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 2 MIRACLE LIVE!/평가

덤프버전 :



1. 개요
2. 출시 전
2.1. 긍정적인 평가
2.2. 부정적인 평가
3. 출시 후
3.1. 긍정적인 평가
3.2. 복합적인 평가
3.3. 부정적인 평가
3.3.1. 개선된 문제점


1. 개요[편집]


러브 라이브! School idol project series의 모바일 게임 러브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 2 MIRACLE LIVE!의 평가를 정리한 문서.


2. 출시 전[편집]



2.1. 긍정적인 평가[편집]


  • KLab 주식회사 미참여: 러브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의 성공을 이끌어냈지만 러브라이브! ALL STARS의 삽질을 주도했고 스쿠페스에서도 지나친 과금 유도로 유저들의 신뢰를 잃어갔던 KLab과의 결별 자체는 긍정적으로 평하는 의견이 많다. 물론 부시로드 또한 게임 역량은 낮은 평가를 받는 상황이나 애초에 KLab도 자사 소속 메인 IP 프로젝트 종료를 선언하는 등 절대 부시로드보다 긍정적인 상황은 아니었기에 어찌 보면 당연한 수순으로 볼 수 있다.

  • 시리즈 전곡을 플레이 가능: 스쿠스타는 곡들이 제한적으로 업데이트되며, 스쿠페스1니지가사키부터는 일부 곡만 추가되는 등 수록곡이 비교적 모자라다는 비판이 있었으나 스쿠페스 2는 시리즈 500여 곡을 모두 플레이할 수 있어 더욱 풍성한 볼륨을 가지게 되었다.

  • 스토리 콘텐츠 확대와 최상급 퀄리티 가챠 연출: 메시지형 스토리와 숏 애니메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스토리까지 등장하며 스토리를 선호하는 유저들에게는 굉장히 매력적인 선택지로 다가올 거라는 기대를 받았다. 가챠 연출은 2월 2일 진행된 특방에서 사실상 유일하게 호평받은 요소로 선라이즈 작화진이 직접 참가하여 높은 퀄리티로 뽑아냈다. 단순히 연출만 고퀄리티인 게 아니고 각 그룹의 상징[1]을 넣은 것 역시 인상 깊었다는 반응이 많다.


2.2. 부정적인 평가[편집]


  • 사실상 스쿠페스 리마스터에 가까운, 전작과 하나도 달라지지 않은 게임 시스템: 사실상 리포지드 수준으로, 전작인 스쿠페스 1에서 달라지기는커녕 아예 복붙 수준에 가까운 게임 시스템이다. 아예 KLab과 결별+헤비 유저들과 뉴비 사이 밸런스 조정하려고 멀쩡히 돌아가던 기존 게임을 서비스 종료할 필요가 있었느냐는 평가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이처럼 시스템적으로 달라진 부분은 거의 없는데도 권장 사양은 원신에 필적할 수준으로 높은 수준을 요구해서 러브라이버들에게 비웃음을 샀다.
    • 이렇게 된 이유는 기존 게임에 사용된 기술의 한계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2] 2013년 첫 개발 당시에는 2023년 시점처럼 많은 프로젝트가 진행될 것이라 예상할 수가 없었을 것이므로, 비록 공식 발표는 없었으나 신규 프로젝트들의 등장 및 기존 게임의 한계로 인해 게임플레이는 그대로 두고 아예 새로운 기술로 만드는 것이 아닌가 추측하는 사람도 있다.[3]
    • 다른 이유로는 부시로드의 대표 키다니 타카아키의 성향을 꼽는 의견이 있다. 원가 절감가성비를 선호하는 키다니의 입장에서 유지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은 스쿠페스[4]는 매출 대비 이익이 크므로 상당히 매력적으로 보일 것이다. 유사한 게임을 후속작으로 새로이 런칭하면 유저들은 과금을 새로 해야 하므로, 적은 개발 및 유지 비용으로 한동안 높은 수익을 거두려는 것이라는 추측이 이 의견의 근거. 부시로드 게임들을 오랫동안 플레이해 온 유저들은 키다니의 이러한 성향이 이 게임에도 반영된 것이 아니냐며 불만을 토로하였다.

  • 스쿠스타보다 낫다고 할 수 없는 게임 UI: 게임 UI도 스쿠페스보다는 소폭 낫다고 볼 여지가 있으나 10년 전 게임인 스쿠페스 수준이면 그게 오히려 말이 안 되는 일이고, 3년 전 출시된 스쿠스타에 비해서도 크게 나아지지 않았거나 오히려 조잡해졌다는 이야기까지 나왔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3. 출시 후[편집]


우려와는 달리 팬덤에서는 할 만 하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이는 이미 한 번 흥행했던 과거 시스템을 그대로 가져왔기에 더 익숙하게 즐길 수 있기도 하고, 일종의 추억 보정 후광도 어느 정도 있다.

