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폐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군사 용어에 대한 내용은 은엄폐 문서
은엄폐번 문단을
은엄폐#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천문학
Astronomy


[ 펼치기 · 접기 ]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 · 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자전 주기) · 공전(공전 주기) · 중력(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천체역학 · 칭동) · 기조력(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21cm 중성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우주론
기본 개념
허블-르메트르 법칙 · 우주 상수 · 빅뱅 우주론 · 인플레이션 우주론 · 표준 우주 모형 · 우주원리 · 암흑물질 · 암흑에너지 · 디지털 물리학(모의실험 가설) · 평행우주 · 다중우주 · 오메가 포인트 이론 · 홀로그램 우주론
우주의 역사
우주 달력 · 우주배경복사(악의 축) · 재이온화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주극성 · 24절기(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냉각 CCD) · 육분의
관측 대상
별자리(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Arp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 록맨홀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 · 천문학 관련 정보


1. 개요
2. 상세


Occultation, 掩蔽.

1. 개요[편집]


천체가 다른 천체에 의해 가려지는 현상.


2. 상세[편집]


통과(transit)는 겉보기 크기(시직경)가 큰 천체 앞으로 작은 천체가 지나가는 현상이라면, 엄폐 등의 시직경이 큰 천체 뒤로 목성 등의 작은 시직경의 천체[1]가 숨는 현상을 말한다. 그래서 통과 현상 때는 두 개의 천체가 다 보이지만 엄폐가 이루어지면 숨는 행성을 잠시 동안 볼 수 없다.

행성 간 엄폐는 상당히 희귀한 현상으로 15000년 간 500회도 채 일어나지 못했다. 가장 최근에 일어난 행성 간 엄폐는 1818년 1월 3일 금성과 목성 간의 엄폐가 일어났고, 미래의 가장 가까운 행성 간 엄폐는 2065년 11월 22일의 금성과 목성의 엄폐이다. 다만 에 의한 행성 엄폐는 지구 전체에서 자주 일어나고, 달에 의한 태양 엄폐는 잘 알고 있는 일식. [2]

파일:토성 엄폐.jpg

2014년 9월 28일 나타난 달의 토성 엄폐로, 시지름이 큰 달 뒤로 시지름이 작은 토성이 숨었다가 다시 나오는 모습이다.

가장 최근의 엄폐로 2022년 11월 8일 개기월식과 함께 달의 천왕성 엄폐가 있었다.[3] 약 1시간 가량 이루어졌다. 다음 달 엄폐는 이 사이트를 참고하면 좋다.[4]

심원천체 엄폐의 경우 얼마 안 남았다. 2023년 12월 5일에 M95가, 2029년 1월 1일에 NGC 2392가 가려지는 게 한국에서 보일 것이다.

앞으로 한국에서 보이는 달의 엄폐 현상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시간은 서울 기준이지만 특별히 명시되지 않은 경우 전국에서 관측이 가능하다.
한국에서 보이는 다음 달 엄폐 목록
날짜
가려지는 천체
시간
2024년 8월 10일
스피카
20:05~20:35[부분적]
2024년 12월 25일
스피카
3:06~4:10
2026년 1월 7일
레굴루스
1:01~1:48
2026년 3월 2일
레굴루스
20:15~21:12
2027년 7월 17일
눈키(궁수자리의 2등성)
21:03~22:25
2028년 6월 7일
안타레스
3:20~3:49#[1]
2032년 4월 25일
스피카
2:26~3:33
2034년 10월 26일
목성
0:45~1:56[2]
2035년 2월 16일
알데바란
21:37~22:46
2035년 5월 9일
알데바란
18:50~19:49[불가능]
2035년 8월 26일
알데바란
5:58~7:05[불가능]
2035년 11월 17일
알데바란
3:02~4:00[3]
2036년 1월 10일
알데바란
1:32~2:38
2036년 5월 4일
레굴루스
18:57~20:01
2036년 9월 12일
알데바란
월출~23:27
2037년 2월 2일
토성
4:50~5:41
2037년 3월 28일
토성
18:41~19:46[부분적]
2037년 12월 24일
목성
19:52~20:48
2038년 1월 20일
목성
0:22~0:53#[4]
2039년 3월 15일
아크라브(전갈자리 베타)
3:12~3:34#[5]
2040년 3월 21일
화성
2:04~2:19#[6]
2040년 10월 20일
해왕성
3:26~4:18
2041년 1월 10일
해왕성
20:09~20:40#[7]
2041년 2월 23일
드슈바
3:06~4:17
2041년 4월 16일
목성
월출~19:51
2041년 5월 13일
목성
21:56~23:10
2041년 5월 16일
드슈바
21:50~22:32
2042년 3월 4일
화성
4:45~5:05#
2042년 3월 14일
안타레스
4:56~5:47
2042년 6월 3일
안타레스
23:12~0:07[8]
2046년 10월 4일
안타레스
18:03~18:43[불가능]
2048년 6월 26일
토성
22:55~0:12
2050년 9월 7일
해왕성
3:36~4:57
2050년 10월 21일
해왕성
21:08~21:44
2051년 1월 21일
해왕성
18:46~19:55
2052년 11월 8일
알데바란
20:46~21:35
2053년 1월 2일
알데바란
19:47~20:17#
2053년 7월 12일
알데바란
4:36~5:21
2053년 10월 2일
알데바란
1:06~1:47
2054년 5월 9일
알데바란
19:18~20:17[부분적]
2054년 12월 19일
레굴루스
23:22~0:20
2055년 1월 10일
알데바란
18:34~19:43
2055년 5월 5일
레굴루스
1:06~1:55
2057년 12월 10일
해왕성
18:07~19:01[부분적]
2058년 1월 6일
해왕성
1:16~2:03
2058년 6월 8일
눈키
22:31~23:24
2058년 8월 2일
눈키
19:29~20:37[부분적]
2058년 12월 25일
토성
19:58~21:21
2059년 1월 31일
화성
5:50~6:23#


소행성을 엄폐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소행성의 크기가 행성에 비해 작기 때문에 위도에 따라서 배경의 별을 가리는 시간이 크게 차이가 나며, 엄폐를 관측할 수 있는 곳이 한정된다. 여기서 각 위도에서 관측한 엄폐 시간을 계산해서 소행성의 크기와 모양을 측정하기도 한다. 다만 이것도 자주 일어나는 현상은 아니다.

달이 수성을 엄폐하는 현상은 자주 일어나긴 하지만 실질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엄폐[5]는 많지 않다. 전 세계로 범위를 넓혀도 2028년 2월까지는 관측이 불가능하며 한국에 한정하면 2100년까지 관측할 수 없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0:49:34에 나무위키 엄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시직경이 작으면 되기 때문에 성운이나 성단 같은 심원천체가 가려지기도 한다.[2] 그러나 한국에 국한하면 많이 볼 수 없는 현상이라, 엄폐가 일어나는 해는 연초부터 '올해의 천문 현상' 따위의 기사가 무조건 난다. 며칠 앞으로 다가왔을 때도 기사를 많이 볼 수 있다.[3] 참고로 다음 천왕성 엄폐는 2068년 2월 26일이다.[4] 그러나 최근에는 모든 엄폐가 한국에서 보인다고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확인하려면 가시성 여부 사진을 일일이 확인해야 한다.[5] 시간대가 일출 전, 일몰 후인 것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