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의 역대 황제

덤프버전 :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FCE774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4><bgcolor=#EE9021,#B87A00> '''{{{#FFF 원수정}}}''' || ||<width=22%><bgcolor=#FFD860,#785545>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tablebgcolor=#FFEFA5,#000><-3>[[아우구스투스]] | [[티베리우스]] | [[칼리굴라|가이우스(칼리굴라)]] | [[클라우디우스 1세|클라우디우스]] | [[네로]] || ||<bgcolor=#FFD860,#785545> [[네 황제의 해]] ||<-3>[[갈바]]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 [[비텔리우스]] || ||<bgcolor=#FFD860,#785545> [[플라비우스 왕조]] ||<-3>[[베스파시아누스]] | [[티투스]] | [[도미티아누스]] || ||<bgcolor=#FFD860,#785545><|2>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3>[[네르바]] | [[트라야누스]] | [[하드리아누스]] | [[안토니누스 피우스]] | 공동 즉위 [[루키우스 베루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콤모두스]] || ||<-3>비정통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 ||<bgcolor=#FFD860,#785545> [[다섯 황제의 해]] ||<-3>[[페르티낙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bgcolor=#FFD860,#785545> [[세베루스 왕조]] ||<-3>[[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공동 즉위 [[게타]] · [[카라칼라]] || ||<bgcolor=#FFD860,#785545> - ||<-3>[[마크리누스]] · [[디아두메니아누스]] || ||<bgcolor=#FFD860,#785545> [[세베루스 왕조]] ||<-3>[[엘라가발루스]] |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 ||<bgcolor=#FFD860,#785545> [[군인 황제 시대]] ||<-3>[[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공동 즉위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 공동 즉위 [[푸피에누스|푸피에누스(막시무스)]] ·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3세]] | [[필리푸스 아라부스]] · [[필리푸스 2세]] | [[데키우스]] | 공동 통치 [[데키우스]] ·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 공동 즉위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 [[호스틸리아누스]] · [[볼루시아누스]] | [[아이밀리아누스]] | 공동 즉위 [[발레리아누스]] · [[갈리에누스]]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 [[퀸틸루스]] | [[아우렐리아누스]] | [[타키투스(황제)|타키투스]] | [[플로리아누스]] | [[프로부스]] | [[카루스]] | 공동 즉위 [[누메리아누스]] · [[카리누스]] [br] 비정통 [[스폰시아누스]] || ||<-4><bgcolor=#EE9021,#B87A00> '''{{{#FFF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등장}}}''' || ||<bgcolor=#FFD860,#785545><height=35> - ||<-3>[[카리누스]] · [[디오클레티아누스]] || ||<width=50%><-2><bgcolor=#EE9021,#B87A00> '''{{{#FFF 서방}}}''' ||<width=50%><-2><bgcolor=#EE9021,#B87A00> '''{{{#FFF 동방}}}''' || ||<bgcolor=#FFD860,#785545> [[사두정치|양두정치]] ||[[막시미아누스]] ||<bgcolor=#FFD860,#785545> [[사두정치|양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 ||<bgcolor=#FFD860,#785545> [[사두정치]] ## ## ## 정제 즉위 순서대로 기재합니다. ## ##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막센티우스]] | 2차 재위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누스 1세]] ||<width=22%><bgcolor=#FFD860,#785545> [[사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 [[갈레리우스]] | [[리키니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발레리우스 발렌스]] | [[마르티니아누스]] || ||<-4><bgcolor=#EE9021,#B87A00> '''{{{#FFF 통일}}}''' || ||<bgcolor=#FFD860,#785545><height=35> [[콘스탄티누스 왕조]] ||<-3>[[콘스탄티누스 1세]] || ||<-2><bgcolor=#EE9021,#B87A00> '''{{{#FFF 서방}}}''' ||<-2><bgcolor=#EE9021,#B87A00> '''{{{#FFF 동방}}}''' || ||<bgcolor=#FFD860,#785545><height=35> [[콘스탄티누스 왕조]] ||공동 즉위 [[콘스탄티누스 2세]] · [[콘스탄스]][br]비정통 [[마그넨티우스]] · [[율리우스 네포티아누스]] · [[베트라니오]] ||<bgcolor=#FFD860,#785545>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 ||<-4><bgcolor=#EE9021,#B87A00> '''{{{#FFF 통일}}}''' || ||<bgcolor=#FFD860,#785545><height=35> [[콘스탄티누스 왕조]] ||<-3>[[콘스탄티우스 2세]] || ||<width=50%><-2><bgcolor=#EE9021,#B87A00> '''{{{#FFF 서방}}}''' ||<width=50%><-2><bgcolor=#EE9021,#B87A00> '''{{{#FFF 동방}}}''' || ||<bgcolor=#FFD860,#785545><height=35>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bgcolor=#FFD860,#785545>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 ||<-4><bgcolor=#EE9021,#B87A00> '''{{{#FFF 통일}}}''' || ||<bgcolor=#FFD860,#785545><height=35> [[콘스탄티누스 왕조]] ||<-3>[[율리아누스]] || ||<bgcolor=#FFD860,#785545><height=35> - ||<-3>[[요비아누스]] || ||<bgcolor=#FFD860,#785545><height=35>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3>[[발렌티니아누스 1세]] || ||<-2><bgcolor=#EE9021,#B87A00> '''{{{#FFF 서방}}}''' ||<-2><bgcolor=#EE9021,#B87A00> '''{{{#FFF 동방}}}''' || ||<|2><bgcolor=#FFD860,#785545>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 [[그라티아누스]] | [[발렌티니아누스 2세]] ||<|2><bgcolor=#FFD860,#785545>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2>[[발렌스]][br]비정통 [[프로코피우스(반란자)|프로코피우스]] || ||비정통 [[에우게니우스]] || ||<bgcolor=#FFD860,#785545><height=35> [[테오도시우스 왕조]] ||[[마그누스 막시무스]] · [[플라비우스 빅토르]] ||<bgcolor=#FFD860,#785545>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 ||<-4><bgcolor=#EE9021,#B87A00> '''{{{#FFF 통일}}}''' || ||<bgcolor=#FFD860,#785545><height=35> [[테오도시우스 왕조]] ||<-3>[[테오도시우스 1세]] || ||<-2><bgcolor=#EE9021,#B87A00> '''{{{#FFF 서방}}}''' ||<-2><bgcolor=#EE9021,#B87A00> '''{{{#FFF 동방}}}''' || ||<bgcolor=#FFD860,#785545><|2> [[테오도시우스 왕조]] ||[[호노리우스]] | [[콘스탄티우스 3세]] | [[발렌티니아누스 3세]] [br] 비정통 [[히스파니아의 막시무스]] ||<bgcolor=#FFD860,#785545><|2> [[테오도시우스 왕조]] ||<|2>[[아르카디우스]] | [[테오도시우스 2세]] | [[마르키아누스]] || ||비정통 [[콘스탄티누스 3세]] · [[프리스쿠스 아탈루스]] · [[요안네스]] || ||<bgcolor=#FFD860,#785545> 최후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 [[아비투스(로마)|아비투스]] | [[마요리아누스]] | [[리비우스 세베루스]] | [[안테미우스]] | [[올리브리우스]] | [[글리케리우스]] | [[율리우스 네포스]] |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bgcolor=#FFD860,#785545> 레오 왕조 ||[[레오 1세(황제)|레오 1세]] | [[레오 2세(황제)|레오 2세]] | [[제노(로마)|제노]] | [[바실리스쿠스]] · [[마르쿠스(바실리스쿠스의 아들)|마르쿠스]] | 2차 재위 [[제노(로마)|제노]] || ||<-4><bgcolor=#EE9021,#B87A00> '''{{{#FFF 동방}}}''' || ||<bgcolor=#FFD860,#785545> [[레오 왕조]] ||<-3>2차 재위 [[제노(로마)|제노]] | [[아나스타시우스 1세]] || ||<bgcolor=#FFD860,#785545>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3>[[유스티누스 1세]] | [[유스티니아누스 1세]] | [[유스티누스 2세]] | [[티베리우스 