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 0)


蠻}}}오랑캐 만
부수
나머지 획수
, 19획
총 획수
25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バン
일본어 훈독
えびす
}}}
표준 중국어
má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蠻은 '오랑캐 만'이라는 한자로, '오랑캐'를 두루 일컫기도 하고, '남쪽의 오랑캐'만을 일컫기도 한다. 또 이에서 비롯해 '야만'(野蠻)을 뜻하기도 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오랑캐
중국어표준어mán
광동어maan4
객가어màn
민북어mâing
민동어màng
민남어bân
오어me (T3), 'me (T1)
일본어음독バン
훈독えびす
베트남어mán

학자들의 재구에 따르면 상고한어에서 해당 한자의 발음은 '므론(/*mron/)'에 가까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어떤 민족집단을 가리키던 명칭인지는 불분명하나, 미얀마의 옛 발음인 မြန်မာ(mranma)[1] 또는 티베트어로 '노예'를 뜻하는 བྲན (/*bran/)[2]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유니코드에는 U+883B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女火中一戈(VFLMI)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벌레 훼)와 소리를 나타내는 (어지러울 련)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䜌 자가 성부인 한자들이 다들 그렇듯 약자에서는 䜌을 亦으로 대체한다.

를 비롯한 䜌 계열의 한자들은 한국에 한자가 수입될 때 蠻의 영향으로 인해 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이 '만' 음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들 중 대부분은 원음이 '완'이다.

오어와 같은 중국어의 일부 방언에서는 이 글자가 과 같이 '매우'라는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4. 유의자[편집]


  • (오랑캐 곤, 섞일 혼)
  • (오랑캐, 북쪽 오랑캐 적)
  • (오랑캐, 동쪽 오랑캐 이)
  • (오랑캐, 서쪽 오랑캐 융)
  • (오랑캐 흉, 흉노 흉)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𦦽(퍼낼 견, 헤아릴 반)
  • 𧟏(곤룡포 곤)[3]
  • 𩏹(다룸가죽 권)
  • 𢍶(술국자 권)
  • (술국자 권, 퍼낼 판)
  • (질그릇 라)
  • (난새 란)
  • (단란할 란)
  • (땅거미질 란)
  • (방울 란, 보습 거)
  • (새어흐를 란)
  • 𠨫(알 란)[4]
  • (큰허리띠 란)
  • (그리워할/그릴 련)
  • 𨏶(꿰맬 련)
  • (더위잡고오를 련)
  • 𠮖(더위잡고기어오를 련)
  • 𩪾(몸굽는병 련)
  • (손발굽을 련)
  • (쌍둥이 련/산)
  • (아름다울 련)
  • 𦣏(여윈모양 련)
  • (저민고기 련)
  • (비율 률, 거느릴 솔)[5]
  • (굽을 만)
  • (멧부리 만)
  • (볼 만)
  • /𣀵/𠮓/𦇥(변할 변)
  • 𣦱/𦇷(고삐 비)[6]
  • (고삐와재갈 비)
  • 孿(쌍둥이 산/련)
  • 𥀺(부드러울 섭)
  • 𠠪(깎을 완)
  • 𨊟(련)
  • 𠙳
  • 𤓖
  • 𪭗
  • 𤫜
  • 𧮌
  • 𦫲
  • 𩙟
  • 𪈽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3:10:18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는 '며마'에 가깝게 독음이 변했다.[2] 현재는 '쎙'에 가깝게 발음한다.[3] (곤룡포 곤)의 동자[4] (알 란)의 동자[5] (비율 률, 거느릴 솔)의 고자[6] (고삐 비)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