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reecaTV TEKKEN League

덤프버전 :






AfreecaTV TEKKEN League
파일:3atl.jpg
정식 명칭AfreecaTV TEKKEN7 LEAGUE
주관/주최파일:아프리카TV 로고.svg
후원 파일:핫식스_로고.png 파일:LG 울트라기어 로고.png
경기장 HOT6 아프리카 콜로세움(2020~)
프릭업 스튜디오(2020~)
엘 후에고(2020~)
중계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1. 개요
2. 위상
3. 대회 구성
3.1. DAY (데이)
3.2. Super Tournament (슈퍼 토너먼트)[1]
3.3. Season Final (시즌 파이널)
3.4. Grand Final (그랜드 파이널)
4. 역대 해설진
5. 역대 파이널급 우승자
6. 역대 대회
6.1. 2017년
6.2. 2018년
6.2.1. 시즌1
6.2.2. 시즌2
6.3. 2019년
6.4. 2020년
6.4.1. 시즌1
6.4.2. 시즌2
6.4.3. 시즌3
6.4.4. Grand Final
6.5. 2021년
6.5.1. 시즌1
6.5.2. 시즌2
6.5.3. 시즌3
6.5.4. Grand Final[2]
6.5.4.1. DAY1
6.5.4.1.1. A조
6.5.4.1.2. B조
6.5.4.1.3. C조
6.5.4.1.4. D조
6.5.4.2. DAY2
6.6. 2022년[4]
6.6.1. 슈퍼 토너먼트 WINTER
6.6.2. 시즌1
6.6.3. 슈퍼 토너먼트 SPRING
6.6.4. 시즌2
6.6.5. 슈퍼 토너먼트 SUMMER[5]
6.6.6. 시즌3
6.6.7. 슈퍼 토너먼트 AUTUMN[6]
6.6.8. Grand Final
6.6.8.1. DAY1
6.6.8.1.1. A조
6.6.8.1.2. B조
6.6.8.1.3. C조
6.6.8.1.4. D조
6.6.8.2. DAY2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pbs.twimg.com/DAFxLsaU0AETuVe.jpg파일:3atl.jpg
2017~2018년 로고.2020년 이후 로고.

아프리카TV의 철권 대회. 2018년까지는 아프리카TV에서 주최하고 나이스게임TV에서 주관, 제작했다. 아프리카 방송국

2020년에는 아프리카TV가 ATL의 주최, 주관, 제작을 모두 맡으면서 대회 방식과 해설진이 바뀌었다.2020 ATL 대회 방식


2. 위상[편집]


2018년까지는 무릎을 비롯한 다수의 프로 선수들이 참가했던 시즌3까지는 상당한 인기를 끌었으나, 이후 TWT로 인한 다수의 프로들의 해외 출국과 OSL Futures 등 경쟁 대회들의 등장으로 시즌4와 시즌5는 언더독 선수들 위주의 대회가 되었다.

이후 코로나 19로 인해 TWT가 취소된 2020년부터서 ATL은 2022년 TWT가 다시 개최되기 전까지 그 공백기를 채워준, TWT를 정신적으로 계승했던 대회라는 평가를 받으며 국내 철권 유저들에게 큰 호응을 받았다.

흥행적인 성과 면에서도, ATL은 한국 철권계의 전반적인 실력을 끌어올려주며 다양한 언더독 유저들에게 이름을 알릴 기회를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전까지 열렸던 TWT는 한국에서 열리는 마스터, 도조급 TWT를 제외하면 국내 고수들이 대회에 참가할 기회가 없었고, 프로 소속팀이 있지 않고서는 궁극적인 목표인 GRAND FINAL에 진출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웠다.