2세]] | [[마우리키우스]] · [[테오도시우스(마우리키우스의 아들)|테오도시우스]] || ||<bgcolor=#FFD860,#785545> - ||<-3>[[포카스]] || ||<bgcolor=#FFD860,#785545> [[이라클리오스 왕조]] ||<-3>[[이라클리오스]] | 공동 즉위 [[콘스탄티노스 3세]] · [[이라클로나스]] · [[다비드 티베리오스]] | [[콘스탄스 2세]] · [[콘스탄티노스 4세]] · [[이라클리오스(콘스탄스 2세의 아들)|이라클리오스]] · [[티베리오스(콘스탄스 2세의 아들)|티베리오스]] | [[유스티니아노스 2세]] || ||<bgcolor=#FFD860,#785545> [[20년간의 혼란]] ||<-3>[[레온티오스]] | [[티베리오스 3세]] | 2차 재위 [[유스티니아노스 2세]] | [[필리피코스]]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테오도시오스 3세]] || ||<bgcolor=#FFD860,#785545> [[이사브리아 왕조]] ||<-3>[[레온 3세]] | [[콘스탄티노스 5세]] | [[아르타바스도스]] · [[니키포로스(아르타바스도스의 아들)|니키포로스]] | 2차 재위 [[콘스탄티노스 5세]] | [[레온 4세]] | [[콘스탄티노스 6세]] | [[이리니]] || ||<bgcolor=#FFD860,#785545> [[니키포로스 왕조]] ||<-3>[[니키포로스 1세]] | [[스타브라키오스]] | [[미하일 1세 랑가베스]] · [[테오필락토스(미하일 1세 랑가베스의 아들)|테오필락토스]] · [[스타브라키오스(미하일 1세 랑가베스의 아들)|스타브라키오스]] || ||<bgcolor=#FFD860,#785545> - ||<-3>[[레온 5세]] · [[콘스탄티노스(레온 5세의 아들)|콘스탄티노스]] || ||<bgcolor=#FFD860,#785545> [[아모리아 왕조]] ||<-3>[[미하일 2세]] | [[테오필로스]] | [[미하일 3세]] || ||<bgcolor=#FFD860,#785545> [[마케도니아 왕조]] ||<-3>[[바실리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바실리오스 1세의 아들)|콘스탄티노스]] | [[레온 6세]] | [[알렉산드로스 2세]] | [[콘스탄티노스 7세]] | [[로마노스 1세]] · [[흐리스토포로스 레카피노스]] · [[스테파노스 레카피노스]] · [[콘스탄티노스 레카피노스]] | [[로마노스 2세]] | [[니키포로스 2세]] | [[요안니스 1세]] | [[바실리오스 2세]] | [[콘스탄티노스 8세]] | [[로마노스 3세]] | [[미하일 4세]] | [[미하일 5세]] | 공동 즉위 [[조이(로마)|조이]] · [[테오도라(11세기)|테오도라]] | [[콘스탄티노스 9세]] | 2차 재위 [[테오도라(11세기)|테오도라]] || ||<bgcolor=#FFD860,#785545> - ||<-3>[[미하일 6세]] || ||<bgcolor=#FFD860,#785545> [[콤니노스 왕조]] ||<-3>[[이사키오스 1세]] || ||<bgcolor=#FFD860,#785545> [[두카스 왕조]] ||<-3>[[콘스탄티노스 10세]] | [[미하일 7세]] · [[콘스탄티오스 두카스]] · [[안드로니코스 두카스(콘스탄티노스 10세의 아들)|안드로니코스 두카스]]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미하일 7세의 아들)|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로마노스 4세]] · [[레온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3세]] || ||<bgcolor=#FFD860,#785545> [[콤니노스 왕조]] ||<-3>[[알렉시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미하일 7세의 아들)|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요안니스 2세]] · [[알렉시오스 콤니노스(요안니스 2세의 아들)|알렉시오스 콤니노스]] | [[마누일 1세]] | [[알렉시오스 2세]] | [[안드로니코스 1세]] || ||<bgcolor=#FFD860,#785545> [[앙겔로스 왕조]] ||<-3>[[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3세]] | 2차 재위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4세]] | [[알렉시오스 5세]] || ||<-4><bgcolor=#EE9021,#B87A00> '''{{{#FFF 니케아}}}''' || ||<|2><bgcolor=#FFD860,#785545> [[니케아 제국|라스카리스 왕조]] ||<-3>[[테오도로스 1세]] | [[요안니스 3세]] | [[테오도로스 2세]] | [[요안니스 4세]] | [[미하일 8세]] || ||<-3>비정통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 ||<-4><bgcolor=#EE9021,#B87A00> '''{{{#FFF 동방}}}''' || ||<bgcolor=#FFD860,#785545> [[팔레올로고스 왕조]] ||<-3>[[미하일 8세]] | [[안드로니코스 2세]] | [[미하일 9세]] | [[안드로니코스 3세]] |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요안니스 6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안드로니코스 4세]] · [[요안니스 7세]] | 3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7세]] · [[안드로니코스 5세]] | 4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마누일 2세]] | [[요안니스 8세]] | [[콘스탄티노스 11세]] || ||<-4><bgcolor=#9F0807>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nt-size: 1.053em; letter-spacing: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2 {{{#FCE774 __'''아우구스투스'''__ · [[틀:역대 로마 카이사르|{{{#FCE774 카이사르}}}]]}}}}}}}}} || ||<-4><bgcolor=#9F0807>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nt-size: 1.053em; letter-spacing: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2 {{{#FCE77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7px; padding: 0 6px" [[틀:역대 로마 국왕|{{{#FCE774 국왕}}}]]}}}{{{#!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9px; padding: 0 6px" [[틀:역대 로마 독재관 및 기병장관|{{{#FCE774 독재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7px; padding: 0 6px" __'''황제'''__}}}[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5px; padding: 0 6px" [[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6세기|{{{#FCE774 기원전 6세기 집정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5px; padding: 0 6px" [[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5세기|{{{#FCE774 기원전 5세기 집정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5px; padding: 0 6px" [[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4세기|{{{#FCE774 기원전 4세기 집정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5px; padding: 0 6px" [[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3세기|{{{#FCE774 기원전 3세기 집정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5px; padding: 0 6px" [[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2세기|{{{#FCE774 기원전 2세기 집정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5px; padding: 0 6px" [[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1세기|{{{#FCE774 기원전 1세기 집정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85px; padding: 0 6px" [[틀:역대 로마 집정관/1세기|{{{#FCE774 1세기 집정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85px; padding: 0 6px" [[틀:역대 로마 집정관/2세기|{{{#FCE774 2세기 집정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85px; padding: 0 6px" [[틀:역대 로마 집정관/3세기|{{{#FCE774 3세기 집정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85px; padding: 0 6px" [[틀:역대 로마 집정관/4세기|{{{#FCE774 4세기 집정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85px; padding: 0 6px" [[틀:역대 로마 집정관/5세기|{{{#FCE774 5세기 집정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85px; padding: 0 6px" [[틀:역대 로마 집정관/6세기|{{{#FCE774 6세기 집정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85px; padding: 0 6px" [[틀:역대 로마 집정관/7세기|{{{#FCE774 7세기 집정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85px; padding: 0 6px" [[틀:역대 로마 집정관/8세기|{{{#FCE774 8세기 집정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85px; padding: 0 6px" [[틀:역대 로마 집정관/9세기|{{{#FCE774 9세기 집정관}}}]]}}}}}}}}}}}} ||}}}


