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팬 럭비 리그 원

덤프버전 :

Japan Rugby League One

파일:재팬 럭비 리그 원 로고.png

정식 명칭
NTT ジャパンラグビー リーグワン
창설
2003년
종목
럭비 유니언
주관
일본 럭비 풋볼 협회
구단 수
디비전1 - 12개
디비전2 - 6개
디비전3 - 5개
최근 우승 구단
쿠보타 스피어스 후나바시 도쿄 베이(2023 시즌)
최다 우승 구단
사이타마 와일드 나이츠(6회)
하위 리그
간토 - 톱 이스트 리그
간사이 - 톱 웨스트 리그
규슈 - 톱 규슈
웹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상세
2.1. 역사
2.2. 구단 명칭
2.3. 경기장
3. 운영 방식
4. 참가 구단
5. 역대 시즌 요약
5.1. 구단별 우승
6. 선수들의 종착역?
7. 관련 대회
7.1. 톱리그 챔피언스 컵 (2004~2018)
7.2. 일본 럭비풋볼 선수권대회 (1960~2021)
8. 해체 구단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일본의 세미프로 럭비 유니언 리그.[1] 세미프로 리그지만 프로 체제에 가까우며 실제로 완전한 프로화 시도를 한 적이 있다. 물론 그 목표는 달성되지 못하고 아직 일부 실업 선수가 남아 있다.

평균 관중이 6천 명을 넘을 정도의 인기를 갖고 있다. 시즌별로 최대 관중은 4만을 넘을 때도 있다. 사실상 일본에서 야구의 NPB, 축구의 J리그, 농구의 B.리그 다음으로 인기가 많은 리그라고 봐도 무방하다. 이런 인기를 바탕으로 톱리그의 마지막인 2021-22시즌 33억엔(320억 원)의 수익이 났다고 한다.

연말부터 이듬해 5월까지 진행되기 때문에 슈퍼 럭비와 시즌이 겹치지 않는 기간동안 단기 계약으로 남반구 선수들이 활동하거나 임대를 많이 온다.

디비전 3는 원래 6팀이었으나 2022시즌 이후 무나카타 사닉스 블루스가 해체되며 5팀으로 줄었다. 따라서 2024-25시즌부터 하위 지역 리그를 대상으로 디비전 3에 합류할 구단을 찾고 있다.


2. 상세[편집]



2.1. 역사[편집]


1948년 전국 사회인 럭비풋볼 대회(Japan Company Rugby Football Championship)를 뿌리고 두고 있다. 이 대회는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치러졌으며, 2003년 톱리그로 대체된다. 첫 시즌은 3팀이 참가, 1팀이 중도 포기했던 작은 규모로 시작했지만 두번째 시즌엔 7팀, 9번째 시즌엔 16팀으로 빠르게 성장한다.

톱리그도 2021년을 끝으로 2022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했고, 대회 구조도 16팀을 2개조로 나눠 진행하던 것에서 12팀이 함께 디비전 1을 이룬다.
파일:ogimg.jpg
구 로고 (2003~2021)


2.2. 구단 명칭[편집]


구단명의 종류는 가장 긴 정식 명칭, 평소 부르는 명칭, 약칭까지 세 가지 공식 표기법이 있다. 기업 중심 리그에서 지역 중심 리그로 변모를 꾀하고 있는데, 그래서 구단명도 지역을 필수로 넣고 기업명을 선택으로 넣게 하면서[2] 명칭이 지나치게 길어지거나 복잡해지는 현상이 있다.
정식 명칭으로 가장 이름이 긴 구단은 톱리그 시절 NTT 커뮤니케이션스 샤이닝 아크스 도쿄 베이 우라야스(...)로, 다행히(?) 재팬 럭비 리그 원 시대에 접어들며 구단도 개편을 통해 우라야스 D-락스라는 이름이 가장 짧은 구단으로 거듭났다! 이것도 짧은 건 아닌데 1993년부터 기업명을 배제한 축구의 J리그와 대조적.
기업명을 뗀 호칭은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구단과 그렇지 않은 구단이 있어 더 헷갈리게 만든다.
약칭도 만만치 않은데, 기업명을 떼고 지역 명칭+별칭(알파벳 약어) 방식이라 브레이브 루퍼스 도쿄BL 도쿄블랙 램스 도쿄BR 도쿄처럼 구분도 쉽지 않고, 약칭만 보고 무슨 팀인지 정확한 이름을 추측하기 어렵다. 일본 내 방송에서도 약칭 표기법이 중구난방이라고 한다.