그러나, ATL은 대회의 구성 방식은 TWT와 동일하면서도 그간 대회 출전을 할 수 없었던 다수의 국내의 재야 고수들이 출전하며 기존 프로들의 대회 감각 유지 및 연습에 큰 기여를 했으며, 아마추어 유저들에게도 고어택, HAO처럼 과거의 전설로 불리우던 선수의 성공적인 복귀 기회를 만들어주거나, 모쿠준, 갈공이 등 새로운 고수 유저들의 발굴, 그리고 K2RO처럼 프로 입단을 성사시키는 성과를 이루어냈다.

다만 ATL이 TWT 마스터급 수준의 위상을 가졌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린다. 에보에서 9위를 차지한 인페스티드는 'ATL이 에보보다 어렵다' 라고 발언했고, 이후 슈퍼 토너먼트에서 일본의 프로 선수들이 8강에조차 진출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이러한 의견이 강세를 보일 때도 있었지만, 2023년 TWT가 재개되면서 파키스탄 선수들의 강세와, 유럽의 JOKA 등 여러 지역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이는 선수들의 등장으로 한국 철권이 비교적 2019년 이후로 국제전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3. 대회 구성[편집]



3.1. DAY (데이)[편집]



  • Afreeca TV Tekken League (이하 ATL)에서 가장 작은 규모의 대회로 한개의 시즌 동안 6주에 걸쳐 총 여섯번[7] 개최되며, 선수들은 이 대회들을 거치며 포인트를 획득하여 포인트 상위 7명에겐 해당 시즌의 파이널 진출권이 주어진다.

  • 우승 횟수에 따라 상금도 있으며, DAY에서 모은 상금은 시즌 파이널이 끝난 후 선수들에게 일괄 지급된다.

  •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핑 문제로 인하여 한국에 거주하는 플레이어가 아니면 참가가 불가능하다.

  • 참가자에 대한 계급 제한이 있으며, 의자단 (Mighty Ruler)계급 미만은 참가가 불가능하다.


3.2. Super Tournament (슈퍼 토너먼트)[8][편집]



  • ATL이 진행되는 1년 동안 겨울, 봄, 여름, 가을에 걸쳐 총 네번 개최되며, 대회 정식 명칭도 '슈퍼 토너먼트 'Winter, Spring 등' 뒤에 계절이 붙는다.

  • 한번에 DAY포인트의 두배를 획득 할 수 있으며, 이는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DAY 특성상 참가하지 못하는 외국 선수들을 위해 단 한번의 우승으로 연말에 열리는 그랜드 파이널 진출권을 획득할 수 있게 한 것이다.

  • 이틀에 걸쳐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며, DAY와 달리 계급 제한이 없다.

  • 첫날은 총 네개의 조로 나누어 각 조별 1,2위를 선발하여 다음날 본선 8강에서 맞붙게 될 매치를 정하고,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자를 가린다.

  • 슈퍼 토너먼트에서 획득하는 포인트는 시즌이 아닌, 연말 그랜드 파이널 진출 포인트로만 인정된다.

  • 상금은 1위 350만원, 2위 100만원, 3위 50만원이다.


3.3. Season Final (시즌 파이널)[편집]



  • ATL에서 두번째로 큰 대회이고, ATL이 진행되는 1년 동안 시즌1, 시즌2, 시즌3 이렇게 총 3개의 시즌이 개최되며, 한 시즌을 마무리하며 해당 시즌의 최강자를 가리는 대회이다.

  • 해당 시즌의 DAY 포인트 총합의 상위 7명이 선발되어 진행되고, 마지막 8번째인 나머지 한 자리는 Tekken World Tour와 동일하게 LCQ(Last Chance Qualifier)로 정한다.

  • LCQ가 끝난 뒤 추첨을 통해 각자의 시즌 파이널 상대가 정해지며, DAY포인트 1~7위 선수와 LCQ선수 총 8명이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를 진행하여 우승자를 가리는 방식이다.

  • 상금은 1위 500만원, 2위 250만원, 3위 150만원, 4위 100만원이다.