>
 
{{{#FCE774
[ 펼치기 · 접기 ]
#4A3800,#FFF {{{#!wiki style="margin: -5px 0px"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rowbgcolor=#FFCF60,#000000>|| [[디오클레티아누스|단독황제]] || [[사두정치|양두정치]] || [[사두정치|제1차 사두정치]] || [[사두정치|제2차 사두정치]] || ||<tablebgcolor=#FFEF60,#000000> '''동방 정제''' ||<-3> [[디오클레티아누스]] || [[갈레리우스]] || ||<rowbgcolor=#FFFF80,#000000> '''동방 부제''' ||<-2> - || [[갈레리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 '''서방 정제''' || - ||<-2>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 ||<rowbgcolor=#FFFF80,#000000> '''서방 부제''' || [[막시미아누스]] || - || [[콘스탄티우스 1세]]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5>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FF >>>  306 ~ 310년  >>>}}}'''}}} || ||<rowbgcolor=#FFCF60,#000000>||<-3> [[사두정치|제2차 사두정치]] || [[사두정치|제3차 사두정치]] || ||<|2> '''동방 정제''' ||<-3><|2> [[갈레리우스]] || [[갈레리우스]] || || [[리키니우스]] || ||<rowbgcolor=#FFFF80,#000000> '''동방 부제''' ||<-4> [[막시미누스 다이아]] || ||<|3> '''서방 정제''' ||<|3><-2>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2> [[콘스탄티누스 1세]] || ||<-2> [[막시미아누스]] || ||<-2> [[막센티우스]] || ||<rowbgcolor=#FFFF80,#000000><|2> '''서방 부제''' ||<|2> [[콘스탄티누스 1세]] || [[콘스탄티누스 1세]] ||<|2><-2> - || ||<bgcolor=#FFFF80,#000000> [[막센티우스]] || ||<-5>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FF >>>  311 ~ 316년  >>>}}}'''}}} || ||<rowbgcolor=#FFCF60,#000000>||<-4> 내전기 || ||<|3> '''동방 정제''' || [[갈레리우스]] ||<|2><-2> [[리키니우스]] ||<|3> [[리키니우스]] || || [[리키니우스]] || ||<-3> [[막시미누스 다이아]] || ||<rowbgcolor=#FFFF80,#000000> '''동방 부제''' ||<-4> - || ||<|2> '''서방 정제''' ||<-2> [[콘스탄티누스 1세]] ||<|2><-2> [[콘스탄티누스 1세]] || ||<-2> [[막센티우스]] || ||<rowbgcolor=#FFFF80,#000000> '''서방 부제''' ||<-3> - || [[바시아누스]] || ||<-5>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FF >>>  316 ~ 324년  >>>}}}'''}}} || ||<rowbgcolor=#FFCF60,#000000>||<-4> 내전기 || ||<|2> '''동방 정제''' ||<|2> [[리키니우스]] || [[리키니우스]] ||<|2> [[리키니우스]] || [[리키니우스]] || || [[발레리우스 발렌스]] || [[마르티니아누스]] || ||<rowbgcolor=#FFFF80,#000000> '''동방 부제''' || [[발레리우스 발렌스]] || - ||<-2> [[리키니우스 2세]] || || '''서방 정제''' ||<-4> [[콘스탄티누스 1세]] || ||<rowbgcolor=#FFFF80,#000000><|2> '''서방 부제''' ||<|2><-2> - ||<-2> [[크리스푸스]] || ||<bgcolor=#FFFF80,#000000><-2> [[콘스탄티누스 2세]] || ||<-5>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FF >>>  324 ~ 352년  >>>}}}'''}}} || ||<rowbgcolor=#FFCF60,#000000>||<-4> [[콘스탄티누스 왕조]] || || '''동방''' ||<|3> [[콘스탄티누스 1세]] ||<-2> [[콘스탄티우스 2세]] ||<|2> [[콘스탄티우스 2세]] || || '''중앙''' || [[콘스탄스]] ||<|2> [[콘스탄스]] || || '''서방''' || [[콘스탄티누스 2세]] || [[베트라니오]] [br] [[마그넨티우스]] || ||<-5>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FF >>>  353 ~ 364년  >>>}}}'''}}} || ||<rowbgcolor=#FFCF60,#000000>||<-3> [[콘스탄티누스 왕조]] || - || || '''동방''' ||<|2> [[콘스탄티우스 2세]] || [[콘스탄티우스 2세]] ||<|2> [[율리아누스]] ||<|2> [[요비아누스]] || || '''서방''' || [[율리아누스]] || ||<-5>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FF >>>  364 ~ 378년  >>>}}}'''}}} || ||<rowbgcolor=#FFCF60,#000000>||<-4>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 || '''동방''' ||<|3> [[발렌티니아누스 1세]] ||<-3> [[발렌스]] || ||<|2> '''서방''' ||<|2> [[발렌티니아누스 1세]] || [[발렌티니아누스 1세]] || [[발렌티니아누스 2세]] || ||<-2> [[그라티아누스]] || ||<-5>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FF >>>  379 ~ 395년  >>>}}}'''}}} || ||<rowbgcolor=#FFCF60,#000000>||<-3>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 [[테오도시우스 왕조]] || || '''동방''' ||<-3> [[테오도시우스 1세]] ||<|4> [[테오도시우스 1세]] || ||<|3> '''서방''' ||<-2> [[발렌티니아누스 2세]] ||<|3> [[발렌티니아누스 2세]] || || [[그라티아누스]] || [[마그누스 막시무스]] || || [[에우게니우스]] || [[플라비우스 빅토르]] || ||<-5>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FF >>>  395년 ~  >>>}}}'''}}} || ||<rowbgcolor=#FFCF60,#000000> '''동방''' ||<-4> [[동로마 제국]] || ||<rowbgcolor=#FFCF60,#000000> '''서방''' ||<-4> [[서로마 제국]] ||}}}





로마 임페라토르
로마 바실레프스

로마인의 황제 및 전제자
IMPERATOR ROMANVS
ΒΑΣΙΛΙΆΔΕΣ ΤΏΝ ΡΩΜΑΊΩΝ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라바룸.svg
초대아우구스투스
말대콘스탄티노스 11세
시행기원전 27년 1월 16일
폐지1453년 5월 29일




1. 로마 제국의 역대 황제[편집]




