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국반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진한 6부 촌장 | 개국공신
문열왕
고허촌 촌장
은열왕
양산촌 촌장
감문왕
진지촌 촌장
문의왕
대수촌 촌장
장무왕
고야촌 촌장
장렬왕
가리촌 촌장

갈문왕
사요 갈문왕허루 갈문왕마제 갈문왕일지 갈문왕
지소례 갈문왕아도 갈문왕세신 갈문왕구도 갈문왕
이칠 갈문왕내음 갈문왕파호 갈문왕습보 갈문왕
지도로 갈문왕
국왕 즉위
입종 갈문왕복승 갈문왕음갈문왕
선덕여왕 국서
진정 갈문왕국반 갈문왕만천 갈문왕
추존 국왕
세조왕태조 성한왕
문헌상 언급
문흥왕
문흥 갈문왕
흥무왕
비 왕족
개성왕현성왕신영왕흥평왕
명덕왕혜충왕
태자
익성왕선강왕
태자 / 갈문왕
혜강왕성덕왕의공왕혜성왕
진성여왕 국서
선성왕흥렴왕성무왕성희왕
의흥왕신흥왕
왕태자
우로태자동륜태자
동륜왕
효상태자헌평태자
태자
헌덕왕의 아들
태자
문성왕의 아들
마의태자
제후 및 비정통 국왕
김인문
괴뢰왕
김주원
명주군왕
김헌창
장안국왕
박언창
후사벌왕







신라의 갈문왕
진안 갈문왕 | 眞安 葛文王
출생564년 ~ 573년[1]
본관경주 김씨
국반(國飯)
부모부친 동륜태자
모친 만호부인[2]
형제김백정, 김백반
배우자월명부인
자녀김승만
종교불교
호칭진안 갈문왕(眞安 葛文王)
별호국반 갈문왕(國飯 葛文王)
국기안 갈문왕(國其安 葛文王)[3]
국분 갈문왕(國芬 葛文王)
골품성골(聖骨)
1. 개요
2. 상세
3. 창작물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신라 성골 왕족. 형에게서 갈문왕 작위를 받았다.

이름 국반은 실제 석가모니의 셋째 숙부 곡반(斛飯)에서 따 온 것이다. 형인 진평왕 백정의 이름은 실제 석가모니의 아버지 슈도다나의 한자식 표기이므로 일괄적으로 지은 이름임을 알 수 있다.


2. 상세[편집]


김동륜만호부인 사이의 3남이자 진평왕김백반의 친 남동생. 진덕여왕의 아버지.

형 진평왕이 즉위하면서 갈문왕으로 책봉됐고, 얼마 안 남은 성골 남성이었지만 슬하에는 만을 두어 결국 신라에 여왕이 즉위하게 된다.

삼국유사에서 선덕여왕국서로 등장하는 음갈문왕의 음(飮)을 반(飯)의 오기로 보는 설을 차용해서, 김국반이 선덕여왕과 혼인했던 것으로 보기도 한다. 조카지만, 한국사고대~중세 초기는 왕실 내 근친혼이 워낙 흔했던 시대라 그리 특이한 것은 아니다.[4]


3. 창작물[편집]


파일:external/img.kbs.co.kr/sub_cast04_05.jpg
KBS 대하드라마 대왕의 꿈에서도 등장. 배우는 홍일권[5]. 여기서도 국반갈문왕=음갈문왕 설을 차용해 선덕여왕 김덕만과 혼인한다.

성골 남성임에도 왕위를 잇지 못한 것을 묘사하기 위해서인지 일상생활에 하자가 있는 전형적인 광인[6]으로 설정됐지만 간간이 사도태후에 대한 디스라든가 김춘추와의 대화, 숙흘종알천에게 뼈 있는 소리를 던지는 것을 보면, 실은 상식적인 면모도 있으면서 일부러 미친 척 하거나 위악하는 듯 보이기도 했다.[7] 어쨌든 각혈을 하면서 사망 플래그를 세우다 결국 병사하고 말았다.