2.3. 경기장[편집]


목표 관중을 15,000명으로 설정하고, 디비전 3를 포함한 모든 구단이 2023-24시즌 개막 전까지 15,000명급의 경기장을 보유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제한되는 여건으로 인접 구단끼리 경기장을 공유하는 경우가 있어서 형식적으로 홈&어웨이를 구분할 때도 있다.


3. 운영 방식[편집]


리그는 3부까지 있으며 승강제로 운영된다. 1부에 해당하는 디비전 1은 12팀, 2부 디비전 2는 6팀, 3부 디비전 3은 5팀으로 구성된다. 디비전 1은 6팀씩 2개의 컨퍼런스로 나뉘고 컨퍼런스 내에서 더블 라운드 로빈, 타 컨퍼런스 팀과 싱글 라운드 로빈으로 정규시즌동안 한 팀당 16경기를 치른다. 디비전 2는 더블 라운드 로빈으로 10경기, 디비전 3은 트리플 라운드 로빈으로 12경기다[3].
정규시즌동안 승점제로 순위를 판단하는데, 매 경기마다 승리 4점, 무승부 2점, 패배 0점을 기본으로 하고 7점차 이하 패배 시 추가 1점, 상대보다 트라이를 3개 더 했을 때 추가 1점을 더 가져간다. 정규시즌이 끝나면 상위 4팀이 플레이오프를 진행한다.

승격 및 강등은 디비전 2,3의 1위는 자동 승격, 디비전 1,2의 최하위는 자동 강등이다. 디비전 1의 11위와 디비전 2의 2위, 디비전 2의 5위와 디비전 3의 2위끼리는 승강전을 치른다. 하위 리그인 간토, 간사이, 규슈 지역 리그와는 승강제를 하지 않는다.


4. 참가 구단[편집]


디비전 1
정식 명칭 (약칭)
연고지
경기장
코벨코 고베 스틸러스
고베 S
효고현,고베시
고베 유니버시아드 기념 운동장
시즈오카 블루 레브스
시즈오카 BR
시즈오카현,이와타시
야마하 스타디움
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사이타마 WK
사이타마현,사이타마시
구마가야 럭비장
쿠보타 스피어스 후나바시 도쿄 베이
S 도쿄 베이
도쿄도,에도가와구
에도가와구 육상경기장
리코 블랙 램스 도쿄
BR 도쿄
도쿄도,세타가야구
코마자와 올림픽 공원 육상 경기장
브레이브 루퍼스 도쿄
BL 도쿄
도쿄도,후추시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요코하마 캐논 이글스
요코하마 E
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
닛파츠 미츠자와 구기장
도쿄 산토리 선골리앗
도쿄 SG
도쿄도,후추시
지치부노미야 럭비장
도요타 베어블리츠
도요타 V
아이치현,도요타시
도요타 스타디움
미쓰비시 중공업 사가미하라 다이너보어스
사가미하라 DB
가나가와현, 사가미하라시
사가미하라 기온 스타디움
하나조노 긴테츠 라이너스
하나조노 L
오사카부,히가시오사카시
히가시오사카시 하나조노 럭비장
미에 혼다 히트
미에 H
미에현
미에현영 스즈카 스포츠 가든
디비전 2
정식 명칭 (약칭)
연고지
경기장
NEC 그린 로켓츠 토카츠
GR 히가시카츠
치바현,아비코시
가시와노하 스타디움
가마이시 시웨이브스 RFC
가마이시 SW
이와테현,가마이시시
가마이시 우노스마이 기념 경기장
우라야스 D-락스
우라야스 DR
치바현, 우라야스시
코마자와 올림픽 공원 육상 경기장
도요타 산업 셔틀스 아이치
S 아이치
아이치현, 카리야시
파로마 미즈호 스타디움
시미즈 건설 고토 블루 샤크스
고토 BS
도쿄도,고토구
고토구 유메노시마 육상경기장
NTT 도코모 레드 허리케인스 오사카
RH 오사카
오사카부,오사카시
요도코 벚꽃 스타디움
디비전 3
정식 명칭 (약칭)
연고지
경기장
규슈 전력 규텐 볼텍스
규슈 KV
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
베스트 덴키 스타디움
구리타 워터 구쉬 아키시마
WG 아키시마
도쿄도,아키시마시
도쿄 국립경기장
주코쿠 전력 레드 레귤리온스
주고쿠 RR
히로시마현
히로시마현 종합운동장
마쓰다 스카이액티브스 히로시마
SA 히로시마
히로시마현
히로시마현 종합운동장
히노 레드 돌핀스[4]
히노 RD
도쿄도, 히노시
지치부노미야 럭비장