1.1.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율리우스-
클라우디우스
1아우구스투스기원전 27.01.16.기원후 14.08.19.40년 215일초대 황제, 동서 분열 이전 한정 최장 재위
2티베리우스14.09.18.37.03.06.22년 175일최초의 부자 세습으로 임페라토르 직 승계
3가이우스37.03.18.41.01.24.3년 313일초대 황제의 혈육으로서 최초 세습암살
4클라우디우스41.01.24.54.10.13.13년 265일프라이토리아니가 제위 계승에 개입한 첫 사례중독사[1]
5네로54.10.13.68.06.09.13년 243일제정 성립 이후 원로원에게 최초 탄핵된 임페라토르자살


1.2. 네 황제의 해[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네 황제의 해6갈바68.06.08.69.01.15.221일암살
7오토69.01.15.69.04.16.91일자살
8비텔리우스69.04.17.69.12.20.247일처형


1.3. 플라비우스 왕조[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플라비우스9베스파시아누스69.07.01.79.06.24.9년 360일
10티투스79.06.24.81.09.13.2년 82일폼페이 매몰과로사
11도미티아누스81.09.14.96.09.18.15년 4일암살


1.4.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네르바-
안토니누스
12네르바96.09.18.98.01.27.1년 131일
13트라야누스98.01.18.117.08.07.19년 206일최초의 속주 출신 임페라토르
14하드리아누스117.08.11.138.07.10.20년 338일
15안토니누스 피우스138.07.10.161.03.07.22년 246일
16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161.03.07.180.03.17.19년 10일공동 통치[2]전선에서 병사
루키우스 베루스161.03.07.169.01.8년
17콤모두스180.03.18.192.12.31.12년 291일암살


1.5. 다섯 황제의 해[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비고
퇴위 원인
내란기18페르티낙스193.01.01.193.03.28.86일암살
19디디우스 율리아누스193.03.28.193.06.01.65일처형


1.6. 세베루스 왕조[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세베루스20셉티미우스 세베루스193.04.09.211.02.04.18년 64일전선에서 병사
21게타211.02.04.211.12.26.326일공동 통치[3]암살
카라칼라211.02.04.217.04.08.6년 65일암살
22마크리누스[4]217.04.11.218.06.08.1년 58일처형
23엘라가발루스218.06.08.222.03.11.3년 277일암살
24알렉산데르 세베루스222.03.13.235.03.18.13년 5일암살


1.7. 3세기의 위기[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군인 황제 시대25막시미누스 트라쿠스235.03.20.238.04.3년최초의 순수군인 출신 임페라토르암살
26고르디아누스 1세238.03.22.238.04.12.15일공동 통치자살
고르디아누스 2세238.03.22.238.04.12.15일전사
27푸피에누스238.04.22.238.07.29.98일공동 통치암살
발비누스238.04.22.238.07.29.98일암살
28고르디아누스 3세238.04.22.244.02.11.5년 296일암살
29필리푸스 아라부스244.02.249.5년로마 건국 천년제 거행자살
30데키우스249.251.06.2년공동 통치전사
30-2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251251전사
31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251.06.253.08.2년공동 통치살해
31-2호스틸리아누스251251병사
31-3볼루시아누스251.6253.8암살
32아이밀리아누스253.08.253.10.3개월암살
33발레리아누스253.10.260.7년공동 통치옥사[5]
33-2갈리에누스253.10.268.09.15년암살
34단독 즉위
35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268.09.270.01.2년병사
36퀸틸루스270.01.270.05.4개월암살
37아우렐리아누스270.05.275.04.5년암살
38타키투스275.09.25.276.06.9개월전임과의 사이에 5개월 공백
39플로리아누스276.06.276.09.3개월암살
40프로부스276.09.282.10.6년암살
41카루스282.10.283.08.10개월사고사[6]
42-2누메리아누스283.08.284.11.1년 3개월공동 통치암살[7]
42카리누스283.08.285.03.2년암살[8]


1.8. 사두정치[편집]


