캉파뉴

덤프버전 :



파일:프랑스 국기.svg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
프랑스 요리
<^|1><height=34><bgcolor=#fff,#1f2023>
[ 펼치기 · 접기 ]

}}}


Pain de campagne
파일:external/lecheminsouslesbuis.files.wordpress.com/pain-de-campagne-431073.jpg

파일:깡빠뉴1.jpg
흔히 알려진 캄파뉴와 속살

파일:깡빠뉴2.jpg
별 모양의 캄파뉴

1. 개요
2. 역사
3. 그 외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캉파뉴 혹은 팽 드 캉파뉴(Pain de campagne/시골의 빵)[1]프랑스이다.

바게트가 대중화되기 전에는 매우 일반적인 빵이었기 때문에 그냥 빵으로 불렸으며, 캉파뉴라는 말은 바게트와 구분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다.

2. 역사[편집]


옛날 유럽 시골에서는 큰 빵을 화덕 안에 커다란 크기로 구워서 식탁에 내놓은 뒤 사람들이 나눠먹는 경우가 많았다. 불과 약 120년 전만 해도 화덕에 구운 빵을 여럿이서 나눠 먹는 풍습은 유럽 시골 어디에서나 볼수 있는 흔한 광경이었다.

그중 프랑스가 특히 이 문화에 독보적이었는데 프랑스에서는 캉파뉴 외에도 시골빵이라 불리던 파베(Pavé au levain)라는 빵이 있었다. 타원형 형태의 납작한 이 빵은 지금 캉파뉴의 조상 격이 되는 빵으로 주로 견과류건포도 등을 넣어서 넓적하게 굽는 형태였다.

프랑스 남부와 같은 시골에서는 이같은 큰 빵을 도끼로 잘라 사람들과 같이 나눠먹었는데, 당시의 빵들은 매우 딱딱했고 사람의 머리를 부술 정도로 단단했기 때문에 도끼나 롱소드처럼 큰 도검 종류가 아니면 빵을 자를 수가 없었다.

과거 프랑스에선 한국의 '밥'만큼의 입지를 가졌을 정도로 주식으로 먹던 빵 중 하나였다. 사실 당연한게 밀가루, , 이스트, 소금만 들어가는 극히 기본적인 빵이기 때문이다. 재료도 바게트와 똑같으며, 그저 모양이 다를 따름이다. 단 표면을 굽는것은 더 오랫동안 굽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캉파뉴가 바게트보다 겉표면이 바삭하고 색깔이 더 진하다.

바게트가 개발된 뒤로는 바게트보다 특출난 점이 없다는 점과 그에 비해 제작 난이도나 시간면에서 바게트에게 이래저래 밀린 바람에 한동안 사장되었으며 그대로 묻혀버릴뻔 하다가 빵 장인들에 의해 재발굴되어 알음알음 보급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설탕과 버터를 넣지않은 일명 '건강빵' 마케팅이 알려지면서 그중 하나로서 유명해지기도 했다.

제일 큰 특징으로는 크기. 보편적인 방식으로 만드는 캉파뉴는 빵 중에서는 상당한 크기를 자랑한다. 이게 어느 정도냐면 한 가정일주일간 먹을수 있다는 점에서 말 다한 정도. 이는 중세에는 연료 값도 비쌌고, 화덕을 만드는 것도 쉽지 않아 화덕을 마을 공용으로 썼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신의 순서가 오면 한번에 많은 양을 굽는 것이 좋았고 이에 따라 크기도 커지게 되었다.[2] 이렇게 커지게 되다보니 효모를 사용한 발효나 굽기 시간이 상당히 긴 편이다. 거기에 바게트처럼 꽤 단단한 편이기 때문에 하드롤처럼 속을 파내면 스프나 파스타, 그라탕 등의 그릇 대용으로 쓸 수도 있다. 파낸 빵들은 스프 등에 찍어서 같이 먹어도 좋으며 메인 디시를 다 먹은 뒤 양념이 적당히 스며든 캉파뉴를 그대로 후식으로 먹어 처리할 수도 있다. 캉파뉴 자체를 주식으로 먹을 때는 저며서 먹는 편.

밀가루, 물, 이스트, 소금을 넣어 길쭉하게 성형해 구워낸 게 바게트라면, 여기에 호밀, 통밀 비율을 높이고 둥글게 성형해 구워낸 것이 시중의 캉파뉴이다. 천연 발효종으로 숙성시킨 사워도우로 만들어 시큼한 특유의 맛을 내세우기도 한다. 유럽에서야 식사빵이지만 한국에서는 호두, 크랜베리, 건포도, 치즈, 크림치즈 등등을 넣어 간식용으로 만들어 파는 경우가 많다.

일반 바게트보다 고소하면서도 시큼한 맛이 특징이며 바리에이션으로 초콜릿을 넣거나 호밀로 만든 것 등이 있다.


3. 그 외[편집]


  • 캉파뉴 표면의 진갈색으로 되어 있는 것은 탄 게 아니다. 특유의 무늬도 캉파뉴 특색인데 이는 프랑스의 빵 문화에 기인하는 풍습이기도 하다.

  • 빵 그림에서 자주 나오는, 동그랗거나 타원형인데 위에 + 혹은 /// 모양의 칼집이 있는 빵들은 거의 이쪽 아니면 하드 롤일 가능성이 높다.

  • 1978년판 영화 레 미제라블에서 장 발장이 훔친 빵이 캉파뉴이다. 영화에서 나온 크기의 빵이면 한 가정의 며칠치 식량이 될 수 있는 양이었는데, 디시인사이드에 이에 대한 이 올라가자 "저런 걸 훔쳤으니 감옥 갈 만했네"라는 개드립이 줄을 이었다.[3] 물론 소설 원문에서는 별도의 크기나 모양에 대한 묘사 없이 'le pain'이라고 되어 있긴 하다. 그러나 20세기 이전 프랑스어에서 그냥 '빵'이라고만 하면 바게트[4] 아니면 캉파뉴[5]에 해당했다. 게다가 앞서 말했듯이 빵 한 덩이를 구울 때 한 가정이 며칠간 먹을 수 있는 크기로 굽는 것도 전통적으로는 너무 당연한 일이었다. 즉 바게트를 훔친 게 아니었다면 작중에서 저 정도 되는 빵을 훔쳤을 가능성이 의외로 꽤 높다(…).

  • 독일에서도 이와 유사한 바우어른브로트(Bauernbrot)[6]가 있으며 호밀을 사용한다.


4. 관련 문서[편집]



[1] 프랑스 본토식으로 발음한 실제 발음은 '빵 드 껑빠뉴' 에 가까우나, 지역마다 같은 철자라도 발음이 다소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아이티서아프리카 등지의 프랑스어 사용 지역에서는 이를 '뺑 드 깡빠뉴' 에 가깝게 읽는다.[2] 과자류와 같은 작게 만드는 디저트류는 전용 화덕을 가진 왕족이나 귀족처럼 부유한 계층에서만 만들 수 있었다.[3] 여담이지만 한국법도 절도죄는 징역 최대 7년이다. 빵의 크기에 따라 소액절도인지 아닌지에 따라 다르겠지만...[4] 1920년이 되어서야 바게트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된다.[5] 1940년대 중후반 마케팅 용도로 발명된 이름이다.[6] 독일어 발음은 바원브로트에 가깝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7:36:41에 나무위키 캉파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