5. 역대 시즌 요약[편집]


시즌
우승
결승전 관중
리그 1위
평균 관중
강등
톱리그
2003-04
-[5]
코벨코 스틸러스
-
후쿠오카 사닉스 밤스
2004-05
도시바 브레이브 루퍼스
긴테쓰 라이너스
IBM 빅 블루
2005-06
도시바 브레이브 루퍼스
-
2006-07
도시바 브레이브 루퍼스
도시바 브레이브 루퍼스
세콤 러거츠
월드 파이팅 불
2007-08
산토리 선골리앗

산요 와일드 나이츠
리코 블랙 램스
미쓰비시 중공업
2008-09
도시바 브레이브 루퍼스
17,000명
산요 와일드 나이츠
IBM 빅 블루
요코가와 무사시노 아틀라스타스
2009-10
도시바 브레이브 루퍼스
-
산요 와일드 나이츠
혼다 히트
큐덴 볼텍스
2010-11
산요 와일드 나이츠
도시바 브레이브 루퍼스
쿠보타 스피어스
도요타 공업 셔틀스
2011-12
산토리 선골리앗
산토리 선골리앗
혼다 히트
코카콜라 웨스트 레스 스파크스
2012-13
산토리 선골리앗
13,858명
도시바 브레이브 루퍼스
후쿠오카 사닉스 블루스
2013-14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10,217명
산토리 선골리앗
큐덴 볼텍스
2014-15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
코벨코 스틸러스
후쿠오카 사닉스 블루스
2015-16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24,557명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
2016-17
플레이오프 미실시
산토리 선골리앗
4,872명
혼다 히트
2017-18
산토리 선골리앗
23,416명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5,339명
긴테쓰 라이너스
NTT 도코모 레드 허리케인스
2018-19
코벨코 스틸러스
17,401명
코벨코 스틸러스
5,819명
코카콜라 레드 스파크스
도요타 공업 셔틀스
2020
코로나19로 시즌 중단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11,272명[6]
-
2021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4,668명
산토리 선골리앗
3,425명
-[7]
재팬 럭비 리그 원 - 디비전 1
2022
사이타마 와일드 나이츠
33,604명
도쿄 선골리앗
6,315명
레드 허리케인스 오사카
샤이닝 아크스 우라야스
2022-23
쿠보타 스피어스
41,794명
사이타마 와일드 나이츠
6,108명
NEC 그린 로켓츠
2022-23시즌 디비전 2의 평균 관중은 2,000명, 디비전 3는 1,500명 수준이다. 디비전 3주제에 잉글랜드 2부 리그인 RFU 챔피언십보다 평균 관중이 많다. 디비전 1 우승 및 준우승팀에겐 각각 5천만엔과 2천만엔, 디비전 2 우승팀에겐 3백만엔, 디비전 3 우승팀에겐 1백만엔이 상금으로 주어졌다.