>
 
{{{#FCE774
[ 펼치기 · 접기 ]
#4A3800,#FFF {{{#!wiki style="margin: -5px 0px"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rowbgcolor=#FFCF60,#000000>|| [[디오클레티아누스|단독황제]] || [[사두정치|양두정치]] || [[사두정치|제1차 사두정치]] || [[사두정치|제2차 사두정치]] || ||<tablebgcolor=#FFEF60,#000000> '''동방 정제''' ||<-3> [[디오클레티아누스]] || [[갈레리우스]] || ||<rowbgcolor=#FFFF80,#000000> '''동방 부제''' ||<-2> - || [[갈레리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 '''서방 정제''' || - ||<-2>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 ||<rowbgcolor=#FFFF80,#000000> '''서방 부제''' || [[막시미아누스]] || - || [[콘스탄티우스 1세]]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5>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FF >>>  306 ~ 310년  >>>}}}'''}}} || ||<rowbgcolor=#FFCF60,#000000>||<-3> [[사두정치|제2차 사두정치]] || [[사두정치|제3차 사두정치]] || ||<|2> '''동방 정제''' ||<-3><|2> [[갈레리우스]] || [[갈레리우스]] || || [[리키니우스]] || ||<rowbgcolor=#FFFF80,#000000> '''동방 부제''' ||<-4> [[막시미누스 다이아]] || ||<|3> '''서방 정제''' ||<|3><-2>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2> [[콘스탄티누스 1세]] || ||<-2> [[막시미아누스]] || ||<-2> [[막센티우스]] || ||<rowbgcolor=#FFFF80,#000000><|2> '''서방 부제''' ||<|2> [[콘스탄티누스 1세]] || [[콘스탄티누스 1세]] ||<|2><-2> - || ||<bgcolor=#FFFF80,#000000> [[막센티우스]] || ||<-5>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FF >>>  311 ~ 316년  >>>}}}'''}}} || ||<rowbgcolor=#FFCF60,#000000>||<-4> 내전기 || ||<|3> '''동방 정제''' || [[갈레리우스]] ||<|2><-2> [[리키니우스]] ||<|3> [[리키니우스]] || || [[리키니우스]] || ||<-3> [[막시미누스 다이아]] || ||<rowbgcolor=#FFFF80,#000000> '''동방 부제''' ||<-4> - || ||<|2> '''서방 정제''' ||<-2> [[콘스탄티누스 1세]] ||<|2><-2> [[콘스탄티누스 1세]] || ||<-2> [[막센티우스]] || ||<rowbgcolor=#FFFF80,#000000> '''서방 부제''' ||<-3> - || [[바시아누스]] || ||<-5>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FF >>>  316 ~ 324년  >>>}}}'''}}} || ||<rowbgcolor=#FFCF60,#000000>||<-4> 내전기 || ||<|2> '''동방 정제''' ||<|2> [[리키니우스]] || [[리키니우스]] ||<|2> [[리키니우스]] || [[리키니우스]] || || [[발레리우스 발렌스]] || [[마르티니아누스]] || ||<rowbgcolor=#FFFF80,#000000> '''동방 부제''' || [[발레리우스 발렌스]] || - ||<-2> [[리키니우스 2세]] || || '''서방 정제''' ||<-4> [[콘스탄티누스 1세]] || ||<rowbgcolor=#FFFF80,#000000><|2> '''서방 부제''' ||<|2><-2> - ||<-2> [[크리스푸스]] || ||<bgcolor=#FFFF80,#000000><-2> [[콘스탄티누스 2세]] || ||<-5>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FF >>>  324 ~ 352년  >>>}}}'''}}} || ||<rowbgcolor=#FFCF60,#000000>||<-4> [[콘스탄티누스 왕조]] || || '''동방''' ||<|3> [[콘스탄티누스 1세]] ||<-2> [[콘스탄티우스 2세]] ||<|2> [[콘스탄티우스 2세]] || || '''중앙''' || [[콘스탄스]] ||<|2> [[콘스탄스]] || || '''서방''' || [[콘스탄티누스 2세]] || [[베트라니오]] [br] [[마그넨티우스]] || ||<-5>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FF >>>  353 ~ 364년  >>>}}}'''}}} || ||<rowbgcolor=#FFCF60,#000000>||<-3> [[콘스탄티누스 왕조]] || - || || '''동방''' ||<|2> [[콘스탄티우스 2세]] || [[콘스탄티우스 2세]] ||<|2> [[율리아누스]] ||<|2> [[요비아누스]] || || '''서방''' || [[율리아누스]] || ||<-5>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FF >>>  364 ~ 378년  >>>}}}'''}}} || ||<rowbgcolor=#FFCF60,#000000>||<-4>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 || '''동방''' ||<|3> [[발렌티니아누스 1세]] ||<-3> [[발렌스]] || ||<|2> '''서방''' ||<|2> [[발렌티니아누스 1세]] || [[발렌티니아누스 1세]] || [[발렌티니아누스 2세]] || ||<-2> [[그라티아누스]] || ||<-5>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FF >>>  379 ~ 395년  >>>}}}'''}}} || ||<rowbgcolor=#FFCF60,#000000>||<-3>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 [[테오도시우스 왕조]] || || '''동방''' ||<-3> [[테오도시우스 1세]] ||<|4> [[테오도시우스 1세]] || ||<|3> '''서방''' ||<-2> [[발렌티니아누스 2세]] ||<|3> [[발렌티니아누스 2세]] || || [[그라티아누스]] || [[마그누스 막시무스]] || || [[에우게니우스]] || [[플라비우스 빅토르]] || ||<-5>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FF >>>  395년 ~  >>>}}}'''}}} || ||<rowbgcolor=#FFCF60,#000000> '''동방''' ||<-4> [[동로마 제국]] || ||<rowbgcolor=#FFCF60,#000000> '''서방''' ||<-4> [[서로마 제국]] ||}}}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제1차
사두정치[9]
43디오클레티아누스284.11.20.305.05.01.20년 167일4명의 황제와 공동 통치,
동·서 로마 분리의 기틀 마련
자진 퇴위[10]
막시미아누스285.07.305.05.01. 19년 10개월자진 퇴위[11]
갈레리우스293.03.01.311.05.05.18년 69일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293.03.01.306.07.25.13년 149일
제2차
사두정치[12][13]
44막시미누스 다이아305.05.01.313.08.8년 3개월자살[14]
발레리우스 세베루스305.05.01.307.03.1년 8개월처형[15]
막센티우스306.10.28.312.10.28.6년전사[16]
리키니우스[17]308.11.11.324.09.18.15년 315일처형[18]
콘스탄티누스 1세[19]306.07.05.337.05.22.30년 329일로마제국 최초의 대제
단독통치 시작
콘스탄티노플 행정수도 건설


1.9. 콘스탄티누스 왕조[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콘스탄티누스44콘스탄티누스 1세[20]306.07.05.337.05.22.30년 329일로마제국 최초의 대제
단독통치 시작
콘스탄티노플 행정수도 건설
45콘스탄티누스 2세337.05.22.340.3년공동 통치전사[21]
콘스탄스337.05.22.350.13년암살[22]
콘스탄티우스 2세[23][24]337.05.22.361.11.03.24년 196일
46율리아누스[25][26]360.02.363.06.26.1년 266일전사
47요비아누스363.06.26.364.02.17.234일


1.10. 발렌티니아누스 왕조[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발렌티니아누스48발렌티니아누스 1세364.02.26.375.11.17.11년 267일공동 통치분사[27]
48-2발렌스[28]364.03.28.378.08.09.14년 137일전사[29]
49그라티아누스375.11.17.383.08.25.16년 21일암살
49-2발렌티니아누스 2세[30]375.11.17.392.05.15.16년 184일암살
-비정통에우게니우스392.05.15.394.09.06.2년동로마는 인정하지 않음
테오도시우스51마그누스 막시무스[31]383.08.25.388.08.28.5년 3일처형
50테오도시우스 1세[32]379.01.01.395.01.17.16년 16일로마제국 두번째로 대제 칭호를 받음
기독교를 국교로 삼음


2. 서방[편집]


서방의 황제직은 보편적으로 476년까지 존속했다고 보고 이후 동방이랑 합쳐진다.

2.1. 테오도시우스 왕조[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테오도시우스52호노리우스393.01.23.423.08.15.30년 204일최종 분할통치
52-2콘스탄티우스 3세[33]421.02.421.09.02.7개월
찬탈요안네스4234252년찬탈(비정통)[34]
53발렌티니아누스 3세[35]425.10.23.455.03.16.29년 144일암살


2.2. 서방영토 상실 전[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최후의 순간54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455.03.17.455.05.31.75일암살
55아비투스455.07.09.456.10.17.1년 101일암살
56마요리아누스457.04.01.461.08.02.4년 124일암살[36]
57리비우스 세베루스461.11.09.465.08.15.3년 280일자연사/독살[37]
58안테미우스467.04.12.472.07.11.5년 92일전사[38]
59올리브리우스[39]472.03.23
472.07.11.
472.10.23
472.11.02.
214일
114일
암살[40]
60글리케리우스473.03.03.474.06.1년항복[41]
61율리우스 네포스474.06.
475.08.28.
475.08.28.
480.09.09.
1년
5년 13일
474~475(황제)
475~480(계승권)
퇴위(황제)
피살
62로물루스 아우구스투스475.10.31.476.09.04.309일폐위[42]
--오도아케르476.493.17년황제가 아닌 왕(王)피살


3. 동방[편집]


후기로 갈수록 황제의 이름이 라틴어보다 그리스어로 표기되는 경우가 잦은데, 이 시기에 로마 제국의 영토가 동방으로 한정되면서 제국 안에 남아있는 군중들이 대부분 그리스어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3.1. 테오도시우스 왕조[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테오도시우스52아르카디우스395.01.17.408.05.01.13년 108일동·서 로마 본격 분리
53테오도시우스 2세408.05.01.450.07.28.42년 88일낙마
54마르키아누스450.457.01.27.7년


3.2. 레오 왕조[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레오55레오 1세 트라키안457.02.07.474.01.18.16년 349일
56레오 2세474.01.18.474.11.17.303일병사[43]
57제노474.11.17.475.01.09.53일폐위
58바실리스쿠스475.01.09.476.08.1년찬탈, 폐위
복위제노476.08.491.04.09.15년복위
59아나스타시우스 1세491.04.11.518.7.9.27년 96일


3.3. 유스티니아누스 왕조[편집]


