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灣}}}물굽이 만
부수
나머지 획수
, 22획
총 획수
25획
미배정
2급
}}}
일본어 음독
ワン
일본어 훈독
いりえ
}}}
표준 중국어
wā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음의 와전
4. 용례
5. 이체자
6. 유의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灣은 '물굽이 만'이라는 한자로, '물굽이'를 뜻한다.


2. 상세[편집]


겸성회의자로, 굽을 만()과 물 수()를 합쳐 물이 굽이치는 지형을 뜻함과 함께 음은 彎에서 따온 글자다.

유니코드에는 U+7063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EVFN(水女火弓)으로 입력한다.


3. 음의 와전[편집]


'대만 = 타이완'에서와 같이 본래라면 이 글자는 '완'으로 읽어야 하는 글자이다. 강희자전에서는 '烏關切(ㅗ+ㄱᅟᅪᆫ)'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한자 음운학상으로 影聲山攝刪韻二等에 해당하며, 상고음-현대음에 이르기까지, 그 음가는 /wan/으로 이었다. 일본어에서도 마찬가지로 '완'으로 읽힌다.

그런데 한국어에서만은 이 한자의 음이 '만'으로 고정되었다. 이는 한자음의 변천 가운데 '무지에 의한 와음'에 해당하는데, (만)에서 그 음을 무리하게 유추한 것이다. 蠻이야 '만'으로 읽는 게 맞지만, 이 한자에서 '虫(훼)'가 빠진 '䜌'은 '란(←롼)'으로 읽어야 맞는다.[1] 그런데 이게 잘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彎, 巒과 같이 䜌(란←롼)이 들어간 한자를 䜌(란←롼)이 아니라 蠻(만)을 따라 '만'으로 읽는 것으로 착각하였다. 이후 글자에 彎이 들어간 灣 역시 '만'으로 읽게 되었고, 나중에는 반절이 오관절烏關切(ㅗ+ㄱᅟᅪᆫ)인 모든 한자들이 '만'이 되었다. 그래서 많은 옥편들이 灣의 원음은 '완'이라고 달아놓는다.


4. 용례[편집]



4.1. 단어[편집]


  • 만안(灣)
  • 항만(灣)
  • 페르시아만 전쟁(페르시아灣 戰爭)[2][3]


4.2. 고사성어/숙어[편집]




4.3. 인명[편집]


  • 손만(손완) - 손휴의 장남. 비 우(雨) 머리에 홑 단(單)이 들어간 형태의 글자를 쓰며, 문헌에는 灣과 통자(通字) 관계라고 전해지므로 여기에 쓴다.
  • 완나이 키누호(湾 )


4.4. 지명[편집]


  • 대만(灣/灣)
  • 완차이(灣)
  • 기타 여러 지명에서 육지로 둘러싸인 바다를 뜻하는 뒤 어근으로 들어간다. 경기만, 영일만 등.


4.5. 창작물[편집]




4.6. 기타[편집]




5. 이체자[편집]


  • 𡿞[⿰山彎](U+21FDE)


6. 유의자[편집]


  • (물굽이 낭)
  • 𤅷(물굽이 령)
  • (물굽이 예)
  • /(물굽이 오)
  • 𨸰[⿰⻖尻](물굽이 외)
  • 𡵿[⿰山幻](물굽이 유)
  • /(물굽이 측)


7.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𨈊[⿰𧾷彎](구부릴 만)
  • 𣡩[⿰木彎](굽은나무 만)
  • 𡿞[⿰山彎]/𢺯[⿰扌彎](물굽이 만)
  • (벌레이름 만)
  • (조그만평지 만)
  • 𡤶[⿰女彎]
  • 𬣗[⿰言彎]
  • 𱇋[⿰魚彎]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01:52:57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예를 들어 '단란(團欒)하다.' 등 표현에 이 글자가 들어간다.[2] 한국에서의 통칭은 '걸프 전쟁'이다.[3] 북한에서는 '페르샤만전쟁(Persia灣戰爭)', 중화권에서는 '해만전쟁(海灣戰爭(hǎiwān zhànzhēng)', 일본에서는 '만안전쟁((わん(がん(せん(そう, 완간센소ー)'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