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버스 220

덤프버전 :


>
강릉시
[ 시내버스 - 펼치기 · 접기 ]
[ 마실버스 - 펼치기 · 접기 ]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강릉시 CI_White.svg 강릉시 시내일반버스 22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GN220_Map.svg
기점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견소동(안목)종점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회산동(회산종점)
종점행첫차07:28기점행첫차07:28
막차20:13막차21:02
평일배차1일 22.5회주말배차1일 16.5회
운수사명동진버스
노선안목 - 초당분수공원 - 경포고 - 하슬라중 - 포남1동주민센터 - 동남아파트 - 강릉여고 - 신영극장 - 강릉의료원 - 내곡교 - 회산교 - (← 가톨릭관동대학교 북문 ←) - 서희스타힐스아파트 - 회산종점


2. 개요[편집]


강릉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로, 안목에서 출발해 회산동 회산종점까지 운행한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회산동 주민을 위해 2017년 4월 3일에 222번 운행횟수 41회 중 32회를 감편하여 분리, 신설되었다.

  • 인가 상으로는 가톨릭관동대 북문을 양 방향 경유하는 노선이었으나, 동진버스가 이를 지키지 않고 시내 방향만 들어가는 문제가 생겼다. 이로 인해 지역 주민들이 지속적으로 민원을 제기하면서 양 방향 운행하는 걸로 바뀌었다.

  • 하지만 운행사원 부족을 이유로 2017년 8월 하순에 다시 시내 방향만 들어가는 걸로 정식 변경되었다. 사실 회산교 정류장에 정차한 후 바로 좌회전을 하는 게 위험하기도 했다. 하지만 225번은 잘도 한다.

  • 2018년 11월 1일에 1일 운행횟수가 평일은 2회, 주말 및 공휴일은 3.5회 감회되었다. 첫차가 1시간 늦어지고, 막차가 1시간 빨라졌다.강릉시 공지사항

  • 2020년 9월 1일 부터 회산종점까지 연장운행한다. 그래서 회산동까지 내려가서 유턴한다.

  • 이후 코로나 19로 인해 운행횟수가 크게 줄었다.


4. 특징[편집]


  • 저상버스가 다니는 노선 중 하나다. 연비 문제 등으로 인해 디젤 저상버스가 빠지고 다른 노선에서 다니던 중형차 일색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전기저상버스가 투입되고 있다.

  • 회산종점에서 유턴한 후에 회산종점 출발시간에 맞추기 위해 쉬고서 출발하기도 한다. 안목 방향에 한해 중간에 가톨릭관동대 북문까지 들어간다. 다만 원래 양방향 들어가던 것을 좌회전이 어렵다는 이유로[1] 편도로만 가도록 바꾼 것이다.

  • 222번에서 분리된 노선이기 때문에 내곡동ㆍ회산동 구간을 제외하면 222번과 동일하게 다닌다. 또한 104번도 동일하다. 104-1, 104-2번은 이 노선과 달리 구정까지 들어간다.

  • 평일첫차는 104-2번 첫차와 연계가 된다. 원래 104-2번이 비슷한 시간대에 첫차가 출발했으나 52시간 근무제 실시에 따라 서희아파트까지 공차회송하고 거기서 출발하도록 노선이 조정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정방면은 07:35에 출발하는 104-2번 첫차로 갈아타면 된다. 하지만, 주말은 220번 첫차가 늦어지기 때문에 연계가 불가능하다.

  • 222, 223번과 같은 운행계통으로 묶이기 때문에 차량을 공유한다.


5. 연계 철도역[편집]


없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05:05:51에 나무위키 강릉 버스 22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롯데주류앞에서 좌회전, 다시 회산막국수 앞에서 좌회전을 하기가 어려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