이 왕조는 80여 년간 5명의 황제를 배출한, 왕조교체가 잦았던 로마 기준으로는 그렇게 짧지만은 않은 왕조인데도 불구하고[44], 부자상속은 전혀 없이, 연달아서 숙질 계승이 2번[45], 장인-사위 계승이 2번씩 있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유스티니아누스60유스티누스 1세518.07.09.527.08.01.9년 22일
61유스티니아누스 1세527.08.01.565.11.14.38년 105일로마제국 세 번째로 대제 칭호를 받음
62유스티누스 2세565.11.14.578.10.05.12년 328일
63티베리우스 2세 콘스탄티누스578.10.05.582.08.14.
64마우리키우스582.8.14.602.11.27.20년 106일처형
없음65포카스602.11.27.610.10.05.7년 314일찬탈처형


3.4. 이라클리오스 왕조[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이라클리오스66이라클리오스(헤라클리우스)610.10.05.641.02.11.찬탈, 그리스어를 군사 용어로 쓰기로 공식화[46]
67콘스탄티노스 3세[47]641.02.11.641.05.25.공동 통치결핵[48]
이라클로나스[49]641.02.11.641.09.7개월쿠데타
68콘스탄스 2세 포고나토스[50]641.09.668.09.15.27년641년 네 황제의 해암살
69콘스탄티노스 4세668.09.15.685.09.17년
70유스티니아노스 2세 리노트미토스[51]685.09.695.10년폐위



3.5. 20년간의 혼란[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20년간의 혼란71레온티오스695.698.3년찬탈처형
72티베리오스 3세698.705.08.21.7년찬탈처형
복위유스티니아노스 2세 리노트미토스705.08.21.711.11.21.6년복위처형
73필리피코스711.12.11.713.06.03.2년폐위
74아나스타시오스 2세713.06.03.715.05.2년폐위처형
75테오도시오스 3세715.05.717.03.25.2년반란, 강제퇴위



3.6. 이사브리아 왕조[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이사브리아76레온 3세[52]717.741.성상파괴령 시작
77콘스탄티노스 5세 코프로니모스[53]741.06.18.741.06/07.폐위
78아르타바스도스741.06/07.743.11.02.폐위
복위콘스탄티노스 5세 코프로니모스743.11.02.775.09.14.복위
79레온 4세[54]775.09.14.780.09.08.
80콘스탄티노스 6세780.09.08.797.08.18.모후에 의해 퇴위병사[55]
81이리니 이 아시니아[56]797.08.18.802.10.31.반란, 폐위


3.7. 니키포로스 왕조[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니키포로스82니키포로스 1세802.10.31.811.07.26.추대로 즉위전사[57]
83스타브라키오스811.07.26.811.10.02.자진 퇴위중병[58]
84미하일 1세 랑가베스[59]811.10.02.813.07.11.자진 퇴위
없음85레온 5세 아르메니오스[60]813.07.11.820.12.25.암살


3.8. 아모리아 왕조[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비고
퇴위 원인
아모리아86미하일 2세 트라볼로스820.12.25.829.10.02.
87세오필로스829.10.02.842.01.20.
88미하일 3세 메시소스842.01.20.867.09.23.암살


3.9. 마케도니아 왕조[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마케도니아89바실리오스 1세867.09.23.886.08.29.사고사[61]
90레온 6세 소포스[62]886.08.29.912.05.11.
91알렉산드로스 2세912.05.11.913.06.06.공식으로 기독교도임을 부정한 율리아누스 후의 첫 황제.
92콘스탄티노스 7세 포르피로예니토스913.05.15.959.11.09.공동 황제
로마노스 1세 레카피노스920.12.17.944.12.20.
93로마노스 2세 포르피로예니토스959.11.09.963.03.15.병사[63]
94니키포로스 2세 포카스963.08.16.969.12.11.암살[64]
95요안니스 1세 쿠르쿠아스 치미스키스[65]969.12.11.976.01.10.병사[66]
96바실리오스 2세 불가록토노스[67]976.01.10.1025.12.15.최장기간 재위
97콘스탄티노스 8세1025.12.15.1028.11.15.
98로마노스 3세 아르이로스1028.11.15.1034.04.11.조이의 첫째 남편암살[68]
99미하일 4세[69]1034.04.11.1041.12.10.조이의 둘째 남편병사
100미하일 5세 칼라파티스[70][71]1041.12.10.1042.04.20.폐위암살
101조이1042.04.19.1042.06.11.공동 통치
테오도라1042.04.19.1042.06.11.
102콘스탄티노스 9세 모노마호스1042.06.11.1055.01.11.조이의 셋째 남편
복위테오도라1055.01.11.1056.08.31.복위
없음103미하일 6세 브링가스1056.08.31.1057.08.30.퇴위


3.10. 두카스 왕조[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콤니노스104이사키오스 1세 콤니노스[72]1057.06.03.1059.11.22.병으로 인해 자진 퇴위
두카스105콘스탄티노스 10세 두카스1059.11.24.1067.05.22.7년 181일
106미하일 7세 파라피나키스[73]1067.05.22.1078.03.24.6년 153일폐위
107로마노스 4세 디오예니스1068.01.01.1071.10.24.3년 297일폐위[74]
108니키포로스 3세 보타니아티스1078.03.31.1081.04.04.3년 4일양위


3.11. 콤니노스 왕조[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콤니노스109알렉시오스 1세 콤니노스1081.04.04.1118.08.15.37년 142일
110요안니스 2세 칼로얀니스1118.08.15.1143.04.08.24년 242일사고사[75]
111마누일 1세 메가스1143.04.08.1180.09.24.37년 179일로마제국 4번째이자 마지막으로 대제칭호를 받음
112알렉시오스 2세1180.09.24.1183.09.24.1년살해[76]
113안드로니코스 1세1183.09.24.1185.09.11.1년 353일반란, 폐위처형


3.12. 앙겔로스 왕조[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비고
퇴위 원인
앙겔로스114이사키오스 2세 앙겔로스1185.09.12.1195.04.08.9년 210일폐위
115알렉시오스 3세1195.04.08.1203.07.18.8년 103일폐위
116이사키오스 2세1203.07.18.1204.01.28.194일공동 황제
알렉시오스 4세1203.08.01.1204.01.28.180일살해
117알렉시오스 5세 두카스[77] 무르주플로스[78]1204.02.05.1204.04.13.68일폐위처형


3.13. 라스카리스 왕조[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라스카리스자립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1204.04.13.1205.03.19.340일자칭 황제[79]
118테오도로스 1세1205.03.19.1221.11.16년
119요안니스 3세 바타치스[80]1221.12.15.1254.11.03.32년 331일
120테오도로스 2세1254.11.03.1258.08.18.3년 289일
121요안니스 4세1258.08.18.1261.12.25.3년 130일공동 황제폐위
팔레올로고스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1259.01.01.1261.08.15.3년 24일