그러나 전작 요소 대부분을 가져온 만큼 게임 자체의 문제점[5]에 큰 개선은 없다. 초반 상승세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발전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며, 계속 나오고 있는 여러 버그들도 해결할 필요가 있다.[6]

전체적으로는 일퀘(그룹별 1곡씩 플레이)만 깨고 끌 정도로 게임을 아주 가볍게 하는 유저들에게는 상당히 좋아졌지만[7], 게임을 조금이라도 깊게 판다면[8] 과금 요구량이 전작들[9]과 비교해도 심각하게 미쳐날뛰는 완벽한 Pay to Win 게임이 되어버렸다.

한편 이 게임 개시와 거의 동시에 러브라이브! ALL STARS까지 서비스 종료를 발표하면서, 스쿠페스 시리즈 감사제 2023나 정규 라이브의 공지에서 새로운 게임이 발표되지 않는 이상 스쿠페스 2의 개선을 바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10]


3.1. 긍정적인 평가[편집]


  • 시작 시 최소 1UR 확정
스쿠페스 1에서는 거의 막바지에서야 도입된 기능이었으나, 스쿠페스 2에서는 바로 도입되었으며, 덕분에 리세마라를 통해 최애 UR를 적어도 한 장씩은 가지고 시작할 수 있다. 확정 가챠 형식으로 진행돼서 운이 좋으면 최애 UR는 물론 다른 UR도 덱에 넣고 시작할 수 있다.

  • 난이도 별 LP 소모 통일 및 LP 소모 가능 범위 증가
NORMAL을 플레이하든 MASTER를 플레이하든 똑같이 10 LP만 소모되며, LP를 최대로 소모할 수 있는 범위가 전작의 4배에서 10배로 늘어났다. 즉, 100 LP를 소모하여 보상을 10배로 땡길 수 있다. 100 LP가 채워지는 시간이 8시간 20분인데[11], 8시간마다 로그인해서 1번씩만 치면 LP의 낭비가 없게 되어서 하루 몇 곡만 치고 끝내는 라이트 플레이를 지향한다면 전작보다 더 나아졌다. 하지만 이벤트 랭킹이 너무 과열되는 문제와 LP 회복 비용 3.33배 급상승 문제까지 합쳐져서 이벤트 진행에 과금 부담이 훨씬 더 심해졌다는 단점도 있다.

  • 라이브 실패 및 중단 때 LP 소모 삭제
스쿠페스 1, 스쿠스타는 실패나 중간 종료시 LP가 무조건 소멸하였으나[12], 스쿠페스 2는 완주 시에만 LP가 소모되는 것으로 변경되어 LP 소모 없이 계속 재도전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플레이 도중 정지한 뒤 처음부터 다시 리트라이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 개선된 음질
전작에 비해 악곡의 음질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었다. 물론 그 반대급부로 음악 파일 용량이 증가하였는지 클라이언트 용량까지 대폭 상승해버렸다는 일장일단이 있다.


3.2. 복합적인 평가[편집]


  • 스쿠페스 1과 똑같은 곡 채보와 레벨 책정
스쿠페스 1에 없었던 곡들을 제외한 모든 곡의 채보가 스쿠페스 1과 똑같으며, 난이도 역시 스쿠페스 1 당시 책정된 그대로 유지되었다.[13] 때문에 성의가 없다, 신선하지 않고 질린다는 평가가 많으나, 반대로 익숙해서 좋다는 의견도 있다.

  • EASY 난이도 삭제
전작에서는 존재했던 EASY 난이도가 삭제되어, NORMAL 난이도가 최저 난이도가 되었다. 이 부분은 EASY 난이도가 의미가 없을 정도로 쉬웠기에 없애는 게 맞다는 의견과, 리듬 게임 초심자를 위해 남겨 뒀어야 했다는 의견으로 갈린다.[14]

  • 니지동 일러스트
스쿠페스 2의 니지동은 스탠딩 일러스트를 제외하면[15] 전부 애니메이션 작화[16]로 그려져서 스쿠스타 일러스트를 선호하던 유저들 사이에서 아쉽다는 평이 있다. 또한 같은 그룹인데도 카드는 애니, 스토리 스탠딩 일러스트는 스쿠스타[17]로 통일되지 않은 작화를 비판하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스쿠스타의 서비스 종료가 2023년 6월 30일로 확정되었으며 무엇보다 스쿠스타에는 타카사키 유우가 없기 때문에 작화를 애니메이션에 맞출 수밖에 없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옹호도 있다.

