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고기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한국 소설에 대한 내용은 가시고기(소설) 문서를, 《아기공룡 둘리》에 등장하는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가시고기(아기공룡 둘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모바일 게임 《쿠키런: 오븐브레이크》에 등장하는 펫에 대한 내용은 이 링크를 참고하십시오.

가시고기
Amur stickleback


파일:가시고기1.jpg

학명
Pungitius sinensis
Guichenot, 1869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기어강(Actinopterygii)

쏨뱅이목(Scorpaeniformes)

큰가시고기과(Gasterosteidae)

가시고기속(Pungitius)

가시고기(P. sinensis)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파일:Pungitius sinensis sinensis.jpg
학명 :Pungitius sinensis sinensis (Guichenot)
쏨뱅이목 큰가시고기과에 속하는 민물고기.

2. 상세[편집]


몸이 길고 옆으로 납작하며 등에 뾰족한 가시가 있는 것이 특징으로, 대부분 큰가시고기와 구분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가시고기과가 아닌 쏨뱅이목 큰가시고기과에 속한다. 큰가시고기가 조금 더 크고 혼인색이 화려하며, 등에 큰 가시가 2개 있다. 반면, 가시고기는 자잘한 가시가 8~9개 가량 있으며, 큰가시고기에 비해 홀쭉하다.

파일:큰가시고기1.jpg
큰가시고기의 모습

몸길이는 대체로 5~6cm로 아주 작으며 황강달이와 비슷한 외모를 가지고 있다. 주로 물이 맑은 하천 중류 기수구역이나 2급수 또는 물풀이 많은 곳에서 살며 새우나 작은 수서생물, 식물성 먹이를 먹는다. 국내에선 강원도경상북도의 일부 및 제천시의림지 등에 분포하며, 북한 중국 일본 등에도 존재한다. 몸집이 매우 작아서 식용으로서의 가치는 거의 없으며 애초에 보호종이라 함부로 잡는 것은 금지되어있다.

가시고기는 알을 보살피는 어류 중 하나다. 수컷이 맑은 물이 고인 웅덩이에 수초로 둥지를 만들어 놓으면 암컷이 와서 교미한 후 알을 낳고 죽거나 떠나 버린다. 그리고 수컷은 알을 보호하다가 새끼가 부화하면 죽고, 태어난 새끼들은 죽은 수컷의 살을 뜯어먹는다. 수컷은 자기 몸까지도 새끼의 먹이로 내준다. 이 습성은 알을 낳은 이후로는 거기에 대해 별다른 관심을 쏟지 않는 여타 어류들과 비교해 보면 상당히 특이한 습성이며, 부성애를 강조할 때마다 인용되는 아주 유명한 이야기이다.[1]



소설 가시고기로 알을 돌보는 습성이 유명해지자 한동안 관상어로 각광받기도 했다. 하지만 사료 순치가 잘 되지 않고[2] 영역 싸움이 심해서 어항에서 기르기에는 상당히 어렵다. 관상어로 기르고자 남획이 이루어지고 서식지의 파괴까지 겹쳐 개체수가 줄어들었으며, 2012년 5월 31일 멸종위기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큰가시고기과에 속하는 물고기 중 잔가시고기는 보호종이 아니다. 잔가시고기는 일본에서는 수로 콘크리트화로 절멸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모식종이 발견된 관서 지역과 다소 떨어진 야마가타, 아키타에서 개체군이 재발견되었다. 그리고 현재 잔가시고기는 가시고기와 동일종으로 간주되고 있다.

파일:잔가시고기1.jpg
잔가시고기의 모습. 가시고기는 등지느러미가 투명한 반면 잔가시고기는 푸른색 또는 검은색이다. 남대천 이북의 개체와 이남의 개체가 서로 모습이 다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07:00:02에 나무위키 가시고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베타버들붕어, 동사리도 수컷이 알을 돌본다. 시클리드 중에는 암수 한 쌍이 공동으로 치어를 양육하는 종도 적지 않다.[2] 일단 인공먹이에 맛을 들리면 잘 먹는 편이긴 하지만 그렇게까지 길들이기가 쉽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