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 작업차량

덤프버전 :


🚗 자동차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차급(세그먼트)
경형(A) · 소형(B) · 준중형(C) · 중형(D) · 준대형(E) · 대형(F)
마이크로 · SUV(J) · MPV(M) · 스포츠 쿠페(S)
바디 스타일
원박스
캡 오버
투박스
해치백 · 왜건(스테이션 왜건 · 에스테이트 · 슈팅브레이크)
쓰리박스
세단 · 쿠페 · 노치백 · 패스트백
컨버터블
컨버터블 · 로드스터 · 타르가 · T-탑 · 브로엄
이륜자동차
오토바이(틀:오토바이) · 사이드카 · ATV
기타
코치 빌드 · 리무진 · 패널 밴 · 크로스오버 · 삼륜차
용도
승용
비즈니스 세단 · 쇼퍼드리븐 자동차 · 퍼스널 럭셔리 카 · 패밀리카 · 택시 · 자가용
스포츠
그랜드 투어러 · 포니카 · 머슬카 · 스포츠 세단 · 핫해치 · 슈퍼카 · 하이퍼카
RV
SUV(오프로더 · CUV · SAC) · MPV(LAV) · 픽업트럭 · 캠핑카
상용
트럭 · 승합차 · LCV · 경상용차 · 버스 · 트레일러
군용
소형전술차량 · 기갑차량(장갑차 · 전차 · 자주포)
특수목적
소방차 · 경찰차 · 구급차 · 농기계 · 건설기계 · 구난차 · 방탄차 · 공항 작업 차량 · 수륙양용차 · 커넥티드 카 · 자율주행차 · PRT · PAV
기타
올드카(클래식카) · 콘셉트 카 · 뚝뚝 · 오토릭샤 · 고카트 · 핫로드 · 로우라이더
추진 방식
외연기관
증기 자동차
내연기관
가솔린(자연흡기 · TJI · 린번 · GDI · TSI · HCCI · LPG) · 디젤(CRDi · VGT) · 바이퓨얼 · 수소내연기관 · 목탄자동차
연료
화석 연료 · 대체 에너지 · 바이오 디젤 · CNG · 경유 · 에탄올 · 연료 전지 · 액체 질소
전기
배터리 · 수소자동차(수소연료전지차)
하이브리드
하이브리드 자동차(풀 하이브리드 · 마일드 하이브리드)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구동 방식
구동 바퀴
전륜구동 · 후륜구동 · 2륜구동 · 4WD(4륜구동)
레이아웃(엔진/구동)
FF · FR · RMR · RR
엔진 구성
수평대향 엔진(수평대향 · 플랫(박서)) · 왕복 · 단기통 · 직렬 · V형 · 반켈

1. 개요
2. 종류
2.2. 유조차
2.3. 스텝카(계단차)
2.4. 램프 버스
2.5. 셔틀버스
2.6. 기내식 운반 차량
2.7. 식수 공급 차량
2.8. 오물 수거 차량
2.9. 터그카
2.9.1. 돌리
2.10. 에어 컨디셔닝 유닛
2.11. 에어 스타트 유닛
2.12. 카고 컨베이어
2.12.1. 컨베이어 트럭
2.13. 안전 순찰차


1. 개요[편집]


공항에서 사용하는 차량들로 항공사 소속 차량들은 지상조업 용이고 공항 운영기관 소속 차량들은 안전순찰과 이용객 편의를 위해 사용한다. 한국공항공사 블로그 소개글


2. 종류[편집]



2.1. 토잉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토잉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유조차[편집]


항공기에 항공유를 공급하는 차량이다. 두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하나는 일반 유조차처럼 탱크가 달려있고 다른 하나는 공항내의 파이프라인에 연결해서 기름을 넣어주는 차량이라 탱크가 없다.


2.3. 스텝카(계단차)[편집]


파일:KOREAN AIR 계단차.jpg
계단이 달린 차량이며, 탑승교가 없는 공항에서 주로 사용하며 저가항공사들은 슬롯 이용료 절감을 위해 탑승교 대신 스텝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대통령 등 유명 인사의 해외 방문 시에도 자주 사용된다.


2.4. 램프 버스[편집]


파일:external/fotobus.msk.ru/477948.jpg
네오플란 N9112L. 사진은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이다.

