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 크로포드

덤프버전 :

}}} ||



J.P. 크로포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191919,#ffffff ||<-5><table width=100%><bgcolor=#e81828> '''{{{#ffffff 1965년 ~}}}''' || ||<width=20%> {{{-1 1965}}}[br]--[[마이크 애덤슨]]--[br]{{{-2 투수 / 전체 18번}}} ||<width=20%> {{{-1 1966}}}[br]마이클 비코[br]{{{-2 투수 / 전체 9번}}} ||<width=20%> {{{-1 1967}}}[br]필 마이어[br]{{{-2 투수 / 전체 14번}}} ||<width=20%> {{{-1 1968}}}[br][[그렉 루진스키]][br]{{{-2 1루수 / 전체 11번}}} ||<width=20%> {{{-1 1969}}}[br][[마이크 앤더슨(1951)|마이크 앤더슨]][br]{{{-2 1루수 / 전체 6번}}} || || {{{-1 1970}}}[br]마이크 마틴[br]{{{-2 투수 / 전체 5번}}} || {{{-1 1971}}}[br][[로이 토마스]][br]{{{-2 투수 / 전체 6번}}} || {{{-1 1972}}}[br][[래리 크리스텐슨]][br]{{{-2 투수 / 전체 3번}}} || {{{-1 1973}}}[br][[존 스턴스]][br]{{{-2 포수 / 전체 2번}}} || {{{-1 1974}}}[br][[로니 스미스]][br]{{{-2 외야수 / 전체 3번}}} || || {{{-1 1975}}}[br]새미 웰본[br]{{{-2 투수 / 전체 12번}}} || {{{-1 1976}}}[br]제프 크라우스[br]{{{-2 유격수 / 전체 17번}}} || {{{-1 1977}}}[br][[스캇 머닝호프]][br]{{{-2 투수 / 전체 22번}}} || {{{-1 1978}}}[br]립 롤린스[br]{{{-2 1루수 / 전체 23번}}} || {{{-1 1979}}}[br][[마크 데이비스]][br]{{{-2 투수 / 전체 1번}}} || || {{{-1 1980}}}[br]헨리 포웰[br]{{{-2 포수 / 전체 13번}}} || {{{-1 1981}}}[br][[자니 아브레고]][br]{{{-2 투수 / 전체 20번}}} || {{{-1 1982}}}[br][[존 러셀(야구)|존 러셀]][br]{{{-2 포수 / 전체 13번}}} || {{{-1 1983}}}[br][[리키 조던]][br]{{{-2 1루수 / 전체 22번}}} || {{{-1 1984}}}[br][[피트 스미스]][br]{{{-2 투수 / 전체 21번}}} || || {{{-1 1985}}}[br]트레이 맥칼[br]{{{-2 포수 / 전체 16번}}} || {{{-1 1986}}}[br][[브래드 브링크]][br]{{{-2 투수 / 전체 7번}}} || --{{{-1 1987}}}--[br]{{{-2 FA [[랜스 패리시]]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1988}}}[br][[팻 콤스]][br]{{{-2 투수 / 전체 11번}}} || {{{-1 1989}}}[br]제프 잭슨[br]{{{-2 외야수 / 전체 4번}}} || || {{{-1 1990}}}[br][[마이크 리버설]][br]{{{-2 포수 / 전체 3번}}} || {{{-1 1991}}}[br][[타일러 그린]][br]{{{-2 투수 / 전체 10번}}} || {{{-1 1992}}}[br]채드 맥코넬[br]{{{-2 외야수 / 전체 13번}}} || {{{-1 1993}}}[br][[웨인 고메스]][br]{{{-2 투수 / 전체 4번}}} || {{{-1 1994}}}[br][[칼튼 로워]][br]{{{-2 투수 / 전체 23번}}} || || {{{-1 1995}}}[br][[레지 테일러]][br]{{{-2 외야수 / 전체 14번}}} || {{{-1 1995[* FA [[대니 잭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데이브 코긴]][br]{{{-2 투수 / 전체 30번}}} || {{{-1 1996}}}[br][[애덤 이튼(1977)|애덤 이튼]][br]{{{-2 투수 / 전체 11번}}} || {{{-1 1997}}}[br]--[[J.D. 드류]]--[br]{{{-2 외야수 / 전체 2번}}} || {{{-1 1998}}}[br][[팻 버렐]][br]{{{-2 3루수 / 전체 1번}}} || || {{{-1 1998[* [[J.D. 