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L (r2판)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미국식 수화(American Sign Language)에 대한 내용은 수어 문서
수어번 문단을
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챌린저스 스타리그에 대한 내용은 아프리카TV 챌린저스 스타리그 문서
아프리카TV 챌린저스 스타리그번 문단을
아프리카TV 챌린저스 스타리그# 부분을
, 현재 진행중인 시즌에 대한 내용은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6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file.osen.co.kr/201607081027772591_577f03491a28c.jpg
정식 명칭AfreecaTV StarCraft League Remastered
주관파일: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로고.svg

1. 개요
2. 개인 리그
2.1. ASL
2.1.1. ASL 역대 대회맵
2.2. ACS[1]
2.3. 역대 대회 및 우승
2.3.1. ASL
2.3.2. ACS
2.4. ASL 포인트
2.4.1. 시즌 16 이전 ASL 진출자들의 ASL 포인트
2.4.2. 각 시즌 이전 ASL 진출자들의 ASL 포인트
2.5. 징크스
2.5.1. 결승전 1세트 승자는 우승한다
2.5.2. 전 대회 준우승자는 차기 대회 16강에서 탈락한다
2.5.3. 8강에서 탈락한 선수 중 적어도 한 명은 다음 시즌 16강 진출에 실패한다
3. 팀 단위 리그
3.1. 팀 배틀
3.2. ASTL[2]
3.3. 클랜 리그
3.4. 역대 대회 및 우승
3.4.1. ASTL
4. 역대 시즌별 오프닝
4.1. 개인 리그
4.2. 팀 단위 리그
5. 역대 트로피
6. 논란 및 사건사고
6.1.1. 핫키 실종 사건
6.2.1. 예선 참가자들의 여러 가지 이슈



1. 개요[편집]


아프리카TV가 진행하는 스타크래프트 개인 리그. VANT36.5 대국민 스타리그를 전신으로 하며, 해당 대회 이후 리그를 개편하여 아프리카TV 스타리그(AfreecaTV StarCraft League)라는 명칭으로 바뀌었다.

한편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출시 이후로 KSL과 더불어 새로운 양대 리그로 자리매김했다가, KSL이 1년 반만에 시즌4로 폐지된 이후에는 현재 국내 유일의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개인 리그가 됐다.[3] 주로 개인 방송을 하는 은퇴한 전 프로게이머 및 아마추어 선수들이 참가하고 있다.

2. 개인 리그[편집]



2.1. ASL[편집]




2.1.1. ASL 역대 대회맵[편집]


VANT36.5 대국민 스타리그 본선 사용 맵
파일:attachment/Fighting_Spirit.jpg
파일:external/data.ygosu.com/4bc293526b14d.jpg
파일:attachment/4cb7f95f93bda.jpg
파일:attachment/Arcadia2.jpg
파일:attachment/gladiatorosl.jpg
투혼매치포인트서킷브레이커아카디아1글라디에이터2
1: 16강까지만 사용, 2: 8강부터 사용



































최다 맵 선정 횟수 (대국민~시즌16
횟수맵 이름
5회폴리포이드
4회투혼, 이클립스
3회글라디에이터, 네오 실피드, 매치포인트, 서킷브레이커
2회네메시스, 레트로, 버미어 SE, 벤젠, 실피드 3.0, 알레그로, 어센션


2.2. ACS[5][편집]




2.3. 역대 대회 및 우승[편집]



2.3.1. ASL[편집]








종족별 우승/준우승 횟수
종족우승준우승
이름대회이름대회
파일:테란아이콘.png
테란
이영호시즌2조기석시즌1
시즌3염보성시즌2
시즌4이영호시즌6
시즌8이재호시즌9
김성현시즌7유영진시즌12
이재호시즌13시즌14
김지성시즌14박성균시즌15
정영재시즌15
합계8회7회
파일:저그아이콘.png
저그
김정우대국민이영한시즌3
시즌6조일장시즌4
김명운시즌9박상현시즌10
시즌10
임홍규시즌11
합계5회3회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프로토스
김윤중시즌1장윤철시즌5
정윤종시즌5시즌8
변현제시즌12변현제시즌7
시즌11
김택용대국민
정윤종시즌13
합계3회6회
최다 우승 선수: 이영호 (4회)
최다 준우승 선수: 장윤철, 변현제, 유영진 (각 2회)