4. 둘러보기[편집]


동륜태자 김동륜의 아들들
1남2남3남
,진평왕(眞平王),
김백정
,진정 갈문왕(眞正 葛文王),
김백반
,진안 갈문왕(眞安 葛文王),
김국반



[ 펼치기 · 접기 ]
선도성모문열왕은열왕감문왕문의왕장무왕장렬왕
朴1
시조 혁거세왕
알영
朴2
남해왕
운제청평군박민세조 알지왕사요왕
朴3
유리왕
아효昔4
시조 탈해왕
지소례왕일지왕태조 성한왕사요왕의 딸
朴7
일성왕
朴5
파사왕
석구추김아도허루왕
朴8
아달라왕
朴6
지마왕
昔9
벌휴왕
김수류마제왕
아도왕세신왕이칠왕김욱보
昔11
조분왕
昔12
첨해왕
昔10
내해왕
술례부인구도왕
昔14
유례왕
석걸숙내음왕석우로광명부인金13
미추왕
김말구
昔15
기림왕
昔16
흘해왕
金17
내물왕
김대서지
金19
눌지왕
파호왕김미사흔金18
실성왕
金20
자비왕
습보왕김내숙
金21
소지왕
金22
지증왕
선혜부인김물력
聖23
법흥왕
입종왕김거칠부
聖24
진흥왕
김숙흘종
복승왕동륜왕聖25
진지왕
김만명
마야부인 김행의聖26
진평왕
진정왕진안왕만천왕문흥왕김마차
聖27
선덕왕
김천명비담聖28
진덕왕
김알천眞29
태종 무열왕
현성왕흥무왕
眞30
문무왕
김인문무열왕의 딸신영왕
眞31
신문왕
흥평왕
眞32
효소왕
眞33
성덕왕
명덕왕
개성왕김사소효상태자眞34
효성왕
眞35
경덕왕
김주원眞38
열조 원성왕
眞37
선덕왕
眞36
혜공왕
김헌창혜충왕헌평태자혜강왕
眞39
소성왕
眞41
헌덕왕
眞42
흥덕왕
선강왕익성왕성덕왕
眞40
애장왕
헌덕왕태자?眞44
민애왕
眞43
희강왕
眞45
신무왕
眞47
헌안왕
의공왕眞46
문성왕
궁예(?)
성무왕?眞48
경문왕
혜성왕문성왕태자문성왕의 딸
박정화眞49
헌강왕
眞50
정강왕
眞51
진성왕
흥렴왕선성왕의흥왕
朴53
신덕왕
김의성김계아眞52
효공왕
김억렴신흥왕
朴54
경명왕
朴55
경애왕
眞56
경순왕
박언창박언침마의태자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왕조 보기]
■ [朴] 밀양 박씨 왕조
■ [昔] 경주 석씨 왕조
■ [金] 경주 김씨 마립간조
■ [聖] 경주 김씨 성골왕조
■ [眞] 경주 김씨 진골왕조
■ 추존 국왕 및 왕족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02:49:00에 나무위키 김국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버지 동륜태자의 몰년과 형인 진평왕의 추정 생년으로 역산했다.[2] 삼국사기 진평왕 본기에서 김백반, 김국반을 왕의 친동생(母弟)이라고 서술했다.[3] 삼국유사 기록.[4] 이후 고려 초까지도 왕족끼리 조카와의 결혼 정도는 흔했다.[5] 명성황후에서 명성황후의 호위무사 홍계훈, 무인시대에서 최충헌의 심복 김약진, 공주의 남자에서는 금성대군 역으로 호연을 펼쳤다.[6] 근친혼으로 인한 정신질환의 발현을 의도한듯 하다. 땀도 뻘뻘 흘리는등 건강도 안좋은 것으로 묘사된다.[7] 의외로 정신질환자들이 이따금 뼈 있는 말을 하는 경우가 꽤 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