이 이루어지는 1위 타이틀은 굵게 표시한다.
순서는 '단일 시즌 기록' - '개인 통산 기록' - '개인 통산 O년 연속 기록' - '구단 통산 기록' - 'KBO 역대 기록' 순이다.
'구단 통산 기록'의 경우 타이틀 홀더 수상이 이뤄지는 부문에 한해 기록한다.
'피-'의 경우 -개, 그외의 기록은 '-홈런, -안타' 등으로 기재.

다음은 해당 기록을 달성 시 추가 작성.[5]
타자수위타자최다 안타홈런타점득점출루율장타율도루
0.350+
0.370+
180+
190+
40+
50+
120+
140+
100+
120+
0.450+
0.470+
0.600+
0.700+
50+, 60+
70+, 80+
투수다승평균자책점탈삼진세이브홀드이닝
20+2.25↓, 2.00↓
1.5↓, 1.0↓
180+, 200+, 220+30+, 40+, 45+30+, 40+200+, 250+, 300+


3.1.1. 타자, 공격[편집]


타이틀선수명소속팀기록비고
수위 타자장효조삼성 라이온즈.387개인 통산 2번째 0.370+ 타율
개인 통산 4번째 타율왕
개인 통산 3년 연속 타율왕
구단 통산 5번째 타율왕
구단 통산 5년 연속 타율왕
KBO 역대 3번째 0.370+ 타율
최다 안타이정훈빙그레 이글스124안타개인 통산 첫 최다 안타 1위
구단 통산 첫 최다 안타 1위
홈런김성래삼성 라이온즈22홈런개인 통산 첫 홈런왕
구단 통산 4번째 홈런왕
타점이만수삼성 라이온즈76타점개인 통산 4번째 타점왕
구단 통산 4번째 타점왕
승리 타점김형석OB베어스11타점개인 통산 첫 승리타점왕
구단 통산 2번째 승리타점왕
도루이해창청보 핀토스54도루개인 통산 첫 도루왕
구단 통산 첫 도루왕
KBO 역대 3번째 50+ 도루
득점이광은MBC 청룡66득점개인 통산 첫 득점 1위
구단 통산 5번째 득점 1위
구단 통산 2년 연속 득점 1위
출루율장효조삼성 라이온즈.461개인 통산 5번째 출루율왕
개인 통산 5년 연속 출루율왕
구단 통산 5번째 출루율왕
구단 통산 5년 연속 출루율왕
장타율이만수삼성 라이온즈.579개인 통산 2번째 장타율왕
구단 통산 3번째 장타율왕
사사구김광수OB 베어스59개볼넷 54개 + 몸에 맞는 공 5개
몸에 맞는 공이광은MBC 청룡10개
이정훈빙그레 이글스
피삼진장종훈빙그레 이글스62개
병살타유승안빙그레 이글스17개


3.1.2. 투수, 수비[편집]


타이틀선수명소속팀기록비고
다승김시진삼성 라이온즈23승개인 통산 2번째 다승왕
구단 통산 2번째 다승왕
KBO 역대 9번째 20승 투수
평균자책점선동열해태 타이거즈0.89개인 통산 3번째 방어율왕
개인 통산 3년 연속 방어율왕
개인 통산 2년 연속 1 이하 방어율왕
구단 통산 3번째 방어율왕
구단 통산 3년 연속 방어율왕
KBO 역대 13번째 2.25 이하 방어율 3명
KBO 역대 11번째 2.0 이하 방어율 2명
KBO 역대 2번째 1.5 이하 방어율
KBO 역대 2번째 1 이하 방어율
승률0.875시즌 14승 2패
개인 통산 첫 승률왕
구단 통산 첫 승률왕
탈삼진최동원롯데 자이언츠163K개인 통산 2번째 탈삼진 1위
구단 통산 3번째 탈삼진 1위
구원김용수MBC 청룡33포인트개인 통산 2번째 구원왕[6]
구단 통산 2번째 구원왕
구단 통산 2년 연속 구원왕
세이브24세이브개인 통산 2번째 구원왕
구단 통산 2번째 세이브 1위
구단 통산 2년 연속 세이브 1위
이닝이상군빙그레 이글스246⅔이닝KBO 역대 26번째 200+ 이닝 5명
등판김용수MBC 청룡52경기
피홈런양상문청보 핀토스18개
피안타이상군빙그레 이글스233개
사사구 허용김시진삼성 라이온즈103개볼넷 96개 + 몸에 맞는 공 7개
패전정삼흠MBC 청룡13패
몸에 맞는 공 허용박동수롯데 자이언츠13개
김신부청보 핀토스
야수 실책장종훈빙그레 이글스26개
투수 폭투임호균청보 핀토스8개



4. 신인드래프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프로야구/1988년/신인드래프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포스트시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프로야구/1987년 포스트시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1:02:02에 나무위키 한국프로야구/1987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게다가 2014년까지는 유일이었다. 이 유일이란 타이틀을 깬 팀은 다름 아닌 2014년 삼성으로 이 해의 타율 기록을 경신했다. 그리고 이듬해에도 또 경신. 정작 그 세번 중 우승한 해는 2014년 뿐이다.(...) 이후 타고투저의 광풍으로 2017년 KIA2018년 두산도 팀 타율 3할을 기록한다.[2] 그래서 1991년에 신생팀 쌍방울 레이더스내려온 전년도 우승팀 LG 트윈스와 공동 6위를 기록했다.[3] 그것도 후기리그 내내 2위였던 mbc를 겨우 역전하였고 막판 롯데의 거센 추격을 뿌리치면서 간신히 2위를 기록했다.[4] 대표적 예로 10월 2일 경기에서 수비 잘하기로 소문난 중견수 허규옥김상훈의 임과장존 타구를 잡다가 놓치면서 2루타로 만들어주면서 MBC의 2-1 역전승을 도왔다.[5] 다만 '투수-이닝'의 경우 타이틀홀더 대상이 아님.[6] 9승 + 24세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