2.3.2. ACS[편집]




2.4. ASL 포인트[편집]


ASL 시즌3부터 발표된 개념으로서 이전에 치른 ASL 리그 성적을 바탕으로 포인트를 계산해 24강 조 편성에 사용되었다. 6명씩 묶어 티어1부터 티어4까지 구분하며 조별로 티어1~티어4까지 각각 1명씩 4명이 한조가 된다. 포인트가 동점일 땐 최근 시즌 성적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동점자 모두 첫 진출이라 순위나 티어를 가를 수 없는 경우 프로게이머 전체 활동 기간의 커리어를 적용한다. 기본적인 공식은 우승 4000점, 준우승 2500점, 4강 1500점, 8강 1000점, 16강 500점, 24강 300점이고 리그의 한 시즌이 지날 때마다 포인트가 10%씩 삭감돼서 적용되며 소수점 이하는 버린다. 예로 새 시즌이 시작할 때 지난 시즌 우승으로 4000점을 받았다면 다음 시즌에선 3600점, 그 다음 시즌에선 3240점이 적용된다. 대국민 스타리그 32강은 0점 처리된다.

ASL10ASL9ASL8ASL7ASL6ASL5ASL4ASL3ASL2ASL1반트
우승40003600324029162624236121251913172115491394
준우승250022502025182216401476132811951076968871
4강1500135012151093984885797717645581523
8강1000900810729656590531478430387348
16강500450405364328295265239215193173
24강300270243218196177159143129--


2.4.1. 시즌 16 이전 ASL 진출자들의 ASL 포인트[편집]


이름(종족)ASL 15ASL 14ASL 13ASL 12ASL 11ASL 10ASL9ASL8ASL7ASL6ASL5ASL4ASL3ASL2ASL1반트포인트
김명운(Z)8강16강16강4강4강우승우승-------16강4강8,838
변현제(P)24강16강16강우승준우승16강24강16강준우승8강4강24강24강---8,566
이영호(T)[R]-----4강4강우승-준우승8강우승우승우승8강-8,538
이재호(T)16강8강우승8강16강16강준우승8강24강16강24강24강24강16강--8,526
유영진(T)16강준우승8강준우승8강8강24강16강24강24강24강24강-16강-16강7,695
조일장(Z)4강4강16강4강4강16강----4강준우승16강8강8강32강7,554
정영재(T)우승24강8강16강8강16강24강24강24강-------6,826
김민철(Z)8강4강8강8강-8강16강16강16강16강24강8강4강24강--6,306
장윤철(P)16강8강24강16강8강8강16강준우승16강16강준우승24강24강---6,168
김지성(T)16강우승16강8강16강24강24강---------5,898
도재욱(P)4강16강16강24강8강8강16강16강16강16강16강24강8강4강16강-5,774
정윤종(P)--준우승----4강4강8강우승8강24강16강--5,690
임홍규(Z)----우승4강8강16강16강-8강4강24강24강16강16강5,684
박상현(Z)24강16강4강8강16강준우승4강24강--------5,438
김택용(P)16강8강4강-16강24강8강----4강4강8강-준우승5,312
김성대(Z)8강16강8강24강24강16강8강4강24강8강16강-----4,907
박성균(T)준우승-----24강-8강16강8강8강-16강16강8강4,386
조기석(T)24강24강-24강16강24강16강8강8강8강24강16강-16강준우승4강4,116
김성현(T)-------8강우승4강24강24강8강16강4강8강3,931
김정우(Z)----16강---4강우승16강16강16강24강16강우승3,899
김윤중(P)24강24강16강-16강16강---4강8강16강24강16강우승32강3,806
이영한(Z)16강8강-24강24강24강---16강16강16강준우승---3,219
윤찬희(T)24강16강24강24강16강-16강24강24강24강24강16강8강24강16강32강2,921