드류]]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br][[에릭 발렌트]][br]{{{-2 외야수 / 전체 42번}}} || {{{-1 1999}}}[br][[브렛 마이어스]][br]{{{-2 투수 / 전체 12번}}} || {{{-1 2000}}}[br][[체이스 어틀리]][br]{{{-2 2루수 / 전체 15번}}} || {{{-1 2001}}}[br][[개빈 플로이드]][br]{{{-2 투수 / 전체 4번}}} || {{{-1 2002}}}[br][[콜 해멀스]][br]{{{-2 투수 / 전체 17번}}} || || --{{{-1 2003}}}--[br]{{{-2 FA [[짐 토미]]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2004}}}[br][[그렉 골슨]][br]{{{-2 외야수 / 전체 21번}}} || --{{{-1 2005}}}--[br]{{{-2 FA [[존 리버]]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2006[* FA [[빌리 와그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카일 드라벡]][br]{{{-2 투수 / 전체 18번}}} || {{{-1 2006[*3]}}}[br][[아드리안 카데나스]][br]{{{-2 유격수 / 전체 37번}}} || || --{{{-1 2006}}}--[br]{{{-2 FA [[톰 고든]]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2007}}}[br][[조 사베리]][br]{{{-2 투수 / 전체 19번}}} || {{{-1 2007[* FA [[데이비드 델루치]]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트래비스 다노]][br]{{{-2 포수 / 전체 37번}}} || {{{-1 2008}}}[br]앤서니 헤위트[br]{{{-2 유격수 / 전체 24번}}} || {{{-1 2008[* FA [[애런 로완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잭 콜리어[br]{{{-2 외야수 / 전체 34번}}} || || --{{{-1 2009}}}--[br]{{{-2 FA [[라울 이바녜즈]]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2010}}}[br][[제시 비들]][br]{{{-2 투수 / 전체 27번}}} || {{{-1 2011[* FA [[제이슨 워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래리 그린[br]{{{-2 외야수 / 전체 39번}}} || --{{{-1 2011}}}--[br]{{{-2 FA [[클리프 리]]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2012[* FA [[라이언 매드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셰인 왓슨[br]{{{-2 투수 / 전체 40번}}} || || {{{-1 2012[* FA [[라울 이바녜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미치 귤러[br]{{{-2 투수 / 전체 54번}}} || --{{{-1 2012}}}--[br]{{{-2 FA [[조나단 파펠본]]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2013}}}[br][[J.P. 크로포드]][br]{{{-2 유격수 / 전체 16번}}} || {{{-1 2014}}}[br][[애런 놀라]][br]{{{-2 투수 / 전체 7번}}} || {{{-1 2015}}}[br]코넬리우스 랜돌프[br]{{{-2 유격수 / 전체 10번}}} || || {{{-1 2016}}}[br][[미키 모니악]][br]{{{-2 외야수 / 전체 1번}}} || {{{-1 2017}}}[br][[애덤 해슬리]][br]{{{-2 외야수 / 전체 8번}}} || {{{-1 2018}}}[br][[알렉 봄]][br]{{{-2 3루수 / 전체 3번}}} || {{{-1 2019}}}[br][[브라이슨 스탓]][br]{{{-2 유격수 / 전체 14번}}} || {{{-1 2020}}}[br]믹 아벨[br]{{{-2 투수 / 전체 15번}}} || || {{{-1 2021}}}[br]앤드류 페인터[br]{{{-2 투수 / 전체 13번}}} || {{{-1 2022}}}[br]저스틴 크로포드[br]{{{-2 외야수 / 전체 17번}}} || {{{-1 2023}}}[br]아이댄 밀러[br]{{{-2 유격수 / 전체 27번}}} ||<-2> [[필라델피아 필리스|[[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엠블럼.svg|width=70]]]] || ||<-5> * {{{-2 --취소선-- 처리된 선수는 필리스 구단과 계약하지 않은 선수[br][각주]}}} ||