3.14. 팔레올로고스 왕조[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팔레올로고스121-2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1261.08.15.1282.12.11.20년 356일
122안드로니코스 2세1282.12.11.1328.05.23.45년 175일공동 황제
미하일 9세1282.1320.10.12.38년
123안드로니코스 3세1328.05.23.1341.06.15.13년 22일
124요안니스 5세1341.06.15.1347.12.6년폐위
125요안니스 6세 칸타쿠지노스1347.03.31.1354.12.04.7년 254일폐위
복위요안니스 5세1354.12.04.1376.08.12.21년 257일
126안드로니코스 4세1376.08.12.1379.07.01.2년 323일공동 황제[81]
요안니스 7세1376.1379.3년
복위요안니스 5세1379.07.01.1390.04.14.10년 288일복위
복위요안니스 7세1390.04.14.1390.09.17.156일단독황제 복위와 폐위
복위요안니스 5세1390.09.17.1391.02.16.152일복위
127마누일 2세1391.02.16.1425.07.21.34년 155일
128요안니스 8세1425.07.25.1448.10.31.23년 104일
129콘스탄티노스 11세 드라가시스[82][83]1449.01.06.1453.05.29.4년 143일수도 함락, 멸망전사[84]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후 명목상의 황제들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팔레올로고스1~2디미트리오스 팔레올로고스1453.1460.-콘스탄티노스 11세의 동생. 오스만에 항복
토마스 팔레올로고스1453.1465.콘스탄티노스 11세의 막내동생. 교황령으로 망명 후 황제의 예우를 받다 로마에서 사망
3안드레아스 팔레올로고스1465.1502.1453년 출생. 자식 없이 사망. 동로마 황제 혈통의 소멸[8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9:57:27에 나무위키 로마의 역대 황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소 아그리피나에 의한 암살설도 있다.[2] 로마 역사상 최초의 공동 통치.[3]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루키우스 베루스와 마찬가지로 형제가 공동으로 제위에 올랐다. 모두 동생이 먼저 죽고 형이 이후 단독통치를 했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차이점은 루키우스 베루스는 자연사, 게타는 카라칼라의 손에 죽었다.[4] 이 사람은 세베루스 황제의 일족이 아니다.[5] 사산조 페르시아와의 전쟁에서 패해 포로로 잡힌 후 사망[6] 전쟁 중에 쳐놓은 천막에 벼락이 떨어져 사망. 하지만 사인이 너무 우연적이기 때문에 번개에 의한 죽음은 사실 암살을 은폐하기 위한 연막이었다는 주장도 있다.[7] 암살범은 친위대장 이페르로 추정. 이때 경호대장이 디오클레스였다. 이가 바로 훗날의 디오클레티아누스.[8] 디오클레티아누스와의 전투를 유리하게 이끌고 있었으나 부하에게 심장을 관통당해 죽었다. 이유는 부하의 아내를 유혹했기 때문이라고.[9] 부황제에 있었던 기간 역시 통치 기간으로 정의한다.[10] 로마 제국 역사상 최초로 스스로 퇴위한 경우.[11]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자진 퇴위할 때 같이 퇴위.[12] 역시 부황제에 있었던 기간도 통치 기간으로 정의한다.[13] 나머지 둘은 위에 서술한 갈레리우스와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이기 때문에 생략한다.[14] 또는 독살. 리키니우스에게 패한 후 소아시아 남동부의 타르수스에서 사망. 에드워드 기번로마제국 쇠망사에서 Poison이 확실히 언급된 것으로 보아 사후 독살이나 독을 이용한 자살로 보인다.[15] 막시미아누스-막센티우스에게 항복한 이후 몇 달 있다가 307.9.에 처형.[16] 밀비우스 다리 전투에서 패하여 도주하던 중 전장에서 익사[17] 갈레리우스 사후 그 자리를 이어받은 인물. 콘스탄티누스 1세와 324년까지 강화를 맺었으나 결국 밀려난다.[18] 324년 9월 완전 항복 이후 다음해인 325년에 고트족과의 결탁을 구실로[19]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의 아들로 기독교 공인이나 동방천도(당시에는 정식 천도보다는 행정수도 건설에 가까웠지만) 등 역사의 물줄기를 많이 돌림. 기독교 쪽에서는 성 콘스탄티누스 대제라 부른다.[20]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의 아들로 기독교 공인이나 동방천도(당시에는 정식 천도보다는 행정수도 건설에 가까웠지만) 등 역사의 물줄기를 많이 돌림. 기독교 쪽에서는 성 콘스탄티누스 대제라 부른다.[21] 콘스탄스와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바로 형제싸움.[22] 휘하 장군 마그넨티우스의 반란이었다.[23] 콘스탄티우스 1세는 바로 할아버지인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24] 또다른 특이사항은 자신의 숙적을 후계자로 삼았다 자세한것은 콘스탄티우스 2세 문서참고[25] 배교자란 뜻의 아포스타타란 별칭이 붙고 최후의 '이교도' 황제로 일컬어지지만 엄밀히 따지면 아니다. 그의 이후로도 공개적으로 이교도를 자처한 황제가 한 명 더 등장하기 때문이다. 서로마 제국만 로마 제국이란 생각에서는 맞다고 볼 수 있겠지만.[26] 사실 서로마 제국 황제 가운데, '이교도 황제' 는 한 사람 더 있다. 밑의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말뭐 왕조 길이가 얼마나 된다고에 나오는 에우게니우스라는 사람인데, 다만 그는 정식 황제로 인정받은 적이 없다. 테오도시우스 1세가 전혀 인정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식 황제가 아니었고 그래서 이교도 황제로 부르기에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더군다나 소위 동서분열인 395년 이전이기도 하고.[27] 콰디족 사절단의 오만방자한 태도를 보고 열받아서(...) 죽었다고 한다.[28] 형인 발렌티니아누스 1세에 의해 공동황제로 임명되어 동로마를 통치했다.[29] 하드리아노폴리스 전투 참조.[30] 일리리쿰에 주둔한 군인들에 의해 추대되었다.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어머니의 섭정을 받았다. 387년 형 그라티아누스를 죽인 찬탈자 마그누스 막시무스가 이탈리아로 쳐들어오자, 동로마로 망명을 갔고, 곧바로 동제 테오도시우스와 함께 서로마의 통치권을 되찾았으나, 서방의 유력한 장군인 플라비우스 아르보가스트에게 (높은 확률로)암살당했다.[31] 그라티아누스를 살해하고 황제에 오른 찬탈자다. 내전을 우려한 테오도시우스 1세에 의해 일단은 황제로 인정받았다가, 동쪽으로 망명한 발렌티니아누스 2세와 테오도시우스에 서방 진군에 의해 패사한다.