이제동(Z)8강24강16강----24강-16강16강16강16강4강--2,719
최호선(T)16강16강24강24강24강24강-----16강8강-8강16강2,550
송병구(P)24강--16강-24강8강16강-24강16강16강24강8강--2,393
황병영(T)16강16강24강16강24강24강16강---------2,195
이예훈(Z)24강24강24강--24강-8강16강24강------1,799
이경민(P)-24강24강---16강16강8강24강24강-----1,667
염보성(T)---------16강24강-16강준우승4강16강1,514
김승현(P)--24강----24강16강24강24강-16강8강-8강1,418
윤용태(P)-24강-16강-16강------24강24강16강8강1,403
한두열(Z)-24강--24강--24강24강24강16강24강-24강--1,195
김경모(Z)-24강16강-24강---24강---16강---1,140
진영화(P)--24강24강-----24강16강-24강16강-32강960
유진우(Z)--24강16강-24강24강---------943
임진묵(T)-24강--24강--24강16강-----16강32강937
김윤환(Z)-------24강8강24강24강-----793
구성훈(T)24강24강---------24강---16강776
김태영(T)24강-----24강24강---24강-24강--769
박준오(Z)-----24강24강--24강-8강----765
홍덕(P)24강-24강24강------------761
김범수(P)---16강-24강-24강--------760
김재훈(P)-------24강----16강-8강16강681
고석현(Z)24강--24강--------16강---658
원지훈(P)---24강24강-24강---------573
정민기(T)24강-24강-------------543
신상문(T)---24강-16강---------32강513
박지훈(P)--24강-----24강-------372
서문지훈(Z)-------16강24강------32강368
배병우(Z)---16강------------364
박재혁(Z)---24강---24강--------361
윤수철(P)----24강-24강---------355
오진식(Z)-24강--------------270
손경훈(P)------16강---------265
이성은(T)------24강----24강----252
강태완(T)--------24강24강------245
김현우(Z)--------16강-------215
하늘(P)----------24강24강----197
배호연(T)----24강-----------196
유승곤(T)----24강-----------196
이영웅(T)----24강-----------196
박지호(P)----------24강-24강---187
윤진규(Z)-----24강----------177
김기훈(P)-----------24강24강---176
박지수(T)------24강---------159
이윤열(T)--------24강-------129
현지섭(T)--------24강-------129
김진형(Z)---------24강------116
김건욱(Z)---------------16강101
박성준(Z)---------------16강101
문기호(Z)------------24강---83
김규회(P)-------------24강--74
김범성(Z)-------------24강--74
변형태(T)-------------24강--74
이예준(Z)-------------24강--74
최영현(P)-------------24강--74
강정우(T)---------------32강0
김봉준(P)---------------32강0
김상곤(Z)---------------32강0
김재현(T)---------------32강0
박재현(P)---------------32강0
심대성(Z)---------------32강0
정윤성(P)---------------32강0
한상봉(Z)---------------32강0