  • 초반부 랭크업에 필요한 경험치 감소
랭크 10쯤부터 100랭크까지 요구 경험치가 275로[18] 똑같아서 전작 대비 랭크업이 상당히 쉬워졌으며, 100랭 이후로도 요구 경험치 증가량이 적어서 어느 정도까지는 빠른 랭크업이 가능하다.
그러나 200랭크를 넘어서는 순간 경험치 요구량이 이전과는 비교를 불허할 정도로 폭등하며,[19] 이쯤부터는 LP 최대치 역시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랭크업 시 LP 풀회복의 효과가 미미해진다. 최대 LP 증가에 필요한 랭크업 횟수가 증가하던 전작이나 마찬가지로 LP 최대치 증가 상한선이 존재하던 스쿠스타라는 전례가 있듯 이러한 시스템 자체는 큰 문제로 꼽기 어렵지만, 진짜 문제는 후술하게 될 LP 회복의 심각한 창렬화.


3.3. 부정적인 평가[편집]


스쿠페스 2 최악의 단점 중 하나로[20] 스쿠페스 1과 큰 차이가 없는 휴대폰에 부하를 줄 만한 요소가 아예 없는 게임인데도 갤럭시 S22 이하 안드로이드 OS에서 발열이 심하다는 사람들이 많다. 스쿠페스 2가 GREE의 Extasy visual shock를 기반으로 부시로드가 자체 개발[21][22]했다는 의혹이 있는 만큼 기술력도 시간도 부족해서 최적화를 아예 안한게 아니냐는 추측이 많다. 이런 발적화 문제는 같은 날에 출시된 Link! Like! 러브 라이브!에도 존재하는 문제이다.[23] iOS에서도 상황은 다르지 않은데, 일본 게임들이 iOS만 최적화시켜서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긴 하지만 스쿠페스2와 링라럽은 아이폰에서도 발열이 심하다. 아이폰 13 이상에서나 발열이 겨우 잡히는 정도이지 그 아래는 얄짤없이 폰이 불탄다. 그나마 9월 중에 앱 자체의 메모리 사용량 축소 패치를 거쳐서 환경이 한결 나아졌다.

  • 너무 높아진 LP 회복 비용
100 LP를 채우기 위한 비용이 200 러브카, 즉 1 단챠에 소모되는 양의 2/3를 요구한다. 1 단챠의 1/5인 1 러브카스톤으로 플레이어 랭크와 무관하게 무조건 LP 100% 회복이 가능했던 전작은 논외 수준[24]이며, 1 단챠 시 소모되는 러브카스타 1/5의 양으로 100 LP가 회복되는 스쿠스타와 비교하면 LP 회복 비용이 3.33배로 폭등해버린 셈이다. 이 때문에 '이벤트를 달리려면 그만큼 더 과금하라'는 의도가 너무 뻔히 보여서[25] 거부감을 느끼고 반발하는 유저들이 매우 많다. 특히 이미 200 랭크를 넘어버린 유저들[26]은 러브카를 소모하여 LP를 회복하자니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서 엄두를 못내고, 회복하지 않을 경우 최대 LP 300을 모두 소모하고 나면 24시간이 넘어도 완전한 회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27] 그 때부터는 LP를 1배수로 설정하여 LP가 10씩 찰 때마다 플레이하거나 리허설 라이브라도 하지 않는 이상 그 날은 더 이상 할 것이 없다는 굴레에 빠지게 된다.

  • MASTER 난이도 곡 부족
스쿠페스 1에서 MASTER 난이도가 있었던 곡은 그대로 MASTER 난이도가 존재하지만, 그렇지 않은 곡은 아예 MASTER 난이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28] MASTER 난이도의 부족 외에는 일부 보컬만 다른 같은 곡에도 난이도 차이가 생겼을 정도로 난이도 기준이 오락가락하다는 점이 지적된다. 기존 스쿠페스 1의 악곡 데이터를 그대로 이식해서 난이도 표기 문제도 그대로 떠안고 있다. 심지어 첫 이벤트 도전곡이자 스쿠페스 2 테마곡인 MIRACLE NEW STORY조차 마스터 난이도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서비스 개시로부터 5개월 동안이 신규 MASTER 난이도 채보가 업데이트되고 있지 않았으나, 그나마 10월에 하프 애니버서리를 기념하며 처음으로 니지동의 마스터 패턴 하나가 추가되었으며, 차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를 할 것이라고 한다.