5.1. 구단별 우승[편집]




6. 선수들의 종착역?[편집]


대회의 수준은 유럽이나 오세아니아 리그보다 확연히 떨어지지만, 그에 비해 평균 연봉은 2억원 이상으로 매우 높다. 프리미어십 럭비 최고 연봉 계약자들과 맞먹는 10억원대 연봉을 받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한 시즌이 유럽보다 짧다는 것이다. 경기 수가 적기에 시즌이 짧고, 그만큼 한 해에 여가시간이 많고 부상 위험도 적은데 급여도 적지 않기 때문에 유명 선수들도 일본행을 선택하는 것이다. 즉, 행복 럭비를 하기 위해 말년에 찾는 휴양지같은 곳. 「선수로서 마지막 시즌=일본 이적」은 이제 공식처럼 굳어지고 있다.

그렇다고 편하게 경기를 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유럽, 오세아니아 리그는 각자 정형화된 스타일을 고수하는 반면 일본 리그의 전술은 이들에게 신선한 느낌을 주고, 일본인들의 체격 조건상 유럽과 오세아니아 리그에 비해 신체적 부담은 훨씬 덜하지만 그만큼 전략 전술 연구가 활발하기 때문에 서로가 서로를 발전시키는 효과를 발휘해 궁긍적으로 럭비의 발전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최근엔 심지어 각국 유망주들이 아예 일본에서 경력을 시작하는 경우가 늘어나 1티어 리그를 운영하는 국가들이 고민을 하는 수준이라고 한다. 역시 현대 스포츠를 움직이는 것은 돈이다.


7. 관련 대회[편집]



7.1. 톱리그 챔피언스 컵 (2004~2018)[편집]


톱리그의 자체 컵 대회로, 스폰서상 마이크로소프트 컵이란 이름으로 톱리그와 함께 출범했다. 세번째 시즌인 2005-06시즌까지는 으로 불리며 톱리그의 상위 8팀이 참가했으나, 네번째 시즌인 2006-07시즌부터 톱리그와 공식적으로 통합되며 팀 수도 4개로 줄어든다.

이후 2010년부터 2013년까지 4시즌동안은 톱리그 플레이오프가 시행되며 중단되었다가 2013-14시즌부터 릭실 컵(Lixil Cup)이란 이름으로 3시즌동안 재개된다. 2016-17시즌부터는 하술할 일본 럭비풋볼 선수권대회과 타이틀이 통합되었다. 그리고 2018년을 끝으로 막을 내린다.


7.2. 일본 럭비풋볼 선수권대회 (1960~2021)[편집]


일본 럭비풋볼 선수권대회(All-Japan Rugby Football Championship)는 1960년 시작된 전국 단위 토너먼트로, 여러 대회의 최상위권 팀들이 모인 대회였다. 과거 톱리그의 플레이오프가 없던 시절엔 톱리그의 플레이오프 성격을 일부 띄기도 했다. 결승전 관중도 1~2만을 훌쩍 넘는 인기가 있다.

2007-08시즌까지는 8팀이 참가했는데, 톱리그 챔피언스 컵 우승 및 준우승팀/톱리그 3~4위 팀/전국 대학 럭비풋볼 선수권대회 우승 및 준우승팀/전국 클럽 선수권대회 우승팀/톱 챌린지 리그[8] 우승팀 총 8팀이 참가했다. 2008-09년부터 2014-15시즌까지는 톱리그 2팀이 더 참가하며 10팀으로 확장되었다. 2015-16시즌은 톱리그vs대학 구도로 2팀만, 2016-17시즌은 2팀씩 4팀이 참가했으나 2017-18시즌부터 톱리그 플레이오프로 완전히 성격이 바뀌었다. 그리고 2021년 재팬 럭비 리그 원의 출범과 함께 대회는 60년 역사를 끝으로 막을 내렸다.


7.3. 톱 챌린지 리그 (2003~2021)[편집]


톱리그 아래에 동부/서부/큐슈 3개 지역 단위 리그의 통합 승강전으로, 시즌에 따라 1~2팀이 톱리그 강등 팀과 자리를 교대했다.