2.4.2. 각 시즌 이전 ASL 진출자들의 ASL 포인트[편집]


이름(종족)ASL1ASL2ASL3ASL4ASL5ASL6ASL7ASL8ASL9ASL10ASL 11
이영호(T)[R]010004900841011569114121277011492143421440714466
김명운(Z)150018501665149813481213109298288447968316
김성현(T)10002400266033943354331844868037823174086668
김정우(Z)40004100399040914181426278358552769669266232
정윤종(P)005007501675550759566860767469066214
장윤철(P)000300570301332113389555054955945
임홍규(Z)500950115513392705343430893280345341065195
조기석(T)15003850396535683711363942764847536153265093
변현제(P)000300570201328115029502648244840
이재호(T)00500750975117715591702253147784800
도재욱(P)0500195027552779300132013379354136874317
김윤중(P)04000410039904091468157125140462741634246
김민철(Z)0030017702593263328693083327334454101
박상현(Z)0000000030017704093
김택용(P)25002250302542225300477042923862347641284015
김성대(Z)0000050014501605294436503784
조일장(Z)01000190022104489554049854486403736333769
박성균(T)10001400176015842425318233644027362435613204
송병구(P)00100012001580192220291825214329282934
유영진(T)5004509058141033122914061565190720162814
염보성(T)5001950425543293896380639243533317828582575
이영한(Z)00025002750297531772859257323152383
윤찬희(T)050075016752007210621952275234726112349
이제동(Z)00150018502165244827032432248922392015
김승현(P)1000900181021291916202421212409246722191997
이경민(P)000003005701513186121741957
이예훈(Z)000000300770169315231670
최호선(T)5001450130521742457221119891790161114491604
김윤환(Z)000003005701513166114941345
윤용태(P)1000140015601704153313791240111610059041313
박준오(Z)00001000900111099989911081297
한두열(Z)0030027054398811891370153213791240
정영재(T)00000003005708131231
김재훈(P)5001450130516741507135612191098128811581043
진영화(P)005007506751107129611661049944849
김태영(T)00300270543488439395655890801
임진묵(T)0500450405364328295765989890800
황병영(T)000000000500750
서문지훈(Z)0000000300770693623
김지성(T)000000000300570
유진우(Z)000000000300570
김범수(P)00000000300270543
신상문(T)0000000000500
김경모(Z)000500450405364628565508457
손경훈(P)000000000500450
이성은(T)0000300270243218196477429
강태완(T)000000300570513461414
김현우(Z)0000000500450405364
하늘(P)0000300570513461414373336
구성훈(T)500450405364628565508457411370333
박지호(P)000300270543488439395355320
김기훈(P)000300570513461414373336302
윤진규(Z)0000000000300
원지훈(P)000000000300270
윤수철(P)000000000300270
박지수(T)000000000300270
박재혁(Z)00000000300270243
고석현(Z)000500450405364328295265239
박수범(P)0000000300270243218
이윤열(T)0000000300270243218
현지섭(T)0000000300270243218
김진형(Z)000000300270243218196
김건욱(Z)500450405364328295265239215193174
박성준(Z)500450405364328295265239215193174
문기호(Z)000300270243218196177159143
김규회(P)00300270243218196177159143129
김범성(Z)00300270243218196177159143129
변형태(T)00300270243218196177159143129
이예준(Z)00300270243218196177159143129
최영현(P)00300270243218196177159143129
강정우(T)00000000000
김봉준(P)00000000000
김상곤(Z)00000000000
김재현(T)00000000000
박세정(P)00000000000
박재현(P)00000000000
심대성(Z)00000000000
정윤성(P)00000000000
한상봉(Z)00000000000
배호연(T)00000000000
이영웅(T)00000000000
유승곤(T)00000000000

2.5. 징크스[편집]



2.5.1. 결승전 1세트 승자는 우승한다[편집]


역대 1세트 승자 및 최종 결과
[ 펼치기 · 접기 ]
대회명1세트 승자결승 상대스코어
대국민 스타리그김정우김택용3:1
(OOXO)
ASL 시즌1김윤중조기석3:0
(OOO)
ASL 시즌2이영호염보성3:1
(OXOO)
ASL 시즌3이영호이영한3:0
(OOO)
ASL 시즌4이영호조일장3:1
(OOXO)
ASL 시즌5정윤종장윤철3:1
(OOXO)
ASL 시즌6김정우이영호3:2
(OXXOO)
ASL 시즌7김성현변현제3:1
(OXOO)
ASL 시즌8이영호장윤철4:0
(OOOO)
ASL 시즌9김명운이재호4:1
(OOXOO)
ASL 시즌10김명운박상현4:3
(OOXOXXO)
ASL 시즌11임홍규변현제4:3
(OOXXOXO)
ASL 시즌12변현제유영진4:3
(OXOOXXO)
ASL 시즌13이재호정윤종4:0
(OOOO)
ASL 시즌14김지성유영진4:2
(OXOOXO)
ASL 시즌15정영재박성균4:1
(OXOOO)
ASL 시즌164:0
(OOOO)

ASL 결승전에서 가장 유명한 징크스로, ASL 시즌15까지 무려 16시즌 동안 적중률 100%를 자랑하는 징크스다.


2.5.2. 전 대회 준우승자는 차기 대회 16강에서 탈락한다[편집]


