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시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자동차의 차대에 대한 내용은 섀시 문서
섀시번 문단을
섀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영어: window frame
  • 일본어: サッシ(삿시), 또는 サッシュ(삿슈)[1]
  • 프랑스어: châssis

1. 개요
2. 명칭
3. 시공 업체



1. 개요[편집]


창틀과 창문에 이용되는 건축 자재를 가리키며 흔히 창호라고 불린다.[2]

기존의 창틀은 이중 창문으로 실내는 나무, 실외는 소재가 주로 사용되었으나[3] 나무는 강도가 약해 오래되면 비틀림이 발생하고 습기에 약해 쉽게 썩는 등의 내구성 문제가 있었고, 철재는 이 스는 문제가 있었으며 결정적으로 외부 소음공해층간소음으로부터 방음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었다.

하지만 1960년대 들어서 가볍고 부식이 없으며 가공이 쉽고 내구성과 소음으로부터 방음이 우수한 알루미늄 새시가 개발되면서 1970년대 이후로 폭발적으로 보급되었다. '새시'라는 용어도 이 '알루미늄 새시'와 함께 들어왔다. 하지만 알루미늄 새시는 단열 성능이 너무 떨어져서[4] 이슬맺힘[5]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로 현재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된 새시[6]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이 샤시의 경우 보통 흰색 계열이나 흰색의 밋밋함을 없애시 위해 별도의 시트지를 붙혀서 색상을 마음대로 꾸밀 수 있는데 주로 목재의 느낌을 살리기 위해 갈색이나 황토색, 밤색, 고동색 계열 시트지를 장착한다.

또한 이중유리나 이중단열유리 등으로 두 개의 유리가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해있는 가격이 좀 비싼 창문도 나오고 있는데, 단열에 매우 효과가 좋다고 한다.[7]

전월세라면 어쩔 수 없지만 집을 매매한다면 입주 전에 새시 상태는 무조건 가서 상태를 점검해 봐야 한다. 새시 설치/교체비용은 화장실/욕실 타일 공사와 더불어 인테리어 견적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8] 화장실이야 심하게 냄새나지 않는 이상 청소 자주 하고 건식으로 쓰면 되겠지만 새시는 답이 없다.


2. 명칭[편집]


처음에는 일본으로부터 기술을 도입하면서(아루미 삿시 광고) '삿시'라는 명칭이 주류를 이루다가 나중에는 샷시 로 바뀌어 지금까지 쓰인다. 아마도 섀시를 뜻하는 샤시와 섞이면서 바뀐 듯. 그러나 표준어는 영어를 기준으로 '새시'로 규정하고 있다.

새시섀시의 비교
한국어
의미
영어
일본어
새시
창틀
sash [sæʃ]
サッシ(삿시), サッシュ(삿슈)
섀시
차대
chassis [ˈʃæsi]
シャーシー, シャシ(샤시)

새시와 섀시를 혼동하여 쓰는 경우가 많은데 두 단어는 유래가 다르지만 일본에서 한국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원래는 삿시(sash)로 들어온 단어가 샤시(chassis)로 변형되었다. 한국인은 영어 단어에 좀 더 익숙한 탓에 세대가 바뀌면서 다들 샤시라고 하면 섀시라고 생각하게 된 것이다.

엄밀히 말하면 창틀 전반을 '새시'라 부르는 것은 콩글리시 혹은 재플리시이다. 영미권에서 주로 사용되는 창문은 '오르내리창'(위아래로 창틀을 밀어서 열고 닫는 세로식 미닫이창)이 주류인데, 이 형태는 보통 '헝 윈도'(hung window)[9]라고 부르지만 간혹 어깨에 늘어뜨려 메는 휘장인 새시(sash)와 닮았다고 하여 '새시 윈도'(sash window)라고도 불린다.(#) 이 단어가 한국과 일본에서 창틀 전반을 가리키는 단어로 변한 이유는 근대화 시기 조선과 일본에 건축된 서양식 건물들의 창틀 대다수가 오르내리창 방식이었기 때문이다.