8. 해체 구단[편집]


  • 코카콜라 레드 스파크스: 1966년 창설, 2021년 4월 30일 해체. 재팬 럭비 리그 원 참가도 취소했다.
  • NTT 커뮤니케이션스 샤이닝 아크스 도쿄 베이 우라야스(SA 우라야스): 2022년 6월 30일 해체되고 7월 26일 우라야스 D-락스로 통합
  • 무나카타 사닉스 블루스(무나카타 B) : 2022년 5월 31일 해체


9. 관련 문서[편집]




10. 둘러보기[편집]


}}}||

[ 펼치기 · 접기 ]
#000,#aaa 
||<-5><rowbgcolor=#e60012><rowcolor=#fff><width=100%> '''디비전 1'''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height=80><width=20%> [[코벨코 고베 스틸러스|[[파일:코벨코 고베 스틸러스 로고.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D91617; font-size: 0.8em;"
[[코벨코 고베 스틸러스|{{{#fff '''고베 S'''}}}]]}}} ||<width=20%> [[시즈오카 블루 레브스|[[파일:시즈오카 블루 레브스 로고.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4FA3D6; font-size: 0.8em;"
[[시즈오카 블루 레브스|{{{#0A2E8D '''시즈오카 BR'''}}}]]}}} ||<width=20%> [[사이타마 와일드 나이츠|[[파일: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로고.gif|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58AD; font-size: 0.8em;"
[[사이타마 와일드 나이츠|{{{#fff '''사이타마 WK'''}}}]]}}} ||<width=20%> [[쿠보타 스피어스 후나바시 도쿄 베이|[[파일:쿠보타 스피어스 로고.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F2C5C; font-size: 0.8em;"
[[쿠보타 스피어스 후나바시 도쿄 베이|{{{#C6CACE '''S 도쿄 베이'''}}}]]}}} ||<width=20%> [[블랙 램스 도쿄|[[파일:블랙 램스 도쿄 로고.jp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블랙 램스 도쿄|{{{#fff '''BR 도쿄'''}}}]]}}} ||
||<height=80> [[미에 혼다 히트|[[파일:미에 혼다 히트 로고.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미에 혼다 히트|{{{#EC0020 '''미에 H'''}}}]]}}}  || [[도시바 브레이브 루퍼스 도쿄|[[파일:도시바 브레이브 루퍼스 도쿄 로고.png|height=7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50012; font-size: 0.8em;"
[[도시바 브레이브 루퍼스 도쿄|{{{#000 '''BL 도쿄'''}}}]]}}} || [[요코하마 캐논 이글스|[[파일:요코하마 캐논 이글스 로고.jp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요코하마 캐논 이글스|{{{#D70719 '''요코하마 E'''}}}]]}}} || [[도쿄 산토리 선골리앗|[[파일:산토리 선골리앗 로고.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도쿄 산토리 선골리앗|{{{#fff '''도쿄 SG'''}}}]]}}} || [[도요타 베어블리츠|[[파일:도요타 베어블리츠 로고.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441B; font-size: 0.8em;"
[[도요타 베어블리츠|{{{#C3A866 '''도요타 V'''}}}]]}}} ||
||<height=80> [[미쓰비시 중공업 사가미하라 다이너보어스|[[파일:미쓰비시 사가미하라 다이너보어스 로고.jp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449648; font-size: 0.8em;"
[[미쓰비시 중공업 사가미하라 다이너보어스|{{{#000 '''사가미하라 DB'''}}}]]}}} || [[하나조노 긴테쓰 라이너스|[[파일:하나조노 긴테츠 라이너스 로고.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D347F; font-size: 0.8em;"
[[하나조노 긴테쓰 라이너스|{{{#B22453 '''하나조노 L'''}}}]]}}} || || || ||
||<-5><rowbgcolor=#e60012><rowcolor=#fff><width=100%> '''디비전 2''' ||
