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즈마 피스톨(헤일로 시리즈)

덤프버전 :




파일:external/www.halopedia.org/300px-H4-PlasmaPistol.png
파일:H5G-Plasma_Pistol.png
Type-25/54 Plasma pistol
제조
이루이루 조병창
길이
37cm(25형)

6.6cm(25형)
높이
37cm(25형)
중량
3.5kg(25형)
유효 사거리
50m(25형)
총구 속도
108m/s(25형)
사용 탄약
초고온 플라즈마


헤일로 1편부터 5편까지의 플라즈마 피스톨 비교[1]




1. 개요[편집]


헤일로 시리즈코버넌트 측 보병 제식화기.


2. 상세[편집]


이루이루 조병창에서 제조된 무기이며, UNSC 해군정보국에선 유도형 에너지 권총[2]으로 분류한다. 일반적으로 UNSC 측에서 코버넌트 측의 하급 병사로 분류하는 그런트, 자칼, 드론 종족들이 자주 사용하다보니 인류 측에서 가장 잘 알려진 코버넌트의 제식화기이기도 하다.

권총으로 분류되고 실제로도 그렇지만 무게는 UNSC측 권총인 M6 매그넘에 비하면 더 무거운 3.5kg이다. 때문에 인간들은 무게를 감당하기 위해 두손 파지법으로 조작하지만, 코버넌트 종족들은 인간들보다 기본 신체능력이 뛰어나서 그런지 전부 한손 파지법으로 사용한다. 스파르탄의 경우 헤일로 2와 3에서 아킴보로도 문제없이 사용하지만 정확도를 위해 두손 파지법을 사용하는 듯. 무게와는 별개로 반동 자체는 아예 없는 수준이라고 하지만 이는 반자동 사격 한정으로, 과충전 사격 반동은 상당히 강하다.

무기를 발사하면 총구의 상부 및 하부 대전 극이 플라즈마를 급증시켜 볼트를 발사하며, 방아쇠를 계속 당기고 있으면 무기가 과충전되어 커다란 볼트를 지속적으로 충전한다. 볼트를 과충전시키는 도중엔 안전을 위해 무기의 배터리가 지속적으로 소모되며, 발사하는 과충전 볼트는 플라즈마 피스톨에 내장된 자기장 발전기로 대상을 향한 간단한 유도가 가능하다. 이후로 코버넌트에선 이 유도 능력을 더 강화하기 위해 차기 모델부턴 추적 조준경을 달았다고 한다.

과충전된 볼트는 일반적으로 발사하는 플라즈마 볼트보다 더 거대하고 대상을 향해 유도되며, 착탄 시 전자기 펄스를 발생시켜 전자 장비가 잠시 멈추게 된다. 인게임 상으로는 과충전 볼트에 맞을 시 스파르탄과 엘리트의 에너지 방어막이 방전되는 것으로 구현했으며, 이후 헤일로 3부턴 차량에 EMP 효과를 주는 것으로 더 업그레이드 되었다. 이 과충전 기능이 사실상 플라즈마 피스톨의 본체이며, 난이도 무관[3] 방어막을 전소시키는 효과 덕분에 고난이도 캠페인에선 수급도 쉬운데 성능도 좋은 무기, 대전에선 플라즈마 피스톨 차지샷+피스톨 헤드샷으로 악명높은 뉴비 콤보의 주인공이다.

코버넌트 무기들중 가장 많이 연구가 된것 때문인지, 플라즈마 피스톨의 배터리 팩은 적절한 어댑터만 있다면 UNSC 발전기로도 충전을 할 수 있다.

3. 게임 내에서[편집]


차지샷의 EMP 효과 때문인지 설정과는 동일 무기가 맞나 싶을 정도로 게임 상에선 엄청나게 너프를 받았다.

플라즈마 무기군이 애초에 실탄 화기와의 차별성을 위해 방어막에 더 효과적이고 체력에는 영향이 덜 가게끔 조정되었지만, 설정상 차지샷이 단 한방으로 그런트 세마리를 단숨에 녹여버린것과 달리 체력에는 대미지가 매우 떨어지고, 차지샷이 아닌 일반 볼트는 대미지가 훨씬 더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배터리 소모량도 시리즈가 지날수록 점점 늘어나 차지샷 몇번 쏘면 바로 무기를 교체해야 하는 참담한 배터리 효율을 보여준다. 정녕 이게 그 코버넌트 기술이 맞는지 의문이 들 정도.