  • 악곡 클리어 보상 대폭 감소 및 성의 없는 악곡 목표 기준
스쿠페스 1 당시에는 곡 보상이 각 난이도별로 독립되어 있었고, 일일곡 하드 이상, 통상곡 익스 이상의 클리어/풀콤/횟수 보상조건 달성 시 유료 재화(러브카스톤)를 상당히 많이 줬었다. 하지만 스쿠페스 2는 악곡 클리어 보상이 난이도가 아닌 곡 단위로 통합되었고, 그 보상도 돌 100개[29]로 전작과 비교하기 민망할 정도로 줄어들었다.[30]
또한 모든 곡에서 스코어 랭크 S를 달성하기 위한 수치가 35만으로 동일한데, 곡마다, 난이도마다 노트 수가 천차만별임에도 스코어 랭크 점수를 곡마다 일일히 계산하기 귀찮아서 일괄적으로 책정한게 아니냐는 유저 불만이 많다. 그래서 EXPERT 난이도까지만 존재하는 곡들은 물론 심지어 MASTER 채보에서조차 노트 수가 현저히 적은 곡들은 S랭크 달성이 정말 힘들고,[31] 노트 수가 많은 곡들은 EXPERT 혹은 HARD 난이도에서조차 S랭크 달성을 쉽게 할 수 있는 등 곡마다 S랭크 달성 난이도가 너무 크게 차이난다. 이런 이유로 상기했다시피 MASTER 채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그 수가 적은 니지동, Liella!, 하스동, 그리고 뮤지컬 악곡의 경우 부원 육성을 극한으로 끌어올리지 않는 이상 S랭크 달성이 심히 힘들어진다. 추가로 뮤즈와 아쿠아 이외의 항목에는 노트수가 터무니 없어서 현실적으로 35만점 달성이 아예 불가능한 악곡도 다수 존재한다.

  • 멀티 로그인 기능 부재
전작에 이어 멀티 로그인이 존재하지 않아, 기기를 옮길 때 코드를 받아야 하는 큰 불편함이 존재한다.[32] 대부분의 폰게임이 os간, 기기간 크로스 플레이를 지원하고 같은 러브라이브 게임인 스쿠스타[33], Link! Like! 러브 라이브!도 크로스 플레이를 지원하는데[34] 스쿠페스 2도 2023년 게임인데 크로스 플레이 정도는 추가해줘도 됐지 않냐는 불편함을 호소하는 의견이 매우 많다.

  • 여전히 빡빡한 판정과 키 씹힘 현상
이 점은 기기 차이도 고려해야 하나, 그걸 감안하더라도 전작과 마찬가지로 판정이 빡빡하다는 의견이 많이 나오고 있다. 그나마 전작의 판정 시스템이었던 픽셀 일치도가 아닌, 프레임 판정으로 변경되어 판정 범위가 조금 넓어졌지만, 모든 노트의 판정 범위를 똑같이 적용시켜 스윙 노트의 판정을 줄여놓는 바람에[35] 스윙 채보 난이도가 대폭 상향되었다. 심지어 스윙 노트가 짧은 간격으로 겹쳐 나오는, 이른바 겹스윙 패턴[36]은 최악의 경우 해당 패턴 구간에서 순식간에 폭사당할 정도의 악랄함을 보이다가 1.1.0 버전 업데이트로 완화되었고, 그 후에도 몇번의 패치를 거쳐 그나마 판정이 스쿠페스 1 수준으로 돌아와서 나아지기는 했으나, 스윙 노트의 판정 자체가 바뀐 것은 아니기에 아직 근본적인 해결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며, 스페 1때도 있었던 특유의 터씹은 여전하다.

  • 좋지 않은 노트 가시성
이건 전작인 스쿠페스 1보다도 더 심해진 문제인데, 스쿠페스 1에서는 컷인 밝기를 최대로 설정해도 큰 방해는 되지 않아서 컷인을 켜고 플레이하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스쿠페스 2는 노트 가시성이 너무 안좋다. 밝기를 80% 이상으로 올리면 노트가 잘 안보여 플레이하는데 상당한 문제를 유발해서[37] 대부분 밝기를 30% 이하로 낮추는 것이 추천될 정도이다. 기본으로 제공되는 노트 스킨 3개가 전부 가시성이 좋지 않아서 가시성을 올리려면 밝기를 최대한 낮추는 방법밖에 없다.

