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화왕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회귀수선전(回歸修仙傳)/설정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2. 상세
3. 목록
4. 미래왕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회귀수선전에 등장하는 용어.



2. 상세[편집]


칠화왕은 여러 신화와 설화가 짜깁기되어 만들어진 가공의 인물들로, 그 자체로 인세를 시험하러 온 시험관이자, 동시에 깨달음을 주는 존재들이다. 실존하는 신격이 아닌 가공의 개념을 존재로 의인화한 것이지만, 서은현은 그들이 실존하는 신이라는 느낌을 받았다.[1]

아직 무엇이 진실인지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지만 회차가 넘어감에 따라 뒤바뀐 내용과 서은현의 반응을 보면 매우 중요한 떡밥이라 추측된다.

이후 998회차에서 유오를 통해 밝혀지길, 칠화왕이란 종명자가 천존과 같은 격을 얻게 될 때를 이르는 말로, 기승전결, 춘하추동의 명을 진행하여 자신의 진정한 명을 알게 된 종명자가 진선의 한계와 한도의 극점에 도달하게 될 때 칭해질 수 있다고 한다.

3. 목록[편집]


모든 호칭이 칠보로 시작해서 천왕으로 끝난다는 공통점이 있다.

  • 순간을 상징하는 금신천왕(金身天王)
  • 순환을 상징하는 적주멸천왕(赤珠滅天王)
  • 호법을 상징하는 유리호천왕(瑠璃護天王)
  • 무한을 상징하는 은람천왕(銀籃天王)
  • 결속을 상징하는 차거광한천왕(硨磲廣寒天王)
  • 고통을 상징하는 마노증천왕(瑪瑙'憎天王)
  • 더러움을 상징하는 흑요마천왕(黑曜魔天王)


4. 미래왕[편집]


번외로 미래왕(未來王)이라는 존재가 있는데, 언젠가 미래에 올 구원, 희망, 내일과 미래 그 자체 등을 의미한다. 수도 경지로의 진선, 즉 개열기 이후 탈각을 의미하기도 하며, 불가공법의 근원으로서 불도 그 자체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다.

앞서 말한 칠화왕은 미래왕에게 도달하기 위해 가르침을 베푸는 보살들이자 천왕들로, 언젠가 그들의 역할이 끝나면 미래왕이 정해 둔 길을 따라 미래왕의 옆자리에 올라가 그와 함께 영원낙토에서 정법을 누린다고 알려져 있다.

다만 이 미래왕은 너무 거대한 개념인지라 불도공법에서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18회차 이후, 19회차에서 폐허가 된 태열사에서 살고 있던, 태열전과 같은 생김새와 과거를 가졌으나 전혀 다른 성격과 행동거지를 보인 누군가는 칠화왕들은 중생들의 구제를 마치면 연화 속에서 탈각한다고 알려져 있을 뿐 미래왕과 칠화왕은 큰 연관성이 없다며 태열전의 설명과는 전혀 다른 이야기를 했다.


5. 관련 문서[편집]




[1] 마치 어선들을 마주쳤을 때 느낀 느낌이었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회귀수선전(回歸修仙傳)/설정 문서의 r7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17 02:40:31에 나무위키 칠화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