3.1. 헤일로: 전쟁의 서막[편집]


파일:PlasmaPistol-HaloCE.png

사실상 플라즈마 피스톨의 전성기로, EMP 효과가 헤일로 3부터 나온 관계로 차량용으로는 부적합하지만 차지샷 성능은 전 시리즈 최강을 자랑한다. 유도 능력은 적을 굳이 조준하지 않아도 플라즈마탄이 알아서 적을 찾아 유도되었으며 차지샷은 충전 중 에너지 소모 개념이 없었고 11%라는 매우 적은 에너지만 사용했었다. 또한 후반부 챕터에서 상대해야 하는 센티널들이 차지샷 한방으로 처치된다는 점 역시 메리트를 더해준다. 단 이때는 플라즈마 피스톨의 탄속이 매우 느려 왠만한 AI들은 잘만 피해다니는게 단점.

이후 시리즈에선 유도 능력은 점점 너프당했고, 차지샷은 EMP 능력으로 차량 무력화 기능이 생겼지만 충전 중에는 에너지가 조금씩 소모되며 발사할때 에너지 소모량도 크게 증가했다.


3.2. 헤일로 2[편집]


파일:1280px-PlasmaPistol-H2.png

아킴보 시스템이 추가됨에 따라 한손 무기군들의 성능이 전체적으로 너프되었다. 플라즈마 피스톨도 이를 피하지 못해 최대 사거리, 탄속, 대미지, 유도력, 배터리 효율이 전부 너프되었다. 심지어 차지샷 대미지는 시스템상 체력에 단 1만 적용된다. 방어막 전소용으로만 쓰라는 듯.

하지만 아킴보 시스템 때문에 뉴비 콤보는 더욱 악랄해졌으며, 왠만한 유저들은 회피조차 불가능하다. 대처법은 아예 차지샷의 사거리 바깥에서 싸우거나, 어쩔수 없이 교전거리에 들어갔다면 차지샷이 날아올 때 가지고 있는 무기나 장비, 수류탄을 던져서[4] 플라즈마 덩어리를 맞춰 안 맞는 방법이다. 텍스트로는 정말 말도 안되는 방법이지만 플라즈마 피스톨의 교전 거리 내에선 이런 고육지책밖에 없었다는 것으로 당시 뉴비 콤보의 악랄함을 엿볼 수 있다.


3.3. 헤일로 3 및 그 이후[편집]


파일:1280px-H3-PlasmaPistol.png

헤일로 3부터 EMP 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대차량용으로도 우수한 성능을 자랑한다. 탄속이랑 유도력 또한 약간 버프된게 특징. 하지만 해당 작품부터 과충전 시 배터리가 조금씩 소모되어 이제 적절한 타이밍에만 충전 후 발사해야 한다. 3편부턴 일회용 장비가 추가됨에 따라 해당 장비를 던져 플라즈마 덩어리를 막는 방법이 추가되었다. 또한 해당작부터 에너지 방어막을 쓰지않는 브루트 대상으로도 차지샷이 효과를 보기 시작했다. 추가로 엘리트의 에너지 방어막과 달리 브루트의 방어구는 특정 최고등급 브루트[5]를 제외하면 한번 파괴된 후 다시 재생하지 않아 간접적인 상향을 받았다. 작정하고 아킴보 플라즈마 피스톨을 들고 브루트의 방어구만 부순 다음 배틀 라이플이나 코버넌트 카빈으로 머리만 쏙쏙 따내는 것도 가능.

특이사항으로 헤일로 3편의 차지샷 대미지는 시스템상 400으로 계산되지만 이는 에너지 방어막을 가진 적 대상으로만 한정이고, 방어막이 없는 적 대상으로는 대미지 계수가 크게 감소해 수치상 대미지를 체감할 일은 거의 없다. 이는 이후 시리즈에도 비슷하게 적용된다.

헤일로 3: ODST에선 3편과 동일한 성능으로 등장. 단 ODST에선 아킴보를 사용할 수 없어 실질적으로 너프당했다. 아킴보의 메리트는 물론이고 아킴보를 활용한 뉴비 콤보가 불가능해졌기 때문.

