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호(서울의 봄)

덤프버전 :


파일:영화 서울의 봄 로고.png
등장인물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의 봄(영화) 캐릭터 포스터 전두광.jpg


파일:서울의 봄(영화) 캐릭터 포스터 이태신.jpg


파일:서울의 봄(영화) 캐릭터 포스터 정상호.jpg


파일:서울의 봄(영화) 캐릭터 포스터 노태건.jpg


파일:서울의 봄(영화) 캐릭터 포스터 김준엽.jpg






그 외 등장인물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정상호
鄭祥鎬[1] | Jeong Sang-ho

파일:서울의 봄(영화) 캐릭터 포스터 정상호.jpg

모티브
정승화
계급
대장
직책
육군참모총장
계엄사령관
배우
이성민

1. 개요
2. 작중 행적
3. 특징
4. 실제 인물과의 비교
5. 기타



1. 개요[편집]


내가 정치를 맡기려면 이 장군 당신한테 왜 맡기겠소![2]

나라가 위태로운 때 아닙니까? 나 혼자서는 뭘 할 수 있는 게 없어요. 육군참모총장으로서 군인 이태신에게 임무를 맡기겠습니다.


야 이놈들아! 내가 니들 상관상관이야![3]

[4]


영화 서울의 봄의 등장인물.


2. 작중 행적[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육군참모총장이자 계엄사령관으로, 10.26 사건 이후 혼란해진 정국을 수습하기위해 부단히 애쓰는 인물. 전두광 소장에게 합동수사본부장 자리를 맡게 했으나[5] 그가 권력욕을 강하게 드러내며 정치에 개입하려 들자, 이태신 소장을 수도경비사령관에 임명시켜 군 내 권력의 균형을 잡으려 한다.[6] 또한 전두광이 본인을 포섭하기 위해 수사과정에서 나온 박 대통령의 비자금 일부를 뇌물로 바치자, 단칼에 거절하는 청렴함 또한 가지고 있다. 하나회가 지나치게 비대해지자 지휘관 회의에서 에둘러 하나회를 비판하고, 인사권한을 이용해 하나회 소속 장성들을 한직으로 보내 군내 적폐를 처단하려 했으나 전두광이 먼저 일어나 정 총장 납치를 시작으로 군사반란을 일으키며 사건이 긴박하게 흘러가게 된다.

쿠데타 당일 공관에서 하창수 대령, 윤우명 대령이 김동규의 새로운 진술이 나왔고 상부의 명이 있었다는 거짓말로 그를 연행하려 하극상을 벌이자 격노하고, 마지막엔 대통령의 명이 있었다는 말에 전화를 돌려 확인해보라 부관들에게 명했으나 이로 인해 공관 내에서 돌발적인 총격전이 벌어지고 결국 반란군 세력에 제압되어 강제로 납치당한다. 이후 총 소리를 듣고 출동한 해병대를 보고선 연신 몸부림치고 소리 쳐 도움을 요청하려 했고 반란군의 차에 태워지기 직전에는 반란군들이 씌워둔 모포까지 집어 던지며 필사적으로 저항하나, 차에 강제로 밀어넣어 태워지게 된다. 해병대 군 차량의 스포트라이트를 정통으로 받고 있는 상태였기에 해병대가 정 총장의 납치 장면을 목격하게 되고 일이 잘못됐음을 인지한 반란군의 기관총을 이용한 선제공격으로 그 자리에서 총격전이 벌어지게 된다. 그 와중에 정상호 참모총장을 태운 반란군의 차량은 공관을 가까스로 빠져나가며 결국 하나회에 완전히 납치가 된다.

이후 반란군이 승리한 뒤, 고문을 받아 만신창이가 된 몸 상태로 힘 없이 전두광을 찾으며[7] 등장 종료.


3. 특징[편집]


성품이 강직하고 꼿꼿한 군인이다. 집무실과 자택에 휘호들이 많이 걸려있는데 , 캐릭터 포스터에 드러난 휘호에는 증강이라고 써있으며 , 진충보국, 백절불굴 등 군인정신을 반영하고 있다. 공명정대하게 대한민국 국군을 이끌려고 노력했으나, 반대파를 과소평가해[8] 몰락한 인물로 그려진다. 또한 자신의 제안을 거부한 이태신에게 애원까지 하는 약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그래도 잠시나마 전두광을 겁 먹게 하고[9] 하창수 대령의 속셈을 간파하고 호통을 치는 등, 노련한 군 지휘관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4. 실제 인물과의 비교[편집]


  • 모티브가 된 인물은 정승화 당시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이다. 성씨는 그대로 두고 이름만 승화와 비슷한 상호로 바뀌었다. 영화에서처럼 정승화는 사건 이후 보안사에서 모질게 고문을 당했으며, 대장에서 이등병으로 17계급 강등 후 강제 예편당하고, 여태까지 받은 봉급도 이등병으로 가산해서 환수당하기까지 했다. 대통령 시해 관련 혐의로 징역 10년을 받았지만, 노태우 정부가 출범하며 계급 복권을 받고 명예를 회복했다. 이후 통일민주당 부총재, 성우회 회장을 지냈다. 2002년 향년 73세로 사망한다.

  • 실제 역사에서도 12.12 이전 박 대통령 시해 사건 조사 방법 등을 두고 전두환 합수본부장과 갈등이 많았다.

