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 0)

施}}}베풀 시
부수
나머지 획수
, 5획
총 획수
9획
중학교
-
}}}
일본어 음독
シ, セ
일본어 훈독
ほどこ-す, し-く
-
}}}
표준 중국어
shī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施는 '베풀 시'라는 한자로, '베풀다', '실시(實施)하다' 등을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베풀다
중국어표준어shī
광동어si1
객가어sṳ̂
민동어siĕ
민남어si[文] / soa[白]
오어sr (T1)
일본어음독シ, セ
훈독ほどこ-す, し-く
베트남어thí

유니코드에는 U+65B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卜尸人心木(YSOPD)으로 입력한다.

자형은 (모 방)과 㐌(오랑캐이름 이)가 합쳐진 형태이지만, 실제로는 뜻을 나타내는 (깃발나부낄 언)과 소리를 나타내는 (어조사 야)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로 읽는 용례가 딱 한 가지 존재한다. '施施'의 경우 '이이'라 읽는데, 이 경우 '천천히 가다' 혹은 '득의양양하다'의 의미이다.[1] 표준중국어 발음은 yí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 보시(布施)
  • 시건장치(施)[2]
  • 시설(施)
  • 시술(施)
  • 시주(施)
  • 시책(施)
  • 시행(施)
  • 시혜(施)
  • 실시(施)


3.2. 고사성어/숙어[편집]


  • 서시빈목(西)[3]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4. 유의자[편집]


  • (방자할/베풀 사)
  • (베풀 선)
  • (베풀 설)
  • (베풀 장)
  • (베풀 진)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나그네 려)
  • (놓을 방)
  • (겹칠 이)
  • (늦출 이)
  • (겨레 족)
  • (낙타 타)
  • (다를 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8 08:11:06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文] 문독[白] 백독[1] 뒤에 '然'자가 붙은 施施然의 경우 '천천히 가는 모양' 또는 '득의양양한 모양'의 의미이다. 이 때도 당연히 '이'로 읽는다.[2] 여기서 '시건'이라는 표현만 따로 사용하기도 하나,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된 표현은 아니다.[3] 절세미인으로 소문난 서시(西施)가 눈을 찌푸리는 것을 본 어떤 추녀가 이를 아름답게 여겨 따라하고 다녔는데 더욱 미움만 샀다는 데서, 분수에 맞지 않게 무조건 남을 따라함을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