파일:1280px-HReach-PlasmaPistolSide.png

헤일로: 리치에선 ODST와 동일하게 아킴보 시스템이 삭제됨에 따라 아킴보 뉴비 콤보는 불가능. 대신 플라즈마 피스톨의 전체적인 성능이 2편과 3편에 비해 크게 상승했다. 캠페인에선 이전보다 상승한 엘리트의 AI를 파훼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멀티에서도 방어막 전소 후 6발만 맞춰서 킬을 딸 수 있다. 단 멀티 한정으로 배터리 효율은 더 떨어져 3편에서 배터리 1%당 4~5발을 쏜것과 달리 리치에선 1발당 정직하게 1%를 소모해 배터리 소모량이 거진 5배 가량 크게 상승했다.

파일:H4-T25PlasmaPistol-SideRender.png

헤일로 4부터 제작사가 바뀐 탓인지 디자인 및 사운드가 크게 변경되었다. 성능은 리치와 거의 비슷하지만 문제는 배터리 효율. 리치까지만 해도 멀티 한정 발당 1% 소모에 캠페인은 영향이 없었지만, 해당 작에선 캠페인에서도 발당 2%를 소모하는 막장스러운 배터리 효율을 보여준다. 심지어 차지샷은 발사시 20%가 쌩으로 날아가 과충전중 배터리 소모량을 감안하면 최대 4회 발사 가능. 사실상 플라즈마 피스톨의 암흑기라 볼 수 있다.


3.4. 헤일로 5[편집]


파일:H5G-Plasma_Pistol.png 파일:2023-01-25_오전_12-12-01-vq0oras2 (2).png

54D식으로 등장. 디자인과 사운드가 다시 변경되었으며 4편에서의 배터리 너프가 너무 과했다는걸 인정했는지 5편에선 캠페인 멀티 둘다 발사당 1% 소모로 변경되었다.

5편에서 대부분의 무기들이 전체적으로 상향되며 플라즈마 피스톨도 기본 성능이 어느정도 상승. 거기다 스마트 스코프 시스템 덕분에 차지샷 유도 사거리가 버프되어 거의 90m 거리의 적에게도 차지샷을 맞출 수 있게 되었다. 전체적인 성능 향상 때문인지 전장 청구에서 의외로 레벨 2 중화기로 등장한다.[6]

워존 모드에선 플라즈마 피스톨의 다른 모델인 "화염 투척기"와 "공허의 눈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여타 시리즈들과 비교하면 무기들의 전체적인 성능이 오버파워 수준인 헤일로 5에 걸맞게 괴랄한 성능을 자랑한다.

파일:2022-08-15_오전_5-00-52-przpeulm (2).png

  • 화염 투척기
    • 공통: 조준 보정 사거리 증가, 과열 쿨타임 감소
    • 반자동 발사 시: 플라즈마 볼트 3개씩 발사,[7] 정확도 약간 감소
    • 차지샷 발사 시: 대미지 증가, 과충전중 배터리 소모량 크게 감소

파일:2022-08-30_오전_12-12-52-3vq144me (2).png

  • 공허의 눈물
    • 공통: 과열 쿨타임 약간 감소, "소용돌이" 볼트 발사
    • 반자동 발사 시[8]: 정확도 크게 감소, 대미지 증가, 배터리 소모량 감소
    • 차지샷 발사 시: EMP 지속시간 증가, 과충전중 배터리 소모량 없음, 1인칭 시점에서 렌즈 플레어 생성
      • 과충전된 "소용돌이" 볼트 발사 시: 반경 8m 범위 대상에 전부 EMP 적용, 착탄한 소용돌이 볼트 인근 적이나 차량에 중력 효과를 적용시켜 끌고오거나 공중에 띄움, 스파르탄 직격 시 한방에 처치 가능, 차량 직격 시 해당 차량을 완전히 멈춰세울 수 있음


3.5. 헤일로 인피니트[편집]


파일:1280px-HINF_PlasmaPistol_Crop.png

5편과 비교하면 차지샷 대미지와 연사력이 상승하고 인피니트부터 플라즈마 무기도 바닥에 떨어진 무기에서 배터리를 노획해 충전이 가능해져 편의성은 증가했다. 거기다 배터리 효율은 5편보다, 어찌보면 그 1편보다도 더 좋아져[9] 캠페인중 플라즈마 피스톨을 더욱 넉넉히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멀티로 넘어가면 악갼 아쉬운데, 스마트 스코프 시스템이 헬멧 확대 기능으로 일괄 적용됨에 따라 5편에서 90m 거리의 적을 유도시키는 짓거리는 못하게 되었다. 유도력도 5편보단 떨어지는편. 또한 EMP 기능이 충격 무기로 이동되는 바람에 대차량용으로는 입지를 완전히 상실했다. 그럼에도 차지샷의 방어막 전소 기능은 여전해 대인전에선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차지샷의 대미지도 쏠쏠하게 증가한건 덤.

