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륜동

덤프버전 :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서귀포시행정동
대륜동
大倫洞 | Daeryun-dong



광역자치단체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특별자치도
행정시
서귀포시
행정표준코드
5013059000
하위 행정구역
3법정동 4통 17반
관할 법정동
법환동, 서호동, 호근동
면적
22.24㎢
인구
15,549명[1]
인구밀도
699.14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서귀포시

위성곤 (재선)
제주특별자치도의원 | 대륜동 선거구

이정엽 (초선)

주민센터
일주동로 9185[2]
대륜동 주민센터

1. 개요
2. 관할 법정동
2.1. 법환동
2.2. 서호동
2.3. 호근동



1. 개요[편집]


관할 법정동은 법환동·서호동·호근동이다. 인구는 15,411명.

대륜동과 대천동 경계에 걸쳐져 있는 신시가지를 신서귀라고 한다.

법환동 북부와 서호동 서부, 대천동의 법정동인 강정동 북부에 걸쳐 서귀포 신시가지가 조성되어 있다.[3] 서귀포시청 2청사[4], 서귀포경찰서, 제주도 감사위원회 등 서귀포 대부분의 공공기관이 위치해 있고 이마트 서귀포점 등 상업시설이나 제주월드컵경기장, 서귀포버스터미널 등이 신시가지 남단에 조성되어있다.

서귀포 신시가지가 이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하지만, 이곳 인구가 그렇게 많은 것은 아니라서[5] 저 엄청난 시설들이 빛을 못보는 것도 사실. 특히 신시가지는 20여년 지난 현재도 상업지역이 잘 발달하지 못해서 유동인구가 적으며 병의원도 적은 게 흠이다.[6]

고근산 등 걸어다니기 좋은 곳들이 많고 썰렁함보다는 한적함이 느껴져 나름 괜찮은 주거지역으로 꼽혔다. 그러나 이것도 수년전 이야기이고 요즘은 호텔 등을 지으면서 나는 공사 소음으로 한적함과는 거리가 멀게 되었다. 단지 신시가지 자체가 경사가 진 곳이라 걸어 다니기에는 많이 불편하다. 생각보다 서귀포 내에선 부촌.

서호동에는 제주서귀포혁신도시가 조성중이며 이로 인한 인구유입으로 2014년에는 동홍동에 이어 서귀포의 행정동 중 두번째로 인구 1만 명을 넘었으며, 옆에 강정택지, 해군기지까지 완공되면 유동인구는 구시가지를 따라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좀 예외적으로 법환동은 바다와 닿은 마을이고 호근동·서호동과 다르게 신시가지·혁신도시에서 멀리 떨어지고 경관이 수려하므로 관광휴양어촌 정도로 발전시키는게 바람직하다.

주변에 롯데시네마, 이마트, 스타벅스, 맥도날드같은 지방 20~30만대 이상에서 자주보이는 상업시설들이 뜬금없이 서귀포 도심도 아니고 신도심에 들어와있다. 거기에다 서귀포소방서, 서귀포버스터미널과 혁신도시 입주기관 사람들로 인해서 예전보다는 훨씬 유동인구가 늘었다. 추가로 서귀포 중앙도서관과 체육센터도 있어서 문화시설요소는 상당히 좋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인프라 부족으로 퇴근 시간 이후 제주시내로 가는 사람 들이 많은 문제가 있어서 어떻게 될지...

지형 자체가 엄청 심한 언덕이여서 상당히 불편하다 볼 수 있다.

태풍이 올 때 방송사 현장연결을 법환동 법환포구에서 하는 경우가 많다.


2. 관할 법정동[편집]



2.1. 법환동[편집]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서귀포시법정동
법환동
法還洞 | Beophwan-dong



광역자치단체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특별자치도
행정시
서귀포시
행정표준코드
5013010200


2.2. 서호동[편집]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서귀포시법정동
서호동
西好洞 | Seoho-dong



광역자치단체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특별자치도
행정시
서귀포시
행정표준코드
5013010300


2.3. 호근동[편집]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서귀포시법정동
호근동
好近洞 | Hogeun-dong



광역자치단체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특별자치도
행정시
서귀포시
행정표준코드
5013010400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1:26:15에 나무위키 대륜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2년 9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2] 법환동 873-2[3] 이 일대는 신시가지로 개발되기 이전에 김종필 소유의 과수원이었다. 지역 유소년들의 현장학습 장소로 애용되기도 했다고.[4] 향후 단일청사 전환 시 시청사[5] 이 일대를 걸어다니다 보면 공터들이 굉장히 많다. 하지만 혁신도시가 들어서면서 호텔이나 원룸 등이 꽤 많이 들어서고 있다.[6] 병원이 전무하고 이마트 옆에 약국 1곳이 있었으나 2015년 하반기 이후 병의원 3곳, 약국 2곳 및 동물병원1곳이 개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