공항 내에서 터미널과 탑승장을 연결하는 각 항공사 소속의 버스로 램프 버스로 주로 불린다. 사람이 직접 주기장, 유도로 또는 활주로를 건너는 것은 안정상의 위험이 상당히 크므로 램프 버스를 이용하는 것이다. 보딩 브릿지와 역할이 같다. 공항 구조에 따라서 1층이나 지하층에 위치한 탑승구에서 바로 탑승이 가능하고 보딩은 계단차(Aircraft Service Stairs)를 이용한다. 반대의 경우도 같다. 버스는 주로 저상버스가 운용되며 공항 내는 도로교통법과 자동차관리법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공도상 한계인 폭 2.5m, 전장 14m를 초과하고 바닥면을 초저상버스보다도 낮춘 특수 차량도 문제없이 도입된다. 승객을 최대한 수용하기 위해 좌석 수가 적거나 지하철처럼 롱시트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항공기나 다른 차량들이 잘 식별할 수 있도록 황색 경광등이 달려있기도 한다. 대표적인 모델로는 네오플란의 에어라이너 시리즈와 cobus가 있다. 물론 일반 고상버스 모델도 잘 쓰인다. 그리고 자동차관리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차량이다보니 이미 시내버스로는 사라진지 오래인 슈퍼에어로시티 초기형 모델, 사각 BS106L, BC211M, BS120CN이 아직도 현역으로 쓰이고 있다.[1]

간혹 시내버스에서 운영하다 내구연한 채우고 퇴역한 디젤버스[2]를 중고로 사서 쓰는 경우도 있다.

탑승구가 다 차지 않았음에도 항공사 재량에 따라 이용되기도 한다. 특히 저가항공사에서 많이 이 방법을 쓴다.

원주공항은 여객터미널이 비행장과 떨어져 있기 때문에 버스가 공도를 달려서 탑승구까지 와야 한다.

2.5. 셔틀버스[편집]


파일:IMG_4721.jpg
인천국제공항 셔틀버스로 운용중인 MAN 라이온스 시티.

국내에서는 김포, 인천, 김해, 제주공항에서 운행되고 있으며 주차장과 터미널을 왕복한다.

후쿠오카 공항서일본 철도에서 국제선 터미널과 국내선 터미널을 잇는 무료 셔틀버스가 운행된다.[3] 외국인 관광객이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을 이용하는데 편의를 주기 위함이다. 참고로 후쿠오카 공항역은 출입구가 국내선 터미널 인근 장소에 위치한다. 하지만 거의 버스가 만차가 되기 때문에 국제선 터미널에서 하카타역 인근의 터미널로 가는 노선 버스를 타는 관광객도 많다.


2.6. 기내식 운반 차량[편집]


파일:external/www.buslife.co.kr/hy_truck.jpg[4]
파일:기내식 트럭.jpg
케이터링 트럭이라고도 부르며 기내식 운반을 하는 차량이다. 공항 근처 기내식 공장에서 기내식을 공급받아야 하기 때문에 공도 주행이 가능하도록 대부분 정식 번호판을 부착하고 운행한다.


2.7. 식수 공급 차량[편집]


기내에서 사용할 물을 공급하는 차량이다.


2.8. 오물 수거 차량[편집]


기내 오물을 처리하는 차량이다. 일상에서 흔히보는 분뇨수거차와 비슷하다.


2.9. 터그카[편집]


파일:터그카, 돌리.jpg

수하물이나 화물을 돌리를 이용하여 견인하는 차량. 트랙터라는 별명으로도 불리는데 모양은 트랙터에 가깝고 견인하는 방식은 트랙터 트럭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2.9.1. 돌리[편집]


사실상 터그카와 같이 나오며 대부분에 게임, 영화 등에서는 돌리가 아닌 카트로 불린다.


2.10. 에어 컨디셔닝 유닛[편집]


항공기 내에 온기나 냉기를 넣어주는 차량이다.


2.11. 에어 스타트 유닛[편집]


파일:AIRSTART12345678901234567890.jpg
압축공기를 만들어 항공기 내에 넣어주는 차량이다. 이 압축공기는 당연히 엔진 시동에 쓰인다.
주로 자체적으로 시동을 걸 수 없는 항공기에 사용되며 지상전원설비와 함께 다니는 일이 많다.


2.12. 카고 컨베이어[편집]


파일:360_F_447181579_i1baCeyNh4ojp7KsgAT7GPXCFw02Go5G.jpg
항공기 아래쪽에 탑재된 화물의 상, 하차시 사용하는 차량이다.


2.12.1. 컨베이어 트럭[편집]


위의 컨베이어가 돌리 역할을 하는 트럭과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차량이다.


2.13. 안전 순찰차[편집]


안전순찰, 조류퇴치 등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차량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12:55:48에 나무위키 공항 작업차량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0년대 초반까지는 영업용에는 이미 오래 전에 퇴역한 BS105L도 굴렸었으나 현재는 모두 폐차되었다.[2] 주로 에어로시티 540L/SL이 흔한 편.[3] 벤츠 시타로 굴절버스가 운행하고 있다.[4]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운전석 캐빈 위치가 일반 트럭과는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