역대 준우승자 및 최종 결과
[ 펼치기 · 접기 ]
대회명직전 대회 준우승자결과비고
ASL 시즌1김택용-불참[1]
ASL 시즌2조기석16강 탈락0승 2패[2]
ASL 시즌3염보성16강 탈락0승 2패[3]
ASL 시즌4이영한16강 탈락0승 2패[4]
ASL 시즌5조일장3위[A]
ASL 시즌6장윤철16강 탈락1승 2패[5]
ASL 시즌7이영호-불참[6]
ASL 시즌8변현제16강 탈락0승 2패[7]
ASL 시즌9장윤철16강 탈락1승 2패[8]
ASL 시즌10이재호16강 탈락1승 2패[9]
ASL 시즌11박상현16강 탈락0승 2패[10]
ASL 시즌12변현제우승[A][11]
ASL 시즌13유영진8강 탈락0:3[A]
ASL 시즌14정윤종-불참[12]
ASL 시즌15유영진16강 탈락1승 2패[13]
ASL 시즌16박성균16강 탈락1승 2패[14]
[1] 개인 사정으로 불참했다.[2] 1경기 vs. 박성균 , 패자전 vs. 이제동 [3] 1경기 vs. 김정우 , 패자전 vs. 김택용 [4] 1경기 vs. 임홍규 , 패자전 vs. 조일장 [A] A B C 징크스 깨짐[5] 1경기 vs. 김윤중 , 승자전 vs. 김정우 , 최종전 vs. 김윤중 [6] 팔 부상으로 인해 불참했다.[7] 1경기 vs. 임홍규 , 패자전 vs. 이재호 [8] 1경기 vs. 송병구 , 패자전 vs. 이경민 , 최종전 vs. 임홍규 [9] 1경기 vs. 도재욱 , 승자전 vs. 임홍규 , 최종전 vs. 도재욱 [10] 1경기 vs. 정영재 , 패자전 vs. 도재욱 [11] 역대 징크스를 깬 선수들 중 유일한 우승자이다.[12] 개인 사정으로 불참했다.[13] 1경기 vs. 황병영 , 승자전 vs. 정영재 , 최종전 vs. 김명운 [14] 1경기 vs. 박준오 , 승자전 vs. 유영진 , 최종전 vs. 변현제

  • ASL 시즌16이 열렸던 시점까지 이 징크스를 피해간 것은 순수 실력으로 피해간 조일장(시즌5)을 시작으로, 변현제(시즌12)[6][7], 유영진(시즌13) 세 명 뿐일 정도로 적중률 역시 높다.
  • 사실 이런 현상이 일어난 가장 큰 이유는 우승자의 교체 권한이 큰데, 권한 덕분에 우승자는 비교적 쉬운 조를 만들 수가 있지만 준우승자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우승자의 교체 권한이 준우승자의 조를 죽음의 조로 만들어 버린 경우도 꽤 있는데, 대표적으로 시즌3와 시즌6가 있다.[8][9]


2.5.3. 8강에서 탈락한 선수 중 적어도 한 명은 다음 시즌 16강 진출에 실패한다[편집]


역대 8강 탈락자 및 최종 결과
[ 펼치기 · 접기 ]
대회명8강 탈락다음 시즌 결과
대국민
스타리그
김성현, 박성균,
윤용태, 김승현
김승현 불참
ASL 시즌1최호선, 조일장,
김재훈, 이영호
최호선 예선 탈락
김재훈 불참
ASL 시즌2김택용, 조일장,
김승현, 송병구
송병구 24강 탈락
ASL 시즌3최호선, 윤찬희,
도재욱, 김성현
도재욱, 김성현
24강 탈락
ASL 시즌4정윤종, 김민철,
박준오, 박성균
김민철 24강 탈락
박준오 예선 탈락
ASL 시즌5김윤중, 박성균,
임홍규, 이영호
임홍규 불참
ASL 시즌6조기석, 정윤종,
김성대, 변현제
김성대 24강 탈락
ASL 시즌7김윤환, 박성균,
조기석, 이경민
박성균 불참
김윤환 24강 탈락
ASL 시즌8김성현, 조기석,
이재호, 이예훈
김성현 불참
이예훈 예선 탈락
ASL 시즌9김성대, 임홍규,
송병구, 김택용
송병구, 김택용
24강 탈락
ASL 시즌10유영진, 장윤철,
김민철, 도재욱
김민철 불참
ASL 시즌11도재욱, 정영재,
장윤철, 유영진
도재욱 24강 탈락
ASL 시즌12김민철, 김지성,
박상현, 이재호
-[A]
ASL 시즌13김민철, 유영진,
김성대, 정영재
정영재 24강 탈락
ASL 시즌14이영한, 김택용,
이재호, 장윤철
-[A]
ASL 시즌15김성대, 김명운,
이제동, 김민철
김명운, 이제동
24강 탈락
ASL 시즌16조일장, 정영재,
조기석, 김성대
[A] A B


3. 팀 단위 리그[편집]



3.1. 팀 배틀[편집]