J.P. 크로포드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0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유격수 부문 골드 글러브
프란시스코 린도어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J.P. 크로포드
(시애틀 매리너스)
카를로스 코레아
(휴스턴 애스트로스)

필라델피아 필리스 등번호 2번
타일러 괴델
(2016)
J.P. 크로포드
(2017~2018)
진 세구라
(2019~2022)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3번
마이크 주니노
(2013~2018)
J.P. 크로포드
(2019~)
현역

파일:J.P.Crawford.jpg
시애틀 매리너스 No.3
J.P. 크로포드
J.P. Crawford
본명존 폴 크로포드
John Paul Crawford
출생1995년 1월 11일 (29세)
캘리포니아 주 롱비치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학력레이크우드 고등학교
신체188cm / 90kg
포지션유격수, 2루수
투타우투좌타
프로입단2013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6번, PHI)
소속팀필라델피아 필리스 (2017~2018)
시애틀 매리너스 (2019~)
등장곡Fortunate Youth & Mellow Mood - Around The World
계약2022 - 2026 / $51,000,000
연봉2023 / $10,000,000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가족사촌 칼 크로포드

1. 개요
2. 선수 경력
3. 플레이 스타일
4. 수상 내역
5. 연도별 성적
6. 기타



1. 개요[편집]


파일:J.P. Crawford.jpg

시애틀 매리너스 소속 내야수. 주로 유격수를 뛴다.


2. 선수 경력[편집]


레이크우드 고등학교에서 4시즌동안 131경기 82타점 73도루 타/출/장 .417/.512/.596을 기록한 유망주였고, 2013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6번으로 필라델피아 필리스에 지명되었다.


2.1. 필라델피아 필리스[편집]


파일:Phily_jp.jpg
2015년 루키, 싱글A 하이 싱글A를 차례대로 졸업하고 더블A에서 전반기동안 타/출/장 .273/.378/.400 wRC+ 127을 기록하며 더블A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2016 베이스볼 아메리카 유망주 순위 6위에 올랐다. 비슷한 수준의 역대 탑급 유망주들의 성적은 메이저 리그 유망주 순위를 참조. 수비력은 이미 완성이 되었고 타격도 발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2017년 트리플A에서 127경기 15홈런 .243/.351/.405의 성적을 기록하던 중 마이켈 프랑코가 부진하자 로스터 확장 기간 때 22세의 어린 나이로 콜업되었다.

다만 최종성적은 타/출/장 .214/.356/.300 wRC+ 83으로 아쉬웠다. 특히 삼진율이 무려 25%가 넘었다.



2018년 시즌 전 필리스는 주전 유격수 프레디 갈비스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로 트레이드하며, 크로포드에게 개막전 주전 유격수 자리를 맡겼다. 리빌딩의 결실을 보려는 필리스가 코어 중 하나로 그를 택한 것이다.

하지만, 34경기 홈런 2개 타/출/장 .194/.312/.333 wRC+ 81에 삼진율은 30%에 육박하며 부진하던 중 6월 19일 투구에 맞아 왼손이 부러져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 재활을 하고 돌아온 뒤론 15경기 4타점 타/출/장 .292/.346/.625 wRC+ 155 삼진율도 15%로 낮추며 환골탈태 하나 싶었지만, 결국 다시 부진에 빠지며 시즌 최종 타율 .214 OPS .712에 그쳤다.

결국 시즌 후 12월 3일 진 세구라 트레이드에 포함되어 시애틀 매리너스로 이적했다. 즉, 필리스가 포기한 탑망주.


2.2. 시애틀 매리너스[편집]


파일:J.p.crawford.jpg

2019년 트리플A에서 3홈런, 15타점 .319/.420/.457을 기록하며 콜업되었다.

시즌 최종 성적은 93경기 7홈런 46타점 .226/.313/.371 wRC+ 87.



2020년 매리너스의 주전 유격수가 되었고. 비록 단축시즌이긴 하지만 아메리칸리그 유격수 골드 글러브를 수상했다.



2021년 6월 19일 조시 플레밍을 상대로 데뷔 첫 만루홈런을 때렸다.

시즌 성적은 9홈런 .273/.338/.376 wRC+ 103 fWAR 3.3으로 커리어하이를 기록했다.



2022년 4월 8일, 시애틀과 5년 5,100만 달러의 연장 계약을 맺었다. 세대교체가 활발히 진행 중인 시애틀에서 비교적 오래 재적한 덕에 사실상 클럽하우스 리더가 되었고 팀을 잘 이끌고 있다는 평가다.

