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암리식 토기

덤프버전 :

파일:흔암리식 토기.jpg
경기도 여주시 점동면 흔암리에서 발견된 토기



1. 개요[편집]


欣岩里式土器

청동기시대 전기 민무늬 토기의 형식.
청동기시대 한반도 남부 지방에서 사용되던 민무늬 토기의 형식
1960년부터 1978년까지 발굴, 조사로 출도한 유적이다. 경기도 여주시 점동면 흔암리에서 발굴됐다.


2. 내용[편집]


기원전 19세기 경에 남한강 유역, 영동 지방에 살던 주민들이 사용한 것으로 추측된다.[1][2]
구멍무늬토기(공렬토기), 짧은 빗금무늬가 새겨진 겹아가리토기(이중구연단사선 토기), 골아가리토기(구순각목문토기) 등이 있다.##

흔암리에서 발견된 민무늬 토기는 골아가리, 구멍무늬 등 다양한 특징이 복합적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주목을 받았다.
이러한 토기에 대해 고고학자들은 흔암리식 토기라고 부르기도 했다.

일부 흔암리식 토기는 몸체의 모양이 마치 팽이와 같기도 하다.
그런데 이 같은 팽이형의 민무늬토기는 일찍이 북한 황해도에서도 발견된 바 있어, 북쪽의 문화가 청동기시대에 남하했다고 주장하는 시각도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14:00:48에 나무위키 흔암리식 토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홍밝음 "전남지역 청동기시대 조기-전기문화의 변천과정" 표 8. 전남지역 청동기시대 전기 주거지의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자료 1, 광주광역시 서구 용두동 7호, 기원전 1620년 ~ 기원전 1210년, 기원전 1510년 ~ 기원전 1310년, 중심연대가 기원전 1420년[2] 이형원 "중부지역 공렬토기의 확산과 문화변동에 대한 토론문" 표 2. 화성 천천리 유적 청동기시대 주거지 AMS연대측정결과, 천천리 11호, 기원전 1610년 ~ 기원전 1210년, 기원전 1520년 ~ 기원전 1310년, 중심연대가 기원전 14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