당연하지만 영어권 화자에게 창틀을 가리키며 sash 라고 하면 이해하지 못하니 일반적인 단어인 frame 또는 window frame 을 사용하자. 외래어표기법의 경우 원래 단어 유래를 따라 새시(sash)를 올바른 표기법으로 규정했지만 다들 샤시라고 쓰는데다 sash 라고 해도 영어권에서는 의미가 안통하는 붕 뜬 단어가 되어버렸다. 전술했듯 오늘날 영미권, 특히 미국에서는 오르내리창조차 'sash window'보다는 'hung window'란 표현이 더 대중적으로 쓰인다.

현재는 KCCLX하우시스, 현대L&C 같은 건축자재 생산 회사들이 고급 창틀 제품을 창호라는 명칭으로 시장에 공급하면서 샤시라는 말 보다는 창호라는 말이 더 대중적으로 쓰이고 있다.

사실 샷시는 창틀을 뜻하는 프랑스어 Châssis이다. 창문을 건축 구조에 붙이는 창틀을 의미하며 한국에서 통상 쓰이는 샷시와 똑같은 의미이다.


3. 시공 업체[편집]


PVC 창호는 1군 업체로 LX하우시스, 현대L&C, KCC, 영림 등이 손에 꼽히는 편이다. 반면 알루미늄 창호는 이건창호가 독보적인 위치에 있다.

외국의 업체로 자전거팀인 드콰닝크-퀵스텝 팀을 후원하는 드콰닝크 창호가 유명하다.[10] 국내에는 염가 새시로 마감해달라고 요청하면 염가 제품이 들어오는 듯.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21:31:39에 나무위키 새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위아래로 미닫는 세로로 좁은 창문(hung window)을 어깨에 두르는 휘장인 sash와 비슷하다고 하여 sash window라고 불렀던 것이 일본에 유입되어 서양식 창틀 전반을 의미하게 되었다.[2] 새시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업체도 보통 XX샤시나 XX창호라는 명칭을 사용한다.[3] 1970년대 중반 이전에 지은 건물들은 대부분 저 구조로 시공되었으며 방충망방범창틀이 별도로 없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실내쪽에 설치되는 목재 창호의 경우 가운데에 나사 형태의 잠금장치가 달려 있는 경우도 많았다. 이후 1960년대에 알류미늄 재질의 섀시가 국내에 선보이고 초기에는 일부 중요건물이나 아파트(마포아파트, 동대문아파트 등등..) 정도에만 쓰였으나, 1970년대 이후로 일반적인 주택에 널리 보급되었으며, 시공 기술이 발전하여 1980년대 이후 부터 이중 창문에 플라스틱이 들어간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자재를 사용하고 있으며(국내에는 1976년 럭키화학에서 독일에서 기술을 도입한 하이샤시를 생산하면서 처음 선보였으나, 널리 퍼진건 1980년대 이후였다.) 방범창을 다는 등 방범에도 신경을 기울이고 있다.[4] 일본은 기후가 온화하여 아직도 알루미늄 새시가 주류다. 다만 홋카이도의 경우는 겨울철에 매우 추운 기후이다 보니 신축 건물에는 단열 성능이 좋은 PVC 재질의 수지 새시를 적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2021년 기준으로 무려 99%라고 한다) 기존에 지어진 건물들도 수지 새시로 교체하기도 한다. 일본에서 PVC 같은 수지 새시의 점유율 상당수가 홋카이도에서 나오는 실정이다.# 이쪽에서 쓰이는 PVC제 수지 새시도 한국처럼 독일과 기술제휴로 만든것으로 한국에서 쓰이는 하이샤시와 거의 유사한 형태며 한국보다 1년 정도 빠른 1975년 부터 일본내에서 생산되었다.[5] 결로의 순화어[6] 보통 '하이샤시'라고 부른다.[7] 이중유리의 간격이 멀수록, 두께가 두꺼울 수록 가격이 곱절로 상승한다. 특히 커튼 월이라 불리우는 유리궁전에 시공되는 새시의 경우 백이면 백 이중단열유리로 시공이 된다.[8] 아니면 창틀은 그대로 놔두고 창문만 새로 교체하는 경우도 많다.[9] 창문을 아랫쪽만 밀어서 열 수 있으면 'single hung'으로,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으면 'double hung'으로 부른다.[10] 드콰닝크-퀵스텝의 퀵스텝은 바닥재 회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