3.2. ASTL[10][편집]




3.3. 클랜 리그[편집]




3.4. 역대 대회 및 우승[편집]



3.4.1. ASTL[편집]


대회명우승팀세트 스코어준우승팀
ASTL 시즌1차라리요 버팔로즈42아프리카TV 히어로즈
ASTL 시즌2LOGINmedia43eSport.fund
[ 선수단 ]
[ 선수단 ]
ASTL 시즌3아프리카TV42수내닭꼬치
[ 선수단 ]
[ 선수단 ]
ASTL 시즌4팀명00팀명
[ 선수단 ]
팀장
팀원
[ 선수단 ]
팀장
팀원
최다 우승 출전자: 김태영 (2회)
최다 준우승 출전자: 이영호[11], 박지호[12] (각 2회)
최다 우승 리더: 이성은[13], 김명운[14], 조일장[15] (각 1회)


4. 역대 시즌별 오프닝[편집]



4.1. 개인 리그[편집]


ASL 시즌 1ASL 시즌 2
ASL 시즌 3ASL 시즌 4
ASL 시즌 5ASL 시즌 6
ASL 시즌 7ASL 시즌 8
ASL 시즌 9ASL 시즌 10
-[16]
ASL 시즌 11ASL 시즌 12
-[17]
ASL 시즌 13ASL 시즌 14
ASL 시즌 15ASL 시즌 16


4.2. 팀 단위 리그[편집]


다방 ASL 팀 배틀
ASTL 시즌 1ASTL 시즌 2
-[18]
ASTL 시즌 3ASTL 시즌 4


5. 역대 트로피[편집]


파일:ASL 트로피 (시즌1~시즌5).jpg
ASL 시즌1부터 시즌5까지 주어진 트로피
파일:ASL 트로피 (시즌6~시즌11).jpg
ASL 시즌6부터 시즌11까지 주어진 트로피
파일:ASL 트로피 (시즌12).jpg
ASL 시즌12 이후 주어진 트로피


6. 논란 및 사건사고[편집]



6.1. ASL 시즌4[편집]




6.1.1. 핫키 실종 사건[편집]


2017년 9월 11일에 펼쳐졌던 B조의 경기에서 최종전 사투 끝에 진출한 송병구가 인터뷰를 하던 도중 1경기 최호선과의 골드 러쉬 경기 중에 기본적으로 U로 설정되어 있는 드랍 기능키가 자신도 모르는 사이 D로 바뀌어 있었고, 이로 인해 '셔틀이 탱크 위에 질럿을 효율적으로 내리지 못해서 손해를 보았다'며 블리자드와 아프리카TV 측을 성토하는 내용을 쏟아냈다.


[1] 아마추어/준프로 등을 위한 대회[2] 가방팝 프로리그, 다방 ASL 팀 배틀과는 별개의 리그다.[3]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운영위원회에서 스타크래프트 부문 선정 기준으로, 조사 대상 대회를 현역 시절의 온게임넷 스타리그, MBC GAME 스타리그, WCG와 은퇴 이후의 ASL, KSL로 선정하고 있다.[4] ASL의 전신으로 취급되며, 현재 ASL 관련 공식 기록에도 이 VANT36.5 리그에서의 성적을 포함시켜 소개하고 있다.[5] 아마추어/준프로 등을 위한 대회[R] A B 랜덤 포함[6] 시즌11 우승자였던 임홍규의 불참으로 1번 시드와 최종 교체 권한을 양도받아 징크스를 피했다.[7] 사실 이 징크스의 발발 원인은 전 대회 준우승자여서 라기 보다는 당 대회 2번 시드여서가 큰 이유이기에 징크스 극복의 사례는 시즌12에서 2번 시드를 받은 조일장(당 대회 3위)로 보는게 적합할수도 있다. 이렇게 보면 조일장은 2번 시드의 징크스를 2번이나 극복한 선수가 된다.[8] 시즌3에서는 시즌2 우승자 이영호가 시즌2 준우승자 염보성의 조의 김경모를 김정우와 바꿔버렸고, 그 탓에 염보성은 김정우, 김택용, 김민철과 함께 한 조가 되는 바람에 광탈했다. 시즌6에서는 시즌5 우승자 정윤종이 시즌5 준우승자 장윤철의 조의 이재호를 김민철과 바꾸는 바람에 장윤철은 김윤중, 김정우, 김민철을 상대해 탈락했다.[9] 사실 장윤철의 경우는 이재호와 바뀐 김민철에게 패하지는 않았지만, 만약 김민철이 이재호와 바뀌지 않았더라면 장윤철은 승자전에서 이재호를 만날 수도 있었다. 당시 김정우는 연속 광탈의 늪에 빠져있었던 반면, 이재호가 저그전 스페셜리스트라는 건 너무 유명하기 때문. -하지만 까보니 김정우는 우승을 해버렸고, 이재호는 가장 할만한 저그 김성대에게 커널 관광을 당해버렸다.(...)- 그랬다면 비록 저그전에는 약하지만 테란전 만큼은 지난 시즌에서 이영호를 탈락시킬 정도로 강력한 장윤철의 8강 진출 가능성이 높다.[10] 가방팝 프로리그, 다방 ASL 팀 배틀과는 별개의 리그다.[11] 선수 2회[12] 감독 1회, 선수 1회[13] 시즌1 감독[14] 시즌2 팀장[15] 시즌3 팀장[16] 아프리카TV 측에서 예고 영상을 유튜브에 업로드 하지 않았다. 아프리카TV 링크[17] ASL 시즌12에 이어 아프리카TV 측에서 예고 영상을 유튜브에 업로드 하지 않았다. 아프리카TV 링크[18] 아프리카TV 측에서 예고 영상을 유튜브에 업로드 하지 않았다.

