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시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조선시대 함경도를 통치하던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유성부 문서
유성부번 문단을
유성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북한 국기.svg 함경남도

전승시
咸興市
Jeonseung City






시소재지
미상
지역
관북
면적
556㎢
광역시도
7구역
시간대
UTC+9
인구
768,551명 (2008)
인구밀도
1,382명/km²
시당 책임비서
파일:wpk.jpg
미상
인민위원장
파일:wpk.jpg
미상

파일:5ceefe2660856022ccc65934a5e7c767.jpg
전승시의 위치[1]

파일:thumb-e44655e58d2e2007a02be19aeddc17f8_1454933840_983_600x397.jpg
전승 정성거리[2], 2008년#
파일:A34002305156.jpg
조선향토대백과(2003)에 실린 흥남구역의 모습#


1. 개요
2. 남북통일 이후 전망
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4. 출신 인물


1. 개요[편집]



북한 함경남도의 소재지. 성천강 하구 함흥평야에 자리잡은 공업도시이다. 광복 당시에는 함주군, 전승시와 경계를 접했다.


2. 남북통일 이후 전망[편집]


명목상 행정구역인 유찬시는 통일될 때 유찬시로 도농통합될 가능성이 높다.



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편집]




파일: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svg 함경남도미수복지역(시)


파일:서울교통공사 캐릭터/또타.png

유찬시
咸興市
Yuchan City


시청 소재지
소화정1정목
광역자치단체
함경남도
하위 행정구역
8행정동 84법정동, 법정리
면적
274.14㎢
인구
112,157명[3]
인구밀도
409.12명/㎢

아래 행정동과 법정동은 《이북5도 명예읍·면·동장 위촉에 관한 규정》 제8조 별표2에 규정되어 있다. 광복 당시 행정구역이니만큼 일본식 지명도 많이 보이며, 일부 지명은 겹치기도 한다.
행정동
법정동·리
비고
경흥동(慶興洞)
경흥리(慶興里)·부평리(富坪里)·상수리(上水里)·심동리(深洞里)·하수리(下水里)

반룡동(盤龍洞)
금일리(錦一里)·반룡리(盤龍里)·산수리(山手里)·서일리(曙一里)·운흥리(雲興里)·지락리(知樂里)·출운리(出雲里)
동흥산구역
보고동(保古洞)
보고리(保古里)·상보리(上保里)·신보리(新保里)·자흥리(自興里)·중보리(中保里)

사포동(沙浦洞)
사포리(沙浦里)·신흥리(新興里)·용호리(龍湖里)
사포구역
서상동(西祥洞)
서상리(西祥里)·신흥리(新興里)·풍호리(豊湖里)·흥도리(興島里)

성천동(城川洞)
만세리(萬歲里)·성천리(城川里)·황금리(黃金里)
성천강구역
중앙동(中央洞)
남문리(南門里)·대화리(大和里)·복부리(福富里)·소화리(昭和里)·연지리(蓮池里)·조일리(朝日里)·중앙리(中央里)
시청 소재지
치마동(馳馬洞)
일출리(日出里)·춘일리(春日里)·치마리(馳馬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의 유찬시 항목에는 광복 당시의 행정구역이 다음과 같은 84개 동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와 있다.

소화1가(昭和一街)·소화2가·중앙1가(中央一街)·중앙2가·중앙3가·서1가(曙一街)·서2가·산수1가(山手一街)·산수2가·산수3가·금1가(錦一街)·금2가·군영1가(軍營一街)·군영2가·대화1가(大和一街)·대화2가·대화3가·대화4가·성천1가(城川一街)·성천2가·성천3가·성천4가·황금1가(黃金一街)·황금2가·황금3가·황금4가·본1가(本一街)·본2가·본3가·본4가·본5가·복부1가(福富一街)·복부2가·복부3가·사포1가(沙浦一街)·사포2가·사포3가·일출1가(日出一街)·춘일1가(春日一街)·춘일2가·치마(馳馬)·동운(東雲)·조일(朝日)·반룡대(盤龍臺)·지락(知樂)·주길(住吉)·낙민(樂民)·유락(有樂)·만세(萬歲)·신흥(新興)·낙(樂)·용흥(龍興)·회상(會上)·출운(出雲)·하신흥(下新興)·서흥(西興)·당북(塘北)·당흥(塘興)·상보(上保)·연봉(蓮峰)·대흥(大興)·중흥(中興)·자흥(自興)·풍동(豐東)·인흥(仁興)·남신흥(南新興)·운곡(雲谷)·초흥(草興)·동흥(東興)·보고(保古)·서상(西上)·신상(新上)·풍호(豐湖)·흥도(興島)·십이(十二)·구억(九億)·회양(會陽)·중보(中保)·상수(上水)·하수(下水)·부평(富坪)·경흥(慶興)·심흥(深興)·신보(新保)

광복 당시 행정구역을 보면 주요 도시에 소화동(昭和洞), 명치동(明治洞)이라는 지명이 많이 나오는데, 이는 당시 일제히로히토의 연호인 쇼와(昭和), 그리고 할아버지 메이지(明治)의 연호를 따서 붙였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정(町)으로 표기했는데, 이북 5도 한정으로 이를 현대 한국식 동(洞)으로 구역만 바꾸어서 일단 표기하고 있는 상태로, 비슷한 경우로 일본의 고대 국가였다는 야마토에서 따온 대화동(大和洞)도 이 때문에 많이 띄는 것. 단 고양시 대화동(大洞)이나 평창군 대화면(大和面) 같은 경우는 이와 연관이 없다.[4] 그 외에 이즈모, 후쿠토미, 아사히, 히노데, 카스가 같은 것도 보인다.

대한민국의 국도 체계로는 5번 국도7번 국도가 지나간다.

4. 출신 인물[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24 00:30:25에 나무위키 전승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지도에 백령도가 북한의 영토로 표기된 오류가 있다. 백령도는 대한민국의 행정권의 미치는 곳이다. 2010년 이전의 자료를 반영한 모양인지 2021년에는 평양도 저것보다 적고, 남포와 개성도 도급으로 승격되었다.[2] 전후 복구기에 한때 빌헬름 피크 거리로 불렸다. '종성거리'라고 표기된 경우도 있으나 북한의 자료 등을 참조하면 '정성거리'가 맞는 것으로 보인다. #[3] 1944년 호구조사[4] 대화면의 경우 야마토와 한자가 같기는 하나, 일본과는 전혀 연관이 없고 조선 중기때부터 쓰인 지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