  • 부원은 모집 및 교환으로만 획득 가능
스쿠페스 1에서 나온 일반 부원이 전부 삭제[38]됨은 물론 악곡 플레이 보상이 경험치북 및 스킬 경험치북 같은 아이템들로 대체되면서 오로지 가챠 혹은 교환소 이용으로만 부원 획득이 가능해졌다.[39] 이에 따라 전작의 인연 포인트로 돌릴 수 있던 일반부원 가챠는 1일 1회 한정으로 돌릴 수 있는 아이템 10연 가챠로 대체되었고, 부원을 뽑을려면 무조건 러브카스타를 써야 한다. 게다가 곡을 클리어해도 부원의 경험치가 전혀 오르지 않는데다 라이브 보상으로 얻는 경험치북이 터무니없이 적어 부원 육성에 걸리는 시간이 훨씬 길어졌다.

  • 너무 비싸진 하루 1뽑 유료 단챠
유료돌만 가능하고 하루에 한번 낮은 비용으로 단챠를 돌릴 수 있는 시스템이 있는데, 스쿠페스 1에선 단챠 대비 40%, 스쿠스타에선 20%인데 반면 스쿠페스 2에선 50%로 가격이 급상승[40]했다. 스쿠스타에 있던 1달 12번 유료돌 70 160엔 돌팩[41]도 없고 2회 한정으로 4,900엔과 9,800엔 돌팩에 유료돌을 조금 끼워주는 정도밖에 없어서 하루 1뽑을 1달 내내 유지하려면 그것만으로도 1달 5만원이 고정으로 소모된다.

  • 유저 편의 기능 부재
2017년에 출시된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에도 존재하는 소모 LP 설정을 저장해두는 기능이나 캐릭터 경험치를 올릴 때 사용할 아이템의 갯수를 임의로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다. 곡 플레이 시 소모할 LP의 배수는 매번 게임을 새로 켤 때마다 설정해줘야 하고, 레슨이나 스킬 업을 할 때는 일일이 +/- 버튼으로 한 땀 한 땀 눌러주거나 오마카세 버튼을 눌러 자동으로 설정해야 한다.

  • 허술한 보안
출시 이후 얼마 되지 않아 해커들이 클라이언트를 뜯어 이후 이벤트 일정과 신곡 몇 개가 유출되었다. 물론 이는 해커들을 비판해야 하는 사항이지만 단순히 클라이언트만 뜯어도 정보를 얻을 수 있게끔 보안이 허술한 부시로드 측도 분명 문제가 있다.

  • 일러스트 재탕
SR, R 카드 일러스트가 전부 과거 일러스트 재탕이다. 특히 μ’s 쪽이 말이 많은 편인데, 멤버 당 3장씩 수록된 초기 SR 카드들이 죄다 스쿠페스 1 초창기 SR 카드를 재탕하는 바람에 그림체가 크게 차이나게 되었다. R 카드들도 夏色えがおで1,2,Jump!(2011년), もぎゅっと“love”で接近中!, Wonderful Rush(2012년), 애니메이션 1기(2013년) 설정화를 재탕하는 등, 2023년 그림체와 크게 차이나는 일러스트들을 사용하였다. Aqours도 스쿠페스1의 SR 카드를 재탕한 건 똑같지만 초창기 SR 뿐만 아니라 이후 SR도 섞어서 냈기 때문에 그림체 차이가 적다.[42] 애초에 Aqours는 μ’s와 비교했을 때 프로젝트 초창기(2015년)와 이후 그림체 차이가 별로 나지 않는다.

  • 이벤트 배포 카드와 가챠 카드 간의 일러스트 차별
전작인 슼페1, 슼타에서 배포카드와 가챠카드의 차이는 카드 성능 하나 뿐이었고 일러스트나 모델링으로 차별을 두지는 않았다. 오히려 배포카드가 가챠카드보다 퀄리티가 더 좋은 경우도 꽤나 자주 나왔었다.
하지만 슼페2에선 카드의 미각성이 기본적으로 커플링 일러스트인데, 2번째 이벤트 부터는 배포카드에는 커플링 일러스트가 아닌 솔로 일러스트로만 내서 일러스트에 차별을 두었다. 러브라이버들에게 커플링 일러스트와 솔로 일러스트는 가치 차이가 크게 나는 만큼 매출을 위해서 카드 일러스트에 차별을 두는, 러브라이브 게임 내에서 전혀 없었던 정책을 펼친 것이다.[43]

3.3.1. 개선된 문제점[편집]