  • 정 총장은 "박정희 대통령과 같은 불행한 군인이 다시는 이 나라에 없길 바란다"는 말을 해서 군부의 원성을 일부 샀다고 알려졌는데, 사실 이는 박 대통령이 전역식에서 했던 말이다. 군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고 정치에 뛰어들게 만든 상황이 있었다고 정당화 하는 말이다.[10]

  • 납치 도중 "해병"이라고 크게 외치는 장면이 있는데, 실제 역사에서도 당시 해병대가 육군참모총장 공관 경비를 일부 맡았기 때문에 있을 법한 일이다.

  • 10.26 사건 당일 중앙정보부장 김재규가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에게 저녁을 같이 하자고 궁정동 안가로 불러냈는데, 정작 김재규는 나동에서 박정희 대통령과의 연회를 가졌고 정승화는 가동에서 중앙정보부 2차장보 김정섭과 저녁을 먹던 중 총 소리를 듣게 된다. 그리고 피를 한껏 묻힌 채 나타난 김재규와 같은 차를 타고 육군본부로 가게 되고 박정희가 죽었다는 이야기를 직접 듣게 된다. 이후 정승화는 노재현 국방부장관에게 박정희의 사망의 자세한 경위는 김재규에게 물어보라고만 답했고 경호실장 차지철이 지휘했던 수도경비사령부를 장악하려 했다. 정승화의 이 행보에 대해선 의견이 갈린다. 김재규의 정권 장악 시도에 암묵적으로 동조했다고 보는 시각이 있는 반면[11] 정승화 본인은 평소 차지철의 성품과 당시 상황의 급박함으로 인해 박정희를 암살한 범인이 차지철이라고 오판[12]해서 수도경비사령부 병력을 장악해 차지철을 제압하려 한 것이라고 자신을 변호하였다.

5. 기타[편집]



[1] 나라 , 상서 , 호경 [2] 원래 해당 대사는 이성민이 연기하는 것처럼 답답함에 소리치며 내뱉는 대사가 아니라, 이어지는 대사처럼 이태신의 앞에서 읍소하듯이 담담하게 연기하는 것이었다고 한다. 직전 상황들에서 보여준 정상호의 강직함이 이 대사에서는 드러나지 않는다고 판단한 이성민이 즉석에서 이렇게 연기했다고 한다. 이에 김성수 감독도 "이 대사를 이렇게 하실 줄은 몰랐습니다."라며 감탄했다.[3] 전두광의 수하들이 정 총장을 연행하라는 지시가 상부에서 왔다는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하자 기가 막혀서 한 일갈. 당시 합참의장은 명예직에 가깝고 실권이 없었기에 4성 장군인 육군참모총장보다 상위의 지휘권을 가진 인물은 국방장관과 대통령 밖에 없다. 작중에서 정 총장이 "대통령께서 내리신 지시냐"고 묻자 (아직 재가를 받지 않았기에) 긴장하면서도 "그렇습니다"라고 한다. 대통령이나 국방장관이 계엄 상황에서 사령관을 체포하라는 명령을 내렸다는 소린데 그 이유가 이미 무혐의로 밝혀진 부분에 대한 심문을 위해서라는건 사실상 생억지다. 게다가 평시 상황도 아닌 계엄 하에서라면 상위 명령권자인 국방장관도 계엄사령관을 체포하라는 무리한 명령을 내리진 않기에 저런 명령을 내릴만한 사람은 사실상 대통령 밖에 없다. 정 총장은 이 말을 듣고 "그럴 리가... 어제도 나랑 통화했는데" 라고 못 믿겠다는 반응을 보인다.[4] 실제로 97년에 열린 전두환/노태우의 공판 당시 법원이 정 총장의 체포를 위해서는 관할관(국방부장관)의 구속영장을 발부받아야한다고 해석하면서 정 총장 체포의 불법성을 강조했다.[5] 절차상 보안사령관인 전두광이 맡을 수 밖에 없었다.[6] 하나회의 위세가 강해지기 이전부터 이태신을 따로 공관에 불러 수경사 자리를 맡아달라는 부탁을 했는데, 이미 이전부터 하나회가 어떤 식으로든 폭주할 가능성이 있음을 예견한 것으로 보인다.[7] 이때 전두광과 하나회 멤버들은 보안사 식당에서 승리 만찬을 즐기는 장면이 대비되면서 더욱 강조가 된다.[8] 하나회의 정보력을 오판하는 바람에 군인들이 가득한 국방부에서 전두광을 비판하고, 좌천을 요구하는 악수를 두었다.[9] 반란 직전에 전두광을 불러서 '네 마음 모를 줄 아냐'는 식의 말을 한다. 순간 자신의 계획을 안 것인가 생각한 전두광이 공포에 휩싸여 눈빛이 흔들리는 연기가 압권. 하지만 좌천에 대한 위로를 하려 그런 거였고, 전두광은 겨우 평정심을 찾는다.[10] 물론 진짜 정당했는지 여부는 정치적 입장에 따라 의견이 갈릴 것이다.[11] 훗날 노태우는 회고록에서 박정희의 죽음을 현장에서 막지 못한 죄인이니 마땅히 물러나야 하는 사람인데 뻔뻔하게도 자리를 보전하길래 의로운 마음으로 군사반란을 일으켰다고 주장했다.[12] 실제로 사건 직후 육본 B2 벙커에서 열린 긴급국무회의에 참여한 각료들은 모두 김재규가 아닌 차지철이 박정희를 죽였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9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9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09 22:21:39에 나무위키 정상호(서울의 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