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기강하식

덤프버전 :

1. 개요
2. 상세
3. 과거
4. 기타


1. 개요[편집]


國旗降下式. 군대나 공공기관 등에서 업무 시간을 마칠 무렵에 게양된 국기를 내리며 하는 의식이다. 국기하강식, 혹은 하기식이라고도 한다.


위의 영상은 지식채널e의 "조건반사"에서 등장하는 4공화국 ~ 5공화국 시기의 국기강하식으로 자세한 설명은 하단의 "과거"문단으로 넘어가서 확인할 것.


2. 상세[편집]



대한민국 국군의 경우 18시[1]에 진행한다. 군악대가 있다면 군악대에서 연주를 하기도 하지만, 보통은 방송장비로 하기식(下旗式) 나팔을 불거나(육군/공군[2]), "국기 내림 15분전/5분전/국기 내림" 방송(해군)을 하며, 그 뒤에 애국가가 연주된다.

하기식 나팔과 애국가가 나오는 동안에 실외에 있는 군인들은 병사, 간부 할것 없이 태극기가 있는 방향을 향해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해야 한다. 이 기믹은 이등병이든 대장이든 계급에 관계없이 실외에 있다면 피할 수 없다. 이게 예전에는 태극기가 안 보이는 장소에서는 경례를 하지 않고 애국가가 들리는 방향을 향해 부동자세만 하는 것이었는데 규정이 바뀐 뒤로는, 안 보이는 곳에서도 경례를 해야 한다. 이 때문에 문제의 나팔소리가 들리면 병사든 간부든 상관없이 죄다 실내로 잽싸게 뛰어들어가고 나오려던 사람들은 갑자기 화장실을 가는 등 볼일이 생기는 진풍경이 펼쳐진다. 따라서 일종의 실외한정 광역 스턴 기믹으로 취급되고 있다. 크레센도도 있다

통상적으로 국기를 내리는 인원은 2명의 병사/수병으로(나머지 한명은 국기함을 들고 서있는다) , 육군의 경우는 전투복에 전투화, 방탄모와 개인장구류 및 개인화기[3], 흰 장갑을, 해군의 경우 시기별로 동계 혹은 하계 정복정모, 흰 장갑, 단화를 착용하나 고속정 등 정복 착용이 힘든 경우 지휘관 재량으로 고속정복 등을 착용할 수도 있다. 공군의 경우 주로 헌병이 하기식을 하며 복장은 헌병 근무 시 복장[4]에 흰 장갑이다. 의장대가 있는 부대는 대부분 의장병들을 동원하며, 복장은 의장대 행사복 차림이다. 부대에 따라서 당직사관 등이 뒤에서 임석해 하기식 때 경례 자세를 취하기도 한다.


3. 과거[편집]


파일:external/kjjpc.kr/2.jpg 파일:attachment/국기하강식/70년대_대전.jpg


1989년 1월 20일 이후로는 군대에서만 국기강하식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1980년대 후반 이후에 태어났다면 신체등급 3급 이상과 정신과 문제가 없는 4급인 남성인 경우에는 군대에서 국기강하식을 처음으로 경험하게 되고, 신체등급 5급 이하와 정신과 4급인 남성, 그리고 여성의 경우에는 국기강하식을 아예 모르고 살 수도 있다. 그러나 제4공화국제5공화국 같은 군사독재 시절에는 민간에서도 국기강하식을 했다. 정확히는 1971년 3월부터 1989년 1월까지 오후 6시(동절기에는 5시)가 되면 사이렌이 울리고 행인들도 멈춰서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해야 했다. 심지어 운전 중일때도 정차하고 차 내에서 차렷 자세를 취해야 했다.

당시 라디오방송(1988년)에서도 예외없이 중계를 하였다. 동절기는 17시(오후 5시) 하절기는 18시(오후 6시)에 시보가 울리고 국기강하식이 끝난 뒤에 정규 프로가 시작되었다. TV는 18시, 17시 30분에 방송 시작이라 하절기 시간대랑 겹쳤다.

이후 일부 민간이나 군부대를 제외한 관공서 등에서는 민주화가 이루어지고 나서도 유지되다가 제6공화국 시기인 1989년 1월 20일 문공부의 발표로 국기강하식과 "영화관에서의 애국가 상영"도 공식적으로 폐지되고 1989년 1월 23일부터는 매일 오후 5시 또는 6시에 시행해오던 애국가 방송도 중단되었다.#


사실 1988년 12월에 MBC에서 '국기강하식 폐지 여론' 보도가 나오고 취재 영상에도 대다수 사람들이 무시하고 지나가는 것이 나온다. 폐지 시기가 민주화 직후인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닌 듯.

4. 기타[편집]


파일:국기하기식.jpg
4공화국 ~ 5공화국 시기의 국기강하식과는 또 다르게 차지철은 1주일에 한 번씩 추가로 국기강하식을 열었다. 의전행사로 고위 관료들을 불러모아 삐까번쩍하게 진행했다. 의장을 담당한 요원들에겐 슈츠슈타펠(나치 친위대)의 검은색 정복을 흉내낸 행사복을 입혔다.

박근혜 정부 시절, 당시 행정자치부가 광복 70주년을 맞아 국기강하식 부활을 추진하다 교육부와 국토부의 반대에 부딪혀 무산된 전적이 있다.

군대에서 국기강하식은 대부분 아직 해가 떠 있을 때 진행된다. 예외적으로 10월 중순 이후부터는 18시 이전에 일몰이 일어나므로 일몰 이후에 국기강하식을 하게 된다. 특히 10월 말에는 상당히 어둑어둑해진 때에 하게 되며, 상용박명마저 끝났다면 잘 안보여서 꽤나 고생하게 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20:23:48에 나무위키 국기강하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동절기(11월~2월)는 17시[2] 단 공군은 음역대가 약간 다르다.[3] 양손을 써야 하기에 K-2 소총 기준으로 소총의 개머리판을 접은 각개매어 상태[4] 전투복/약정복, 헌병 헬멧, 헌병장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