동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셔틀에 마우스 커서를 대고 U를 눌러 질럿을 빠르게 내려야 하는게 정상인 상황[19]인데, 무슨 문제가 생겼는지 질럿을 제대로 내리지 못했고, 결국 수동으로 질럿을 내리느라 주력 병력 컨트롤을 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새롭게 알려진 사실은 하루 전 A조 경기를 진행할 때 같은 좌석을 사용했던 이재호가 아프리카TV 측에서 준비한 계정을 통해 U를 D로 바꾸어놓은 것이라고 한다. 물론 자신의 세팅을 했을 뿐인 이재호의 잘못은 전혀 없으며 원칙적으로는 경기 준비 시간에 미리 체크를 하지 않았던 송병구의 실수이기는 하지만, 경기가 모두 끝난 후 계정 설정을 리셋시켜 놓지 않는 등 매끄럽게 진행하지 못했던 아프리카TV와 콩두컴퍼니 측에도 일정 부분 책임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경기 후 당일 송병구가 개인방송에서 밝히기를 "아프리카TV에서 준비한 계정이 아닌 자신의 개인 계정을 사용했다"고 말했는데,[20] 송병구의 개인 계정에 저장된 핫키(기본 세팅)가 우선적으로 적용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재호가 아프리카TV 측에서 준비한 계정으로 사용했던 핫키[21]가 적용되어 꼬인 것으로 보인다. 이게 사실이라면 로그인된 계정의 클라우드에 저장된 셋팅을 우선시해야 하는게 당연함에도 불구하고 로컬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던 세팅과 꼬인 것은 중대한 문제로 이는 확실히 블리자드 측에서 책임져야 할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추가로 이재호는 분명 테란 종족 탭에서 드랍쉽의 U를 D로 바꾸었고, 다른 종족은 건드리지 않았다고 말했는데 같은 U키를 쓰는 프로토스의 셔틀도 같이 적용되는 문제점도 있었다.[22] 영웅 유닛이긴 하지만 프로토스 종족 탭에서 사이오닉 스톰을 E로 바꾸면 다른 종족이면서도 사이오닉 스톰을 사용할 수 있는 감염된 케리건의 E가 스톰으로 바뀌고, 원래 E였던 인스네어 키가 아예 사라져 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엄연히 종족별 탭이 따로 있는 만큼 공격, 탑승 등 같은 기능을 가진 키더라도 설정한 대로 종족별로 따로따로 적용되어야 하는 것이 당연한데 이에 대한 블리자드측의 의견은 나오지 않았다.

이 인터뷰 직후 이재호의 방송엔 무려 3,000명에 가까운 시청자들이 몰렸으며 이재호는 때아닌 해명 방송을 해야만 했는데, 이재호도 적절한 리액션과 풍둔 주둥아리술과 같은 말빨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호응을 해준 덕에 분위기도 좋았고 별풍선도 1만개 이상이 터지는 상황까지 열렸다. 그리고 이재호는 '핫키 D. 재호' 라는 별명을 얻게 된다.