풀타임 유격수로 뛰면서 시애틀의 21년만의 가을야구 진출에 한 몫을 했다. 다만 수비 지표가 떨어진 모습을 보여 반등이 요망된다.[1]



2023년 갑자기 타격에 눈을 뜨고 있다. 삼진 머신들이 즐비한 공갈포 타선 속에서 비교적 높은 출루율을 얻는 덕에 1번타자 리드오프 역할을 맡고 있다.

9월 28일 팀의 포스트시즌 진출 희망이 걸린 텍사스 레인저스와의 경기 9회 2사 만루에서 끝내기 안타를 쳤다.

시즌 최종 .266 .380 .438 .818 wRC+ 134 fWAR 4.9 bWAR 5.0이라는 개인 커리어 최고 성적을 올렸다. 비록 팀은 접전끝에 아쉬운 포스트시즌 탈락을 했지만, 크로포드는 이대로면 장기계약이 혜자로 재평가될만큼 큰 발전을 이뤄낸 시즌이다.


3. 플레이 스타일[편집]


J.P. 크로포드의 비거리 130M 홈런[2]
J.P. 크로포드의 호수비[3]
마이너리그 시절 높은 평가를 받았고 남들보다 빠른 레벨 승급과 빅리그 데뷔를 하면서 엘리트 코스를 밟은 대형 유격수 유망주였다. 하지만 타격이 성장하지 못하며 수비형 유격수에 머물렀다.

공을 많이 보는 편이며 2할 초중반 타율과 3할 초중반 출루율을 오가는데 장타력이 부족해 OPS 7할 내외에서 논다. 그래도 탄탄한 기본기와 동물적 감각의 수비력만큼은 리그 정상급으로 평가받았으며 2020년에는 유격수 골드 글러브도 수상하였다.

그러다 2023년 스타일이 뒤바뀌게 된다. 오프시즌 타격 교정을 한 뒤 19홈런에 wRC+ 134, WAR 5.0[4]을 기록하면서 공격에서 기여도가 뛰어난 타자로 올라섰는데, 반대로 수비 지표는 떨어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5]


4. 수상 내역[편집]


수상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유격수 골드 글러브 (2020)


5. 연도별 성적[편집]


파일:MLB 로고.svg J.P. 크로포드의 역대 MLB 기록
연도경기타석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도루볼넷삼진타율출루율장타율OPSwRC+fWARbWAR
2017PHI238715410611622.214.356.300.656830.60.8
201849138256331221337.214.319.393.712950.20.2
연도경기타석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도루볼넷삼진타율출루율장타율OPSwRC+fWARbWAR
2019SEA933967821474654383.226.313.371.684871.11.6
202053232527222462339.255.336.338.674951.31.6
2021160687169370954358114.273.338.376.7151033.33.8
202214560312624364236880.243.339.336.6751032.02.7
20231456381423501965294125.266.380.438.8181344.95.0
MLB 통산
(7시즌)
6682781607134134624922315500.252.344.376.72010613.415.6


6. 기타[편집]


  • 대한민국 인터넷 커뮤니티 한정 별명은 종필이다. J.P. 라는 약칭 때문에 정치인 김종필에서 따온 별명으로, 필리스의 만년 유망주 시절부터 있었던 별명이다.

[1] 떨어진 수비력 때문에 오프시즌 외부 영입 여부에 따라 2루수 전향 가능성도 점쳐졌으나 일단 구단은 2루수 콜튼 웡을 영입하면서 2023년 크로포드는 계속 유격수로 뛸 것으로 보인다.[2] 2019년 6월 23일 VS 볼티모어 오리올스[3] 2022년 7월 7일 VS 토론토 블루제이스, 2023년 7월 31일 VS 보스턴 레드삭스[4] 이전 개인기록은 9홈런, wRC+ 103, WAR 3.8 이었다.[5] 수비력 지표 OAA에서 22년 -11, 23년 -8이다. 이에 대해서 현지 전문가들과 구단에서도 의견이 분분하고 이를 분석한 칼럼도 나오고 있다. 쉽게 말하면, 플레이를 보기엔 수비가 안나빠 보이는데 수치는 왜이리 낮냐는 것.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8 05:29:29에 나무위키 J.P. 크로포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