  • 우승자에겐 트로피가 수여되며, 시즌 파이널의 트로피는 길쭉한 생김새 덕에 일명 '샴푸통 트로피'라고 불린다.[9][10]

시즌 파이널 트로피
[ 펼치기 · 접기 ]

파일:Re.ghgh.png



3.4. Grand Final (그랜드 파이널)[편집]



  • ATL이 진행되는 1년에 단 한번 개최되는 총 결산 대회이며, 물론 ATL 리그에서 가장 큰 대회이다.

  • 연말인 12월에 개최되고, 한해동안 획득한 포인트 총합 상위 16명이 진출하여, 1년 동안의 리그에서 가장 강한 선수를 뽑는 자리이다.

  • ATL2020 시절에는 상위 8명이 진출하여 시즌 파이널과 동일한 방식으로 우승자를 가렸지만 21년도 부터는 개정되어 대회 일수가 이틀로 늘어나고, 16명이 경기를 하며, 첫날은 조별 토너먼트로 각 조별 상위 2명을 선발하여 이튿날 8강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를 진행하여 우승자를 가리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 그랜드 파이널 진출자 중 총합 포인트 상위 4인의 선수는 시드를 부여 받고, 그 아래의 선수들이 추첨을 통해 정해진 조를 보고 1위부터 4위까지의 선수들 순서대로 조에 이미 배정된 상대 선수들을 보고 원하는 조에 들어가서 경기를 할 수 있다. 이 역시 세계대회인 TWT FInals의 방식과 같다.

  • 상금은 1위 1000만원, 2위 500만원, 3위 200만원, 4위 100만원, 5위와 6위 각 60만원, 7위와 8위 각 40만원. 이렇게 총 상금 2천만원 이며, 이는 철권 대회 중 단연 손꼽히는 상금 풀이다.[11]

  • 우승자에겐 트로피가 수여되며, 그랜드 파이널의 트로피는 시즌 파이널의 트로피와 달리, 크기가 훨씬 크며, 형태도 통상적인 트로피의 모습이다.

그랜드 파이널 트로피
[ 펼치기 · 접기 ]

파일:Grand Final Trophy_R.png


4. 역대 해설진[편집]


  • 홀스 캐스터 (2017~2018)
  • 소용돌이 해설 위원 (2017~2018)
  • 채민준 캐스터 (2020~)
  • 정인호 캐스터 (2020~2021)
  • 락동민 캐스터 / 해설 위원[12] (2020~)
  • 아빠킹 해설 위원 (2020)
  • 구라 해설 위원 (2020~)
  • 웨까 해설 위원 (2021~)


5. 역대 파이널급 우승자[편집]


ATL Grand Final 우승자 [13]
ATL 2020
JDCR
ATL 2021
Knee
ATL 2022
Ulsan


6. 역대 대회[편집]



6.1. 2017년[편집]


ATL/2017년 참조.


6.2. 2018년[편집]



6.2.1. 시즌1[편집]


이번 시즌부터 온라인 매치로 바뀌었고, 특히 유투브에서는 썸네일의 '승자 선공개' 문제에 대해서 거센 비판을 받았다. 또한 시즌 후반부에는 엠아재가 나이스게임과의 경기 송출권 분쟁에 관한 내용을 철갤에다 쓰며 논란이 되기도 했다. 여하튼 이런저런 문제 때문에, 이번 시즌부터 ATL에 대한 관심이 크게 식었다.

16강 첫 경기에서 무릎이 탈락하는 이변이 있었다. 무릎을 탈락시킨 주인공은 바로 촉새로, 대회에서 기원초를 쓰는 명장면을 보이기도 했다. 무릎이 떨어지며 자연스럽게 신예 선수들이 주목받게 되었고, 지난 시즌 준우승자 울산고딩과, 처음으로 대회에 참가한 정의아재, 그리고 물골드가 주목받았다. 4강에서 울산고딩이 물골드에게 떨어지고, 결승에서는 정의아재와 물골드 선수가 붙게 되었다. 결과는 물골드의 압승. 8강에서 물골드 선수가 이미 정의아재 선수를 상대로 압승을 거둔 적이 있었는데, 결승전에서도 크게 결과가 다르지 않았다.


