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바다사자

덤프버전 :

큰바다사자
Steller Sea Lion

학명
Eumetopias jubatus
Schreber, 1776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바다사자과(Otariidae)
아과
바다사자아과(Otariinae)

큰바다사자속(Eumetopias)

큰바다사자(E. jubatu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준위협.svg

파일:바다사자 해변.jpg

1. 개요
2. 생태
3. 한국에서의 큰바다사자
4. 한국 동물원 보유 현황
5. 대중매체




【언어별 명칭】
한국어
큰바다사자, 바다사자, 스텔러바다사자
영어
Steller Sea Lion
중국어
北海狮
일본어
トド


1. 개요[편집]


큰바다사자는 시베리아 연안, 캄차카 반도, 베링해 등 북부 태평양 바다에서 서식하는 바다사자의 일종이다. 독도, 울릉도 쪽에 살다 멸종된 강치 역시 바다사자 종류라 큰바다사자와 형제 관계이며 물개바다표범 등도 친척 뻘이다.

2. 생태[편집]


보통 5∼7월에 에 올라와 번식하고 남하 회유한다. 보통 수컷 1마리가 10~20마리의 암컷과 무리를 이루고 번식을 하는데, 이 하렘 집단은 8월이 되면 해산된다.

110~146m까지 잠수할 수 있고 수중에서 시속 25~30km로 헤엄친다. 명태, 꽁치 등의 어류와 및 새우 등 갑각류, 그리고 조개, 소라 등 연체동물들이 큰바다사자의 주 먹이이다. 천적은 범고래, 상어[1] 등이 있다.

바다사자 중에서 가장 크며 수컷은 1톤에 육박하기도 한다.

3. 한국에서의 큰바다사자[편집]


한국에는 큰바다사자의 집단 서식지는 없지만 동해안과 울릉도, 독도 주변 해역, 제주도 등지에서 가끔 발견되며 멸종위기동물 2급으로 지정되어 있다.2012년에는 울릉도 사동항구에서 발견되기도 했으며, #2017년 3월에는 강릉 정동진에서 한 마리가 2019년 12월에는 부산 앞바다에서 한 마리가 추가로 발견되었다. 2023년 6월에 가거도에서 나타났는데 이는 100여년만에 대한민국 서남부에 다시 관찰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했다. 이들은 대게 캄차카 등에서 출발해 동북해를 통해 남하해온 것으로 보인다. 반면 물개 종류 중 친척뻘인 점박이물범은 백령도대청도서해 5도 일대에 자생지가 있다. 가거도에서 발견된지 두 달 만에 통영의 앞바다에서도 큰바다사자가 발견되었다.


4. 한국 동물원 보유 현황[편집]


서울동물원에서 수컷 장군이와 암컷 장순이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2013년 장군이가 사망하고 현재는 장순이만 남아 있다. 그리고 서울어린이대공원코만도, 에버랜드 주토피아두두 총 두 마리가 있다.

아니면 우리나라 앞바다에 순치장과 야외풀장을 만들어놓고 진짜 비닷물을 끌어들인 뒤 큰바다사자를 더 넓은 국립생태원 방식으로 친환경 사육공원에서 키워야 한다.

장순이, 코만도, 두두 모두 노령이어서 종 보전을 위해서라면 큰바다사자의 추가 도입이 필요하다.

5. 대중매체[편집]


꼬마펭귄 핑구에 악몽이라는 에피소드에서 큰바다사자와 비슷한 캐릭터가 잠시 나왔었다. 코의 모양부터 수많은 수염을 보면 서로 비슷하지만 문제는 이 동물이 남극에서 살고 있지 않는다는 것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15:13:41에 나무위키 큰바다사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백상아리청상아리 등 대형 상어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