  • 생일 맴버 보너스 부재
전작인 스쿠페스 1, 스쿠스타에선 맴버 생일마다 1단챠 만큼의 돌을 줬었지만 게임 출시 3일 뒤인 4월 17일요우의 생일을 패싱하면서[44] 스쿠페스 2에선 해당 보너스가 삭제되었음이 밝혀졌다. 마찬가지로 4월 19일 마키의 생일에도 보너스 없이 넘어갔다. 이는 전반적인 물가 인상 및 악곡 클리어 보상 등의 감소와 겹쳐 더욱 문제 되었으나, 5월 1일부터는 그 다음 차례인 카논의 생일을 앞두고 생일 당일 500 러브카 배포와 함께 기간한정 권유가 등장할 것이라는 공지가 올라옴으로써 일단락되었다. 그래도 요우와 마키 팬들로서는 억울할 수밖에 없는 부분.
[1] μ’s - 깃털, Aqours - 종이비행기, 니지가사키 - 무지개, Liella! - 별똥별[2] 스쿠페스는 KLab 주식회사의 자체 엔진인 Playground로 제작되었다. 리포지토리 코드는 2023년이 되어서도 2014년에 머물러 있지만, 최신 모바일 OS 지원 등의 이유로 내부적으로 수 차례 업데이트되었을 가능성이 있다.[3] 이러한 사례 중 하나로 카트라이더: 드리프트가 있다. 이 작품 역시 기존 엔진의 한계 때문에 언리얼 엔진을 사용한 신작을 따로 출시하였으며, 공교롭게도 기존작스쿠페스와 같은 날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4] 스쿠스타에 의상 하나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일러스트 외에 3D 모델링 비용이 들어가며, 3D 라이브 곡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캐릭터 애니메이션 및 연출 비용, 스테이지 제작 비용이 들어간다. 스쿠페스와 같은 방식으로는 일러스트만으로 카드 하나를 만들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이 들어갈 것이다.[5] 일러스트 재탕, 키 씹힘, 전작 대비 깐깐해진 판정, 대충 만든 라이브 2D 등.[6] 발매 당일 성우 생방송에서 수 차례 튕기는 현상이 발생했으며, 오픈 하루 만에 핵 유저가 나타나기도 했다. #[7] LP 10배 소모 기능 추가에 따른 플레이 타임 감소, 중간에 폭사 시 LP 소모 삭제 등.[8] 이벤트 전체 랭킹 1만등 안에 입성 & 배수 카드나 다름없는 신규 부원 모집 / 오시 랭킹 몇 백등 안에 입성, 나중에 열릴 스코어매치 등의 pvp 이벤트 대비, 단기간에 수록곡들을 모두 클리어, 부원 수집 등.[9] 스쿠페스 1, 스쿠스타.[10] 스쿠페스2로 인해서 부시로드에 대한 러브라이브 팬덤의 신뢰가 바닥을 치다 못해 나락으로 박혀버린 현 시점에서 감사제에 신규 게임이 발표되면 절대 안된다는 의견이 많다. 부시로드가 주관하는 스쿠페스 감사제에서 신규 게임이 발표된다는 것은 그 게임 또한 부시로드의 입김이 강하다는 의미이기 때문.[11] 5분마다 1 LP 회복.[12] 그나마 스쿠스타는 라이브 실패 시는 소멸한 LP의 절반을 돌려받긴 했다.[13] 같은 레벨 난이도의 다른 악곡과 비교 시 실제 난이도가 말이 안 될 정도로 어려운 채보가 등장하는, 소위 불렙곡이라 불리우는 지뢰 악곡들의 레벨 재설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전작 서비스 시기부터 지속적으로 나왔으나 속편에서마저 묵살당한 것.[14] 실제로 2023년 4월 28일, 스쿠페스 시리즈 10주년 기념 방송에 출연한 에미츤웃치가 NORMAL 난이도에서 폭사하는 사례가 있었고, 전 보면 중 3레벨 이하가 5개 밖에 되지 않으며, 튜토리얼에서 어떤 유닛을 선택하더라도 NORMAL 난이도가 5레벨인 악곡이 나오는 등 입문 난이도가 올랐다.[15] 새로 그린 타카사키 유우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일부(넥타이, 엠마의 주근깨 등.)를 수정한 것을 제외하면 스쿠스타의 일러스트를 그대로 사용한다.[16] μ’s, Aqours, Liella!는 기존 작화를 유지했다.[17] 이쪽은 원가 절감을 목적으로 스쿠스타 스탠딩 일러스트를 재탕했기 때문이다.[18] LP 10배 소모로 3곡 플레이하면 랭업할 정도.