6.2.2. 시즌2[편집]


지난 시즌까지 꾸준히 참가한 무릎, 샤넬, 로하이 등 프로게이머들이 반다이 남코 공인 철권 세계대회인 Tekken World Tour 일정 때문에 대거 불참하며, 그간 묻혀온 재야 고수들이 대거 참전했다. 16강에서 지난 시즌 준우승자 혜택을 받아 바로 출전한 정의아재가 바로 광탈하는 이변이 있었다. 우승자는 고어택으로, 마스터 레이븐을 쓰던 그간의 플레이와는 다르게 정주금계 심리전을 사용한 플레이로 간만에 대회에서 레오를 볼 수 있었다.


6.3. 2019년[편집]


TWT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주요 선수들이 해외에 체류하다보니 진행이 어려워져서 개최되지 못했다. 관련기사


6.4. 2020년[편집]


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으로 인해 TWT 개최가 불가능해지자, 국내에서 이와 유사한 룰을 채택하여 ATL 대회가 다시 개최되었다.

6.4.1. 시즌1[편집]



최종 순위소속선수순위DAY포인트상금
우승ROX무릎3위625₩1,250,000+₩5,000,000
2위EQNX울산7위378₩664,000+₩2,500,000
3위UYU로하이4위488₩976,000+₩1,500,000
4위-Meo-IL1위965₩1,930,000+₩1,000,000
5위-망자2위923₩1,846,000
ROX샤넬6위378₩756,000
7위-헬프미8위297₩594,000
AF체리베리망고5위424₩848,000

6일간에 걸친 토너먼트전에서 점수를 획득하고, 점수 상위 7명과 LCQ 우승자가 시즌1 파이널 토너먼트에 진출하여 시즌1 최종 우승자를 가렸다.
관련 기사


6.4.2. 시즌2[편집]


최종 순위소속선수순위DAY포인트상금
우승EQNX울산2위955₩1,910,000+₩5,000,000
2위ROX무릎1위1138₩2,276,000+₩2,500,000
3위UYU로하이3위833₩1,666,000+₩1,500,000
4위-물골드12위88₩176,000+₩1,000,000
5위ROX샤넬6위278₩556,000
-Meo-IL7위193₩386,000
7위-JDCR4위703₩1,406,000
GGSAINT5위319₩638,000


6.4.3. 시즌3[편집]



최종 순위소속선수순위DAY포인트상금
우승UYU로하이4위565₩1,130,000+₩5,000,000
2위ROX무릎2위1005₩2,010,000+₩2,500,000
3위EQNX울산1위1248₩2,496,000+₩1,500,000
4위UYU전띵3위760₩1,520,000+₩1,000,000
5위-망자5위361₩722,000
-빵쟁이6위246₩492,000
7위-Meo-IL7위188₩376,000
ROX퓨마9위157₩314,000




6.4.4. Grand Final[편집]


최종 순위상금선수
우승₩10,000,000김현진
JDCR
준우승₩5,000,000배재민
KNEE
3위₩2,000,000오대일
Wa! Meo-IL!
4위₩1,000,000전상현
JeonDDing
5-6위₩600,000윤선웅
LowHigh
임수훈
ULSAN
7-8위₩400,000박건호
게임하는망자
한재균
물골드

6.5. 2021년[편집]




6.5.1. 시즌1[편집]