||<height=80> [[가마이시 시웨이브스 RFC|[[파일:가마이시 시웨이브스 로고.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3986; font-size: 0.8em;"
[[가마이시 시웨이브스 RFC|{{{#F7ED06 '''가마이시 SW'''}}}]]}}} || [[우라야스 D-락스|[[파일:우라야스 D락스 로고.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E244F; font-size: 0.8em;"
[[우라야스 D-락스|{{{#F8D700 '''우라야스 DR'''}}}]]}}} || [[NTT 도코모 레드 허리케인스 오사카|[[파일:레드 허리케인스 오사카 로고.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70012; font-size: 0.8em;"
[[NTT 도코모 레드 허리케인스 오사카|{{{#000 '''RH 오사카'''}}}]]}}} || [[NEC 그린 로켓츠 토카츠|[[파일:NEC 그린 로켓츠 토가츠 로고.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592E; font-size: 0.8em;"
[[NEC 그린 로켓츠 토카츠|{{{#fff '''GR 히가시카츠'''}}}]]}}} || [[도요타 산업 셔틀스 아이치|[[파일:도요타 산업 셔틀스 아이치 로고.png|height=8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3492; font-size: 0.8em;"
[[도요타 산업 셔틀스 아이치|{{{#F18302 '''S 아이치'''}}}]]}}} ||
||<height=80> [[규슈 전력 규텐 볼텍스|[[파일:규덴 볼텍스 로고.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CD420; font-size: 0.8em;"
[[규슈 전력 규텐 볼텍스|{{{#05489E '''규슈 KV'''}}}]]}}} || || || || ||
||<-5><rowbgcolor=#e60012><rowcolor=#fff><width=100%> '''디비전 3''' ||
||<height=80> [[시미즈 건설 고토 블루 샤크스|[[파일:시미즈 고토 블루 샤크스 로고.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2B6F3; font-size: 0.8em;"
[[시미즈 건설 고토 블루 샤크스|{{{#082369 '''고토 BS'''}}}]]}}} || [[구리타 워터 구시 아키시마|[[파일:구리타 워터 구시 아키시마 로고.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6FB8; font-size: 0.8em;"
[[구리타 워터 구시 아키시마|{{{#D1398A '''WG 아키시마'''}}}]]}}} || [[주코쿠 전력 레드 레귤리온스|[[파일:주고쿠 전력 레드 레귤리온스 로고.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주코쿠 전력 레드 레귤리온스|{{{#E60012 '''주고쿠 RR'''}}}]]}}} || [[마쓰다 스카이액티브스 히로시마|[[파일:마쓰다 스카이액티브스 히로시마 로고.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E232B; font-size: 0.8em;"
[[마쓰다 스카이액티브스 히로시마|{{{#000 '''SA 히로시마'''}}}]]}}} || [[히노 레드 돌핀스|[[파일:히노 레드 돌핀스 로고.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D61417; font-size: 0.8em;"
[[히노 레드 돌핀스|{{{#fff '''히노 RD'''}}}]]}}}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5:53:43에 나무위키 재팬 럭비 리그 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용어가 헷갈릴 수 있는데 원래 럭비 리그라는 말 자체는 13인제 럭비를 일컬으며 15인제인 럭비 유니언과 명백히 다른 스포츠다(하지만 세계적으로 '럭비'하면 유니언을 떠올릴만큼 주류이고 인기가 많다). 이것만 알고 있다면 "리그"라는 말이 스포츠 종목을 말하는 것인지 대회의 방법을 말하는 것인지 문맥을 통해 충분히 구분할 수 있다.[2] 그러나 거의 모든 팀이 기업명을 넣고 있다[3] 2022시즌은 더블 라운드 로빈 10경기[4] 2022-23 시즌 중 선수단의 성희롱 사건으로 모든 경기 중단, 디비전 3 자동 강등[5] 플레이오프가 있었지만 리그 1위를 시즌 우승자로 쳤다[6] 초반에 시즌이 끊겨서 운 좋게 평균이 엄청 높게 나왔다[7] 16팀에서 12팀으로 개편[8] 럭비 리그 원 하위 대회인 3개 지역 리그 팀 간의 본 대회로의 승급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