단 "차지샷"의 성능만 좋을 뿐 반자동 사격의 대미지는 오히려 2편과 3편 급으로 심각하게 너프당했다. 멀티 기준 방어막에 5발, 몸통에 11발이나 맞춰야 처치가 가능한 수준. 5편에서 방어막에 3발 몸통에 6발을 맞춰야 하는걸 비교하면 참담할 뿐이다.[10] 신참 콤보 스왑용으로나 쓰기를 권장한다.

캠페인 및 멀티 피에스타 모드에선 변형 버전인 "해방된 플라즈마 피스톨"을 사용할 수 있다.

파일:1280px-HINF_PlasmaPistol_Unbound_Crop.png

  • 해방된 플라즈마 피스톨
    • 반자동 발사 시: 플라즈마 볼트 크기 약간 증가, 대미지 증가
    • 차지샷 발사 시: 발사 시 유도되는 플라즈마 덩어리 대신 6개의 무유도 플라즈마 볼트 발사, 발사한 볼트가 한 대상에게 모두 명중할 시 합성폭발 발생

[1] 참고로 저 영상에서 헤일로 1의 플라즈마 피스톨은 XBOX 오리지널 헤일로 1 버전이 아니라, 헤일로 애니버서리 舊 그래픽 모드에서의 플라즈마 피스톨이다. 그 舊 그래픽 모드가 XBOX 오리지널 기반이 아닌 PC 이식판 기반이라는 점. 총기 사운드도 XBOX 오리지널이나 PC 이식판 기반이 아닌 애니버서리 리뉴얼 버전의 사운드이다.[2] 원문은 Directed Energy Pistol[3] 단 캠페인이나 사생결단은 설정한 해골에 따라 일부 차이가 날수도 있다.[4] 헤일로 2에서는 아킴보 중에 근접 공격을 하면 왼손 무기를 앞으로 약하게 던지면서 떨어뜨리는데, 이걸 플라즈마 덩어리에 맞춰서 피하라는 거다. 아니면 수류탄을 까서 던져서 맞추거나.[5] 보통 플라즈마 터렛이나 중력 해머를 들고있으며, 플라즈마 피스톨 차지샷을 맞춰도 머리 방어구가 남아있어 추가적인 사격이 필요하다.[6] 참고로 레벨 1에는 스톰 라이플, 볼트샷, 서프레서 등이 있고 2렙부터 스플린터 포탑, 기관포탑, 니들러, 코버넌트 카빈이 있다. 전장에서 플라즈마 피스톨을 청구하는 경우는 대부분 적군이나 보스 장비에 차지샷 EMP를 먹일 용도이기 때문에 청구레벨 1이였으면 장비가 안남아 다닐 가능성이 높긴하다.[7] 실제 대미지도 증가해 멀티에서 풀피 상대의 스파르탄 상대로 5발만에 처치가 가능하다.[8] 특이사항으로 바닥에 떨어진 무기나 수류탄을 공허의 눈물로 사격하면 해당 무기를 자신에게 끌고 올 수 있다.[9] 왜냐하면 차지샷 발사 시 배터리 소모량이 고작 7%밖에 안하기 때문. 물론 인피니트의 플라즈마 피스톨도 과충전중 배터리 소모가 있지만 과충전 시작 후 2~3초간은 배터리 소모량이 훨씬 적어 잘만 활용하면 1편 플라즈마 피스톨보다 더 효율적인 배터리 사용이 가능하다.[10] 인피니트의 플라즈마 피스톨은 연사력이 크게 상승한 덕분인지 요구 발사수가 이렇게 차이나는데도 동일 거리 기준 TTK 차이는 약 0.25초 정도밖에 안한다. 물론 실제 멀티에서 요구 발사수가 많다는건 그만큼 빗나갈 가능성도 많다는 뜻이니 사실상 킬캐치 용으로는 쓰지 말라는 소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2;"
, 2.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2;"
, 2.2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06:55:02에 나무위키 플라즈마 피스톨(헤일로 시리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