최종 순위소속선수순위DAY포인트상금
우승UYU로하이1위1581₩3,162,000+₩5,000,000
2위AF체리베리망고6위318₩636,000+₩2,500,000
3위-Meo-IL3위673₩1,346,000+₩1,500,000
4위ROX무릎2위879₩1,758,000+₩1,000,000
5위-망자4위597₩1,194,000
-족레5위434₩868,000
7위-풍호7위520₩402,000
-JDCR30위21₩42,000


6.5.2. 시즌2[편집]



최종 순위소속선수순위DAY포인트상금
우승UYU로하이2위793₩1,586,000+₩5,000,000
2위-GoAttack6위453₩906,000+₩2,500,000
3위-Meo-IL7위450₩900,000+₩1,500,000
4위AF체리베리망고3위520₩1,040,000+₩1,000,000
5위ROX무릎1위1028₩2,056,000
GGSAINT4위378₩756,000
7위UYU전띵14위117₩234,000
-망자5위456₩912,000


6.5.3. 시즌3[편집]



최종 순위소속선수순위DAY포인트상금
우승ROX무릎1위1470₩2,940,000+₩5,000,000
2위-GoAttck2위881₩1,762,000+₩2,500,000
3위AFMeo-IL4위525₩1,050,000+₩1,500,000
4위-빵쟁이26위33₩66,000+₩1,000,000
5위-hao6위289₩578,000
UYU전띵3위560₩1,120,000
7위-망자5위520₩1,040,000
-K2RO7위273₩546,000


6.5.4. Grand Final[14][편집]



6.5.4.1. DAY1[편집]


6.5.4.1.1. A조[편집]

구분1경기2경기승자전패자전최종전
선수CBM퓨마샤넬망자CBM샤넬퓨마망자CBM망자
승자CBM샤넬샤넬망자망자


6.5.4.1.2. B조[편집]

구분1경기2경기승자전패자전최종전
선수족레K2RO빵쟁이무릎족레빵쟁이K2RO무릎빵쟁이무릎
승자족레빵쟁이족레무릎무릎

6.5.4.1.3. C조[편집]

구분1경기2경기승자전패자전최종전
선수전띵JDCR모쿠준머일전띵모쿠준JDCR머일모쿠준머일
승자전띵머일전띵머일모쿠준

6.5.4.1.4. D조[편집]

구분1경기2경기승자전패자전최종전
선수세인트하오꼬꼬마고어택하오고어택세인트꼬꼬마고어택꼬꼬마
승자하오고어택하오꼬꼬마고어택

6.5.4.2. DAY2[편집]

최종 순위상금선수
우승₩10,000,000배재민
KNEE
준우승₩5,000,000강성호
CHANEL
3위₩2,000,000이찬모
족레
4위₩1,000,000김지환
Go Attack
5-6위₩600,000이진우
Hao
전상현
JeonDDing
7-8위₩400,000박건호
게임하는망자
성목준
모쿠준


6.6. 2022년[16][편집]




6.6.1. 슈퍼 토너먼트 WINTER[편집]



최종 순위소속선수조 순위획득 포인트상금
우승DRX무릎A조 2위800₩3,500,000
2위-JDCRB조 1위400₩1,000,000
3위-K2ROC조 2위200₩500,000
4위-족레B조 2위100₩0
5위DRXInfestedD조 2위70₩0
EQNXEyemusicianD조 1위70₩0
7위-망자C조 1위40₩0
-쿠단스A조 1위40₩0



6.6.2. 시즌1[편집]



최종 순위소속선수순위DAY포인트상금
우승DRX무릎1위1270₩2,540,000+₩5,000,000
2위DRX샤넬4위281₩562,000+₩2,500,000
3위-GoAttack9위140₩280,000+₩1,500,000
4위Talon꼬꼬마2위530₩1,060,000+₩1,000,000
5위-빵쟁이10위137₩1,846,000
GGSAINT5위278₩556,000
7위-망자6위210₩420,000
UYU전띵7위195₩390,000



6.6.3. 슈퍼 토너먼트 SPRING[편집]