[32] 그라티아누스에 의해 동로마 황제로 임명되었다가 392년 발렌티니아누스 2세가 암살로 죽은 이후 아르보가스트와 그가 세웠던 대립황제 에우게니우스가 있었던 서로마를 공격해 394년 최후의 통일황제로 남게 되었다.[33] 콘스탄티누스 가문과는 큰 연관이 없다. 그냥 이름이 같은 것뿐.[34] 이 사람을 정식 황제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후대 동로마의 요안니스(=요안네스) 1세 치미스케스가 논란의 여지가 없이 '1세'인 것이다. 만약 이 사람이 정식 황제로 인정받으면 논란의 여지가 있는데, 동서로마가 소위 분리되었다고 하는 395년 이후이기 때문에 요안네스(요안니스) 1세를 동로마 서로마 따로따로 매길 수도 있고, 반면 이 사람을 1세로 하고 후대의 치미스케스를 2세로 매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35] 2년간의 공백이 생긴 이유는 이때 동로마 제국에 체류하고 있었기 때문.[36] 사실 암살이라고 하기도 뭐한 게 반달족의 근거지가 된 아프리카에 대한 원정에 실패한 뒤 귀환하던 그의 일행을 리키메르의 군대가 대놓고 공격해 몰살시켰기 때문. 목격자만 없으면 암살[37] 일부 사료에서는 자연사했다고 하고 다른 사료에서는 리키메르에게 독살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다.[38] 아래에 나오는 올리브리우스가 추대되면서 내전이 일어났다. 최대의 정적이었던 리키메르의 군대가 안테미우스의 군대를 패퇴시키고, 안테미우스는 거지로 분장해서 성당에 숨어들었다가 발각되어 살해되었다.[39] 레오 1세는 절대로 이 사람을 인정하지 않았다고 한다.[40] 리키메르의 조카인 군도발트가 실권을 잡은 뒤 암살했다.[41] 군도발트가 올린 허수아비 황제. 동로마 제국의 황제가 서로마 제국 황제로 지정한 율리우스 네포스가 쳐들어오자 항복했다.[42] 오도아케르에 의해서 폐위된 후 연금받고 살았다고 전해지지만 사망년도는 불명. 보통 율리우스 네포스가 다시 제위에 올랐다고는 하지만, 역사학자들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이것이 서로마 제국의 멸망.[43] 독살당했다는 설도 있다.[44] 위의 플라비우스 왕조는 27년밖에 안 되는데도 불구하고, 772쪽 분량의 'Flavian Rome', 624쪽 분량의 A Companion to the Flavian Age of Imperial Rome이라는 단행본이 있을 정도이다. 특히 후자의 'A Companion to ~' Blackwell이라는 학술 전문 출판사가 특정 주제에 포커스를 맞춰서 내는 시리즈다. 즉 27년짜리의 짧은 왕조도 학계와 출판계에서는 진지한 학술적 분석의 대상이라는 이야기다.[45] 그것도 두 번 다 부계 숙질이 아니라 모계 숙질, 즉 외삼촌과 생질의 관계였다.[46] 그 이전에도 부대 단위로서 메로스(그리스어)가 유스티니아누스 1세 때부터 이미 들어와 있었다. 또한 이 시기부터 황제들의 인명 역시 그리스어로 표기하기 시작했다. 다만 라틴어식 표기를 아주 저버렸던 것 역시 아니니 유의. 그리고 첨언하자면 이후로도 표기 언어만 바뀐 것일 뿐, 법통은 당연히 그대로 이어지기 때문에 넘버링(무슨 황제 몇 세 할 때의 그것, 영어로는 Enumeration.) 또한 고대 로마와 절대 따로 하지 않고 같이 한다. 예컨대 동로마 제국 시대 마케도니아 왕조 때의 알렉산드로스 2세가 '2세' 인 이유는, 고대 로마 세베루스 왕조 때의 알렉산데르 세베루스가 같은 알렉산데르(알렉산드로스)이기 때문에 그를 1세로 꼽기 때문이다. 서로마가 오래 존속했다면 넘버링이나 구분이 상당히 복잡해졌겠지만, 다행히(?) 먼저 망했다(?)[47] 이라클리오스의 첫째 아내의 아들[48] 독살 의혹도 강하게 존재함.[49] 이라클리오스의 둘째 아내의 아들, 그런데 그 둘째 아내라는 것이 다름 아닌 조카딸이다(...). 어지간한 문화권에서는 3촌 숙질 간의 근친관계에 대해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고, 당시의 제국도 마찬가지라서 총대주교 등 종교계와 수도 시민들로부터 근친혼이라고 비난받는 등 인기가 없었고, 여기에 강하게 제기되는 독살 의혹까지 겹쳐져서, 몇달 못 버티고 반대파를 등에 업은 콘스탄스에게 퇴위당한 후 신체훼손을 당한다.[50] 콘스탄티노스 3세의 아들, 별명: 털복숭이[51] 별명: 코가 없는 자[52] 이사브리아에서 출생해서 이 황제의 별칭이 이사브리아인이다.[53] 별명 : 똥싸개... 아기 때 세례받으면서 세례반에 똥을 쌌기 때문.[54] 하자로스. 어머니가 하자르족이었기 때문에 하자르인이라는 별명이 붙었다.[55] 눈이 뽑힌 후에 죽은 것은 사실인데, 자료마다 죽은 시기가 제각각이다.[56] of Athens라는 뜻. 아테네 출신이어서 이런 별명이 붙었다. [57] 불가르족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해골은 은도금되어 크룸의 술잔이 되었다.[58] 불가르족과의 전투에서 입은 부상으로 퇴위 3개월 후 사망.[59] 최초의 성을 가진 황제.[60] 아르메니아 출생[61] 사냥을 하다가 사슴뿔에 들이받혀 죽었다고 하는데 암살을 당했다는 설도 있다.[62] 별명 : 현자[63] 독살로 추정됨[64] 요안니스 1세 치미스키스에게 살해당했다.[65] 별명: '치미스키스'는 별명. 쿠르쿠아스 가문 출신이다. 어머니가 니키포로스 2세의 여자 형제였으므로 니키포로스 2세의 친조카에 해당한다.[66] 독살로 추정됨[67] 불가르인의 학살자라는 뜻[68] 미하일 4세가 그를 암살하고 조이와 재혼해 황제가 되었다.[69] 파플라고니아인[70] 별명: 땜장이[71] 미하일 4세의 조카로 그의 양자가 되어 즉위[72] 성. 이후부터 모든 황제들은 성이 있음. 왕조가 있는 경우 그 왕조 구성원이 아닌 인물만 성 표기[73] 마이너스 1/4이란 뜻으로, 노미스마 금화로 전에는 밀 1되를 살 수 있었는데 이 황제의 치세 이후 3/4되 밖에 살 수 없어서(...)[74] 만치케르트 전투의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75] 사냥 도중에 화살촉에 찔려 중독되어 패혈증으로 사망[76] 안드로니코스에게 살해당한 뒤 보스포루스 해협에 던져짐[77][78] 별명:짙은 눈썹[79] 정식황제로는 인정받지 못했다. 그래서 마지막 황제 콘스탄티노스가 11세가 되었다.[80] 성 : 테오도로스 1세의 데릴사위. 따라서 아들 테오도로스 2세의 성은 라스카리스[81] 반란으로 즉위했으나 폐위당했다[82] 별명: 어머니의 성. 자신을 드라가시스로 칭하는 것을 좋아했다.[83] 참고로 이 사람의 조카 딸인 조이가 러시아의 이반 3세와 결혼해서, 이반 3세는 이걸로 자신이 '제3의 로마'의 황제라고 자칭했다.[84] 다만 오스만 제국 측 사료나 후대에 서유럽 역사가들이 쓴 사료 가운데에는 흔히 알려진 것과 달리 도시가 함락되는 순간 목을 맸다거나 겁을 먹고 도망치려다가 끔살당했다거나 하는 등의 내용도 보인다.[85] 다만 토마스 팔레올로고스의 딸인 조이 팔레올로기나가 러시아로 시집을 갔고(시집간 뒤엔 소피아로 개명), 그녀의 핏줄은 이후 1610년까지 이어졌다. 다만 그녀가 낳은 아이들의 성(姓)은 이미 팔레올로고스가 아니었으므로, 팔레올로고스 황가가 조이(소피아)를 통해 이어진 것으로는 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