[19] 100 랭크 이후 필요 경험치가 조금씩 증가하다가 1,499에 이르며, 200 랭크에서 201 랭크가 되면 8,760으로 급격하게 증가한다.[20] 그 밖에 3D 모델링 부재, 사실상 없다고 봐도 무방할 라이브 2D(하스스톤의 황금 카드와 비슷한데, 이런 건 보통 라이브 2D라고 부르지 않는 편이다.) 정도가 꼽힌다.[21] 스쿠페스 2 로그인 화면의 저작권자 목록을 보면 러브라이브 각 프로젝트 저작권자 + 부시로드만 적혀있다. 개발사가 따로 있었다면 개발사도 저작권자 목록에 기재되는 게 당연하다. 그게 없다는 건 스쿠페스 2가 부시로드에서 자체 개발한 게임이라는 것을 의미한다.[22] 부시로드의 모바일 담당사인 부시모는 원래 게임 배급/유통을 전문으로 하는 배급사로, 내부에 엔지니어들만 소수 있을 뿐 개발팀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사내 엔지니어들을 긁어모아 개발팀을 급조해서 저예산으로 만들다보니 당연히 신규 게임을 개발할 능력도 없고 관련 기술도 없었을 것이다.[23] 이쪽은 휴대폰에 부하를 줄만한 요소가 있는걸 감안해도(3D라이브) 안티 앨리어싱블러 효과도 없고 프레임도 30fps인데다가 모델링 해상도도 낮은데 발열이 너무 심해서 안드로이드 폰들 중엔 갤럭시 S23 시리즈를 제외하면 발열을 제어할 수 있는 폰이 없을 정도이다.[24] 심지어 스쿠페스 1은 이벤트 보상 등으로 스쿠페스 2 서비스 초기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의 양으로 LP 고정 수치 회복은 물론 백분율 회복까지 가능한 사탕 아이템까지 풀곤 했다.[25] 서비스 초기 시행된 수집 이벤트 2회차까지는 소모되는 LP 대비 넉넉하게 주어졌던 미라클 스타 덕분에 이벤트 악곡을 활용한 랭크 업이 상당히 수월하였기에 100대 중후반 이후까지는 이벤트 보상 등으로 풀리는 LP회복 아이템과 시간만 꾸준히 투자하는 것만으로도 짧은 시간 내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했다. 그러나 수집 이벤트가 제 3회째에서 ‘미라클 콜렉션’이라 명명됨과 동시에 미라클 스타 수급량은 그대로이면서 이벤트 악곡 플레이에 필요한 미라클 스타의 양과 이벤트 악곡 클리어 시 획득하는 이벤트 포인트 획득량만 10배로 늘림으로써 2회차 이벤트까지에 비해 이벤트 악곡을 활용한 레벨업 효율이 10분의 1로 대폭 너프, 개선은 커녕 심각할 정도의 개악이 자행됨으로써 더이상 이전과 같은 랭크 업 효율을 경험할 수 없게 되어버렸다. 이로 인해 이벤트 랭킹을 노리는 유저들의 부담이 훨씬 가중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26] 200랭크 이후부터는 랭크업을 해도 최대 LP가 300에서 더 이상 늘어나지 않는다. 즉, LP 풀 회복 시 600 러브카를 소모해야만 한다. 랭크업을 위한 경험치가 275으로 고정되어 있는 100 랭크 이하 유저들이야 그나마 부담이 덜하지만, 상술했듯이 이벤트 악곡을 통한 경험치 획득량이 1/10으로 너프되어 부담이 증가한다.[27] 5분당 LP가 1씩 회복된다. 24시간이 지나면 288 회복되며, 300이 다 회복되려면 25시간이 걸린다.[28] 특히 극소수만 MASTER 난이도가 있는 Liella!의 곡과 모든 곡에 MASTER 난이도가 없었던 니지동과 럽지컬, 스쿠페스 2로 곡이 첫 런칭된 하스노소라가 해당된다. Aqours 또한 스쿠페스1에서 미출시된 곡들은 MASTER 난이도가 없다. 유일하게 μ’s만 START:DASH!! 3인 버전을 제외하고 전 곡의 MASTER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29] 최초 클리어 60개 + 곡 보상 30개 + 클리어 50회 시 10개[30] 클리어+풀콤만 계산해서 10연에 소모되는 돌 비율(페1 50돌 : 페2 3000돌)로 따지면 전작 돌 7개(첫클리어보상 포함 익스2개 + 마스터5개. 일일곡은 더 많이 준다.) → 페2 1.5개. 곡 보상으로 얻을 수 있는 돌이 21% 수준으로 급감했다.