최종 순위소속선수조 순위획득 포인트상금
우승KDF체리베리망고C조 1위800₩3,500,000
2위GGSAINTD조 2위400₩1,000,000
3위-도토링D조 1위200₩500,000
4위-보아꽃B조 2위100₩0
5위DRX무릎A조 1위70₩0
DRX샤넬B조 1위70₩0
7위-GoAttackA조 2위40₩0
KDFMeo-ILC조 2위40₩0



6.6.4. 시즌2[편집]



최종 순위소속선수순위DAY포인트상금
우승-GoAttack7위163₩326,000+₩5,000,000
2위-망자2위503₩1,006,000+₩2,500,000
3위UYU전띵3위483₩966,000+₩1,500,000
4위DRX무릎1위830₩1,660,000+₩1,000,000
5위-보아꽃5위295₩1,846,000
-JDCR4위406₩812,000
7위KDFMeo-IL6위294₩588,000
-연아랑11위130₩260,000



6.6.5. 슈퍼 토너먼트 SUMMER[17][편집]



최종 순위소속선수조 순위획득 포인트상금
우승DRX무릎A조 2위800₩3,500,000
2위-울산C조 2위400₩1,000,000
3위KDFMeo-ILA조 1위200₩500,000
4위-JDCRD조 1위100₩0
5위-갈공이D조 2위70₩0
-퓨마B조 1위70₩0
7위-멍구리B조 2위40₩0
DH.CNJ전띵C조 1위40₩0



6.6.6. 시즌3[편집]



최종 순위소속선수순위DAY포인트상금
우승DRX무릎2위654₩1,308,000+₩5,000,000
2위KDFMeo-IL7위151₩302,000+₩2,500,000
3위KDF울산1위1215₩2,430,000+₩1,500,000
4위D.USG랑추3위500₩1,000,000+₩1,000,000
5위-Imyourfather6위181₩362,000
-망자13위61₩122,000
7위KDF체리베리망고5위195₩390,000
-Eyemusician4위270₩540,000



6.6.7. 슈퍼 토너먼트 AUTUMN[18][편집]



최종 순위소속선수조 순위획득 포인트상금
우승DRX무릎B조 2위800₩3,500,000
2위D.USG랑추C조 2위400₩1,000,000
3위-망자B조 1위200₩500,000
4위DRX샤넬A조 2위100₩0
5위-NoromaA조 1위70₩0
-도토링D조 2위70₩0
7위KDFMeo-ILD조 1위40₩0
KDF체리베리망고C조 1위40₩0