결과적으로 한국에서 브루드 워 리마스터로 개최되는 첫 대형 대회인만큼 기존 스타크래프트에 없던 옵션을 미리 살펴볼 생각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러한 논란이 벌어진 것으로 볼 수 있으며[23], 어찌되었건 간에 해당 문제가 인터뷰를 통해 수면 위로 올라온 만큼, 단지 아프리카TV와 콩두 뿐만이 아니라 대회 참가자들, 시청자들도 이 부분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므로 똑같은 문제가 발생할 여지를 차단할 수 있게 되었다는 긍정적인 영향도 있다. 한편, 이와 비슷한 문제가 ASL 시즌6이제동에게 또다시 일어나면서 재조명받고 있다.


6.2. ASL 시즌13[편집]



6.2.1. 예선 참가자들의 여러 가지 이슈[편집]


아프리카TV 코인 게이트 사건으로 많은 논란을 낳은 김택용, 염보성과 코인 게이트에 모자라 이미 그 전부터 김봉준과 함께 유관순 성희롱 사건까지 일으키며 물의를 일으킨 김승현의 본선 진출로 ASL 시즌13은 시작부터 이미 여러 말들이 오갔다.

2022년 1월 23일에 있었던 김택용의 사과 방송에서 '자신의 ASL 예선 참가가 관계자의 허락하에 가능하였다'고 언급했다. 코인게이트 문서를 보면 알다시피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에 버금갈 만한 사건이었음에도, 김택용은 "ASL로 보답하겠다."라는 말을 했다.

ASL 출전 자격에 보면 결격 사유가 없는 참가자에 한하여라고 명시되어 있는데, ASL 관계자들이 아프리카TV 코인 게이트는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에 버금갈 정도로 심각한 사건임에도 결격 사유에 해당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김택용과 김승현의 출전을 허락하였다.[24] 따라서 코인 게이트 사건에 연루된 핵심 BJ들을 '네임 밸류와 스타성, 흥행성이 높은 선수라는 이유'로 출전을 허락한 관계자들도 수많은 비판, 비난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그러다보니 '대회라서 어쩔 수 없으니 그러려니 한다'는 소수의 반응도 있긴 하지만, 어디에서든 많은 시청자들이 '아무리 대회라도 이건 정말 아니다'로 계속 비판과 비난의 목소리가 나왔다.[25]

결국엔 염보성에 의하면 스타대학판을 시작으로 아무 문제없이 스타판에 다시 복귀할 것으로 보이고, 자연스럽게 ASL이나 다른 오프라인 대회에 출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9] 이동 중인 셔틀에 드랍 단축키인 U를 누른 후 셔틀을 찍으면 셔틀이 이동하면서 유닛을 내릴 수 있다.[20] 경기 후 송병구가 개인 방송에서 밝힌 바로는 아프리카TV 측에서 준비한 계정을 사용하는게 기본이지만, 스타크래프트2처럼 따로 개인 계정을 사용하는 것도 허가해주었다고 한다.[21] 드랍 기능 키가 U에서 D로 바뀌어 있는 것.[22] 저그의 오버로드 역시 같은 U키를 쓰므로 저그 유저가 해당 자리를 이용하면 당연히 드랍 키가 꼬인다.[23] 핫키 변경 기능을 아예 사용하지 않았던 송병구는 애초에 해당 옵션 부분을 살펴볼 생각조차 못했을 가능성이 높고, 콩두측과 아프리카 TV측 역시 처음 주최하는 리마스터 대회인 만큼 해당 문제에 대해 미리 생각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24] 아니면 이들 모두 자숙의 기간을 거치고 사과를 표명했으니 결격 사유가 없다고 판단했을 수도 있으며, 어찌되었든 이들이 법적으로 범법을 저지른 것은 아니기에 명분 상으로도 막을 수단이 없다고 여긴듯 하다.[25] 심지어 마모씨 같은 "승부조작범들과 콜티(김DOG용)도 대회 참가해도 되겠다"라는 말을 하는 일부 여론까지 존재했다. 참고로 콜티(김DOG용)는 2010년대 e스포츠 현장에서 악명이 높았던 관객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