[31] 전작에서 스킬 발동과 동시에 스코어 고정치가 증가하는 스코어 획득 부원이 대부분이었던 것과는 달리, 본작에서는 짧은 지속시간 동안 노트 입력 시 추가 스코어를 받는, 전작에서 '탭 스코어 증가'라 불리웠던 특기를 가진 부원이 대부분이어서 적은 노트수의 채보에서는 기껏해야 2, 3개 노트를 입력하면 특기가 꺼져버리는 탓에 전작에 비해 S랭크를 노리기가 훨씬 힘들다.[32] 심지어 다른 os로 이동하면 보유하고 있던 유료돌이 전부 무료돌로 강제 전환된다. 유료돌 전용으로 가챠를 싸게 돌릴 수 있는 시스템도 있어서 이 제약은 상당히 치명적이다.[33] 기기간은 물론이고 OS간에도 아무런 제약이 없는 자유로운 크로스 플레이가 구현되어 있다.[34] 링라럽은 OS간 크로스 플레이를 하는 경우 이전 OS에서 과금한 유료돌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다.(유료돌 항목에 아예 표기되지 않는다.) 하지만 과금을 했던 OS로 돌아가면 그 유료돌을 바로 사용할 수 있어서 큰 제약은 아니다. 링라럽의 가챠 재화가 유료돌(iOS) / 유료돌(안드로이드) / 무료돌 3가지로 나뉘어져있기 때문.[35] 정확히 말하자면, 전작에서는 스윙 노트의 판정이 PERFECT 혹은 MISS로 고정되어있었지만, 본작에서는 일반 노트와 마찬가지로 GREAT 이하 판정이 적용되도록 사양이 바뀌었다. 이렇게 판정 범위가 세분화되어버린 반작용으로 스윙 노트의 실질 판정 범위가 전작과 비교하면 아주 좁아져버린 것.[36] 니코프리Beat in Angel, 硝子の花園, Pure girls project처럼 겹스윙 패턴이 나올 경우 간접이 나거나, 그대로 씹혀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안그래도 전작에서부터 스윙 채보 최상위 난도로 평가받았던 니코프리 여자의 길은 박해져버린 스윙 노트 판정에 더해 이 겹스윙 씹힘 현상까지 겹쳐지면서 출시 당일 유저 클리어율이 겨우 17%로 집계되었다.[37] 특히 스마일 속성 곡이 이게 정말 심하다. 배경 전광판과 카드 컷인이 분홍색 계열이 많은데 노트도 분홍색이니 노트가 배경화면에 묻혀버린다.[38] 심지어 니지애니에 나온 일반부원도 나오지 않는다.[39] 이는 같은 부원을 중복해서 모집했을 시 ‘펜라이트’라는 부원 각성용 재료로 강제 전환되도록 시스템이 바뀌게 된 것에 대한 조치로 보인다. 즉, 전작의 ‘씰’을 계승하는 시스템인 셈인데, 적어도 전작의 경우 같은 부원을 여럿 편성하든 부원을 씰로 바꾸든 선택의 자유가 주어졌던 것이 사라진 것이다. 물론 전작의 경우 겉잡을 수 없이 치솟았던 카드 스펙 인플레와 더불어 다수의 동일한 부원 편성에 따른 밸런스 붕괴가 판을 쳤으므로 서비스 초기부터 이를 억제하고자 했을 가능성도 있다.[40] 페1 대비 +25%, 슼타 대비 +150%.[41] 이 돌팩을 다 살 필요도 없고 적당히만 사면 하루 1뽑을 모두 커버칠 수 있다.[42] μ’s 멤버들은 전부 다 스쿠페스 1 극초창기인 2013년에 출시된 일러스트로 SR를 낸 반면, Aqours는 2016년 일러스트와 2017년 일러스트를 섞어서 냈다. 물론 2016년과 2017년에도 μ’s 멤버들의 SR 카드는 멀쩡히 출시되고 있었다.[43] 페1의 파티 울레는 커플링 일러이지만, 기본적으로 페1의 카드는 전부 솔로 일러스트에 커플링 일러스트는 파티 울레만의 고유 컨셉이므로 문제되지 않는다.[44] 아예 패싱한 건 아니고 상호 작용 대사 정도는 있다. 하지만 그것도 스쿠페스 1의 멤버 생일 대사를 그대로 복붙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9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9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0:38:57에 나무위키 러브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 2 MIRACLE LIVE!/평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