6.6.8. Grand Final[편집]



6.6.8.1. DAY1[편집]


6.6.8.1.1. A조[편집]

구분1경기2경기승자전패자전최종전
선수JDCR퓨마세인트CBMJDCRCBM퓨마세인트JDCR세인트
승자JDCRCBMCBM세인트JDCR


6.6.8.1.2. B조[편집]

구분1경기2경기승자전패자전최종전
선수랑추고어택무릎연아랑고어택무릎랑추연아랑무릎연아랑
승자고어택무릎고어택연아랑무릎

6.6.8.1.3. C조[편집]

구분1경기2경기승자전패자전최종전
선수머일K2RO도토링망자머일망자K2RO도토링망자도토링
승자머일망자머일도토링망자

6.6.8.1.4. D조[편집]

구분1경기2경기승자전패자전최종전
선수전띵샤넬보아꽃울산샤넬울산전띵보아꽃울산전띵
승자샤넬울산샤넬전띵울산

6.6.8.2. DAY2[편집]

최종 순위상금선수
우승₩10,000,000임수훈
Ulsan
준우승₩5,000,000배재민
Knee
3위₩2,000,000박건호
망자
4위₩1,000,000오대일
Meo-IL
5-6위₩600,000김현진
JDCR
강성호
Chanel
7-8위₩400,000김재현
체리베리망고
김지환
Go Attack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0 14:49:36에 나무위키 AfreecaTV TEKKEN League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2년도 부터 시행됨.[2] 포인트 상위 8명이 출전했던 2020년도의 그랜드 파이널과는 다르게 16명이 출전하며, 이틀에 나눠서 첫 날은 조별 토너먼트로 각 조 마다 상위 2명씩 뽑고, 이튿날에 이뤄지는 본선 8강에서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3] 'Winter, Spring, Summer, Autumn' 총 네개로 나뉘어 있으며, 우승자에겐 일반DAY 우승 포인트의 2배를 지급하고, 단 한번의 우승으로 연말 그랜드파이널 포인트를 안정권으로 끌어올려 진출할 수 있는 기회이다. 이는 일반 DAY에 참가하지 못하는 외국 선수들을 겨냥한 것이기도 하며, 총 이틀에 걸쳐 오프라인으로 진행된다.[4] 22년도 시즌부터는 6개였던 'DAY'를 4개로 축소하고, 각 분기마다 계절별 '슈퍼 토너먼트[3]'를 추가한다. [5] 일본의 철권팀인 DONUTS USG 소속의 GEN, PINYA, 랑추가 초청형태로 참여, 병역을 마친 울산이 복귀[6] 일본의 철권팀인 DONUTS USG 소속의 랑추, THY 소속의 치쿠린, 前COOAS Games 소속의 NOROMA가 초청형태로 참여. [7] 22년도 부터는 4주에 걸쳐 네번[8] 22년도 부터 시행됨.[9] ATL 대회 관계자가 밝히길 시즌 파이널 트로피에는 'Champion'이 아닌 '1st'라고 쓰여져 있으며, 이는 리그의 챔피언과, 시즌 우승자는 의미가 다르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챔피언이라는 문구는 오직 그랜드 파이널 트로피에만 쓰인다고 밝힌 바 있다.[10] 옆 동네에서 시즌 6부터 11까지 주던 트로피와 모양이 비슷하다.[11] 격투게임 대회 중 가장 큰 규모라고 알려진 EVO의 철권7 우승 상금이 1500인 것을 감안하면, 1년 내내 진행되는 국내 리그 중 하나의 대회만으로도 이 정도의 상금인 것은 전 세계 철권씬에서 최고의 수준이다.[12] 아빠킹, 구라, 웨까 해설과 중계시에는 캐스터를, 채민준, 정인호 캐스터와 중계시에는 해설 역할을 맡는다[13] ATL 파이널의 방식이 이전과는 차이가 있기에, 20년도 부터의 Grand Final만 기재.[14] 포인트 상위 8명이 출전했던 2020년도의 그랜드 파이널과는 다르게 16명이 출전하며, 이틀에 나눠서 첫 날은 조별 토너먼트로 각 조 마다 상위 2명씩 뽑고, 이튿날에 이뤄지는 본선 8강에서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15] 'Winter, Spring, Summer, Autumn' 총 네개로 나뉘어 있으며, 우승자에겐 일반DAY 우승 포인트의 2배를 지급하고, 단 한번의 우승으로 연말 그랜드파이널 포인트를 안정권으로 끌어올려 진출할 수 있는 기회이다. 이는 일반 DAY에 참가하지 못하는 외국 선수들을 겨냥한 것이기도 하며, 총 이틀에 걸쳐 오프라인으로 진행된다.[16] 22년도 시즌부터는 6개였던 'DAY'를 4개로 축소하고, 각 분기마다 계절별 '슈퍼 토너먼트[15]'를 추가한다. [17] 일본의 철권팀인 DONUTS USG 소속의 GEN, PINYA, 랑추가 초청형태로 참여, 병역을 마친 울산이 복귀[18] 일본의 철권팀인 DONUTS USG 소속의 랑추, THY 소속의 치쿠린, 前COOAS Games 소속의 NOROMA가 초청형태로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