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자치령

덤프버전 :

파일:필리핀 국장(1935-1940, 1941-1946).svg 필리핀 자치령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필리핀 자치령
Commonwealth of the Philippines
Komonwelt ng Pilipinas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자치령
파일: 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필리핀 국장(1935-1940, 1941-1946).svg
파일:필리핀 국기(1936-1985, 1986-1998).svg
국기
국장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p_of_Philippines.png
1935년 11월 15일 ~ 1946년 7월 4일
성립 이전
멸망 이후
필리핀 군도 도민정청
필리핀 공화국
국가
The Philippine Hymn[1]
위치
필리핀 군도
면적
343,385.1 km2
인구
16,000,303명
수도
마닐라
정치체제
미국 보호 하의 대통령제 공화국
국가원수
대통령, 고등판무관
언어
영어, 스페인어, 필리핀어
종교
가톨릭
통화
필리핀 페소
1. 개요
2. 역사
3. 참고 문헌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1935년부터 1946년까지 필리핀 제도에 존속한 미국의 자치령이다. 1942년부터 1945년까지는 일본 제국의 침공으로 점령되었던 적이 있었다. 이 기간 동안 일본 제국의 괴뢰국필리핀 제2공화국이 존속하였다.

커먼웰스(Commonwealth)는 한국에서 연방, 자치령 등 다양하게 번역되고 있기 때문에 필리핀 연방이라고도 한다. 그 외 드물게 원어 그대로 필리핀 커먼웰스라고도 한다.


2. 역사[편집]


1934년 3월 24일 미국 의회를 통과한 타이딩스-맥더피 법(Tydings–McDuffie Act)에 의해 미국의 민정이었던 필리핀 제도 도민정부가 폐지되고 대신 필리핀 자치령이 수립되었다.

미국은 법안에 따라 필리핀의 완전한 독립까지 10년 동안 이행 기간을 갖고, 이 기간 동안 자치령을 수립하여 필리핀 스스로 헌법을 갖고 통치하게 하였다. 필리핀의 제헌 헌법은 1935년 5월 국민투표에 의해 승인되었다. 헌법을 통해 필리핀인들은 자신들의 대통령과 부통령을 직접 선출할 수 있게 되었다. 필리핀 자치령의 대통령으로는 마누엘 케손(Manuel L. Quezon), 부통령은 세르히오 오스메냐(Sergio Osmeña)가 당선되었다.[2]

미국이 자치령에 직접적으로 간섭할 수 있는 영역은 대외정책에 한정되었으며, 이민, 대외무역, 통화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법률들은 미국 대통령의 승인을 받는 정도였다.

한편 이러한 필리핀의 자치화는 미군정 시절부터 쭉 유지되어왔던 식민국(Bureau of Insular Affairs)의 기능을 크게 약화시켰다. 미 육군 산하 기관이었던 식민국은 1939년 폐지되고 연방정부 내무부 산하의 식민지과로 이관되었다.

필리핀 자치령은 독립을 향해 빠르게 나아갔으며 교양만화가 이원복 교수의 견해처럼 미국이 야만적인 착취 대신 공격적인 투자로 필리핀을 발전시켜 줬다는 우호적인 면도 있긴 하나, 오랜 미국 치하 동안 필리핀의 경제 구조는 미국에게 종속되었으며, 토착산업은 정체되었다. 미국과의 자유무역을 통해 필리핀 해외무역은 유례없이 증가했으나, 이는 미국으로부터 유입되는 소비재에 대한 의존을 증가시키고 필리핀 제조업의 발달을 저해했다.[3]

1941년 12월 10일, 진주만 공습을 통해 미국을 침공한 일본 제국은 필리핀 루손 북부부터 시작하여 필리핀 자치령을 침범하였다. 이듬해인 1942년까지 미군을 몰아내고 필리핀 제도를 점령한 일본 제국은 군정 통치를 1년 동안 시행하다 필리핀 제2공화국이라는 괴뢰국을 수립하였다. 필리핀 제2공화국의 대통령은 호세 라우렐이 맡았다. 케손 대통령은 미국의 인도 아래 호주를 거쳐 미국 워싱턴 D.C.로 피신하여 망명 정부를 꾸렸다.

당시 필리핀 자치령의 육군 원수였던 더글러스 맥아더는 필리핀 미군이 일본군에게 괴멸하자 호주로 피신하였다. 그러나 그는 대열을 가다듬고 북상하여 1945년 마닐라 전투(Battle of Manila)를 통해 필리핀을 탈환하였다. 전후 필리핀 제3공화국이 선포되었고, 마누엘 로하스(Manuel Roxas)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로하스는 1946년 7월 4일 독립을 선언하였고 미국이 이를 인정함에 따라 필리핀 자치령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3. 참고 문헌[편집]


  • 서용석 (1997). [연구논문1]필리핀의 식민지 경험과 사회발전 : 1898-1946. 비교사회, 200-269.
  • 양승운, '필리핀',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3.
  • 이원복, '먼나라 이웃나라 시즌2 17권: 동남아시아', 김영사. 2018. p184~185.
  • 조병욱, '이야기 필리핀사', 해피&북스, 2013


4.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21:10:14에 나무위키 필리핀 자치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 필리핀 국가의 영어 버전이다.[2] 제1공화국 대통령이었던 에밀리오 아기날도가 이 때 대통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아기날도는 제2공화국 시기에 일본에 협력하자는 방송에 출연한 혐의로 2차대전 후에 잠시 감옥에 갇혔다가 석방된다.[3] 1930년까지 필리핀은 수출의 73%를 미국에 의존하였고, 수입품 의존은 63%에 달하였다. 타이딩스-맥더피 법은 1940년까지 자유무역의 존속을 규정했지만, 필리핀 수출품에 대해서는 할당제를 실시했다. 필리핀에 반입되는 미국물품의 수입에는 아무런 제한도 없었다. 이로인해 필리핀은 더욱 미국 경제에 종속되어 1940년까지는 필리핀 수출의 83%가 미국이었으며, 수입의 77%는 미제상품이었다.-서용석 (1997). 227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