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진버스

덤프버전 :



파일:동진버스.png
동진버스 주식회사
東進버스 株式會社
Dong-jin Bus

설립일
1980년 5월 8일
업종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최준형
사원수
175명
기업 분류
중소기업
상장 여부
비상장
보유 대수
103대
주요 주주
최성환 : 74.47%
최준형 : 14.92%
최준우 : 10.61%
주소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변로534번길 45
(입암동 21-8)
문의전화
033-653-8011

1. 개요
2. 상세
3. 차량
4. 운행 노선
5. 여담
6. 보유차량


1. 개요[편집]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버스 회사이다.

2. 상세[편집]


  • 흔히 공단으로 불리는 입암동에 차고지가 있으나 본사 차고지가 면적이 그리 넓지 않아서 근처 노상과 인근 정비소에 차량을 주박시킨다. 주로 동진버스 소속 읍면 노선이 공단에서 출발한다.

  • 2000년대 초반 강원여객으로부터 강릉시내버스 사업을 양수하면서 일부 외곽 노선의 운영을 시작했다.

  • 대부분의 노선을 단독으로 운행하나, 일부 강릉시 시내버스 노선을 동해상사고속공동 배차하고 있다.[1]

  • 양양군 마을버스 사업에 참여하여 양양군 농어촌버스강원여객과 같이 운행하고 있다. 다만 동진버스는 현남면 지역 노선 3개만 운행하고, 나머지 지역은 강원여객만 운행한다. 말이 양양군 농어촌버스지 원래 주문진에서 출발하는 강릉시 시내버스이던 것을 노선 관할만 바꾼 것인지라 그대로 운행하는 것.

  • 강릉시에 한해 영업함에도 강원도 지역에서는 나름 큰 업체이다. 강릉시 시내버스만 운영함에도 강릉, 속초, 간성, 동해 지역 시내버스와 시외버스까지 하는 동해상사고속과 차량 보유 대수에서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

3. 차량[편집]


보유차종으로는 과거에는 FB485, FB500, RB520, 에어로시티 등 현대자동차 버스 위주로 출고했던 업체였으나 1998년부터 BM090, BS106 등 대우버스 위주로 출고하기 시작하였으나 2000년까지는 현대자동차도 번갈아가며 도입했다.

2002년부터 2010년까지 대우버스만 주구장창 출고했다가 2011년에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를 출고했다. 그래도 전기버스 도입 전까지만 해도 현대버스, 대우버스를 혼용해서 출고했다.

2017년 12월에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강원도 최초 전기버스 모델인 포톤 그린어스를 출고했다. 이후 시내 노선 차량은 2대 빼고 포톤 그린어스만 도입하다가 2020년부터 그린어스가 수입을 중단하면서 국내 최초로 킹롱 시티라이트를 출고하며 전기버스는 계속 시티라이트로만 구매하고 있다.


4. 운행 노선[편집]




5. 여담[편집]


  • 강릉시천연가스 충전소가 없어서 디젤차량만 출고해왔었다. 이 때문에 저상버스도 자연스레 디젤 차량으로 출고했다.[2]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사각램프 BS110CN 디젤 저상 2대가 모두 그린어스로 대차되었으며 이후 전기버스가 계속 늘어 48대[3]를 보유하고 있다.[4] 이 때문에 차고지 내에 전기차량 전용 충전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전기버스의 숫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제 2 차고지 및 전기버스 충전소를 공단 근처에 조성했다.

  • 2012년 10월 말 비수익 노선을 폐지하겠다고 들고 나왔다.[5] 그러나 2012년 11월 3일부터 모든 노선이 정상화되었다.

  • 유사한 노선끼리는 크게 한개의 계통(OO선, XX선)으로 취급하여 차량을 배정한다. 예를 들어서 220, 222, 223번은 관대선으로 묶어서 11대를 투입하는 식. 다만 104, 224, 224-1, 233, 234, 통학노선처럼 운행횟수가 상당히 적은 경우 다른 계통의 차량을 빼서 투입한다.[6][7]


  • 디젤 저상버스가 일반 디젤버스에 비해서 연비가 나쁜데다가 유지비가 많이 나왔던지라 평일에 한해 거리가 짧은 대학선에 집중적으로 투입했었고[8]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아예 운행하지 않았다. 이후 차량 품질과는 별개로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전기 저상버스가 들어오면서 운행 빈도가 줄어들다가 단거리 노선인 233, 234번으로 넘어갔고 2020년부터 코로나 19로 인한 감차 이후에는 연식 및 주행거리를 불문하고 전부 운행을 중단했다. 더군다나 중국산 전기 저상버스가 같은 저상버스이기 때문에 회사 입장에서 애물단지인 이 차들이 명목상 예비차로 바뀌어 운행을 나오지 않아도 큰 문제는 없는 상황.

  • 한때는 동진관광을 운영한 적이 있었지만 2000년대 초반에 폐업했다. 2014년까지만 해도 동진버스 차고지에 동진버스 동진관광이라고 쓰여있었으나 동진버스 동진버스로 바뀌었다.


6. 보유차량[편집]



6.1. 현재 보유차량[편집]



6.1.1. 현대자동차[편집]



6.1.2. 자일대우버스[편집]



6.1.3. 킹롱[편집]



6.1.4. 포톤[편집]




6.2. 과거 보유차량[편집]



6.2.1. 현대자동차[편집]



6.2.2. 자일대우버스[편집]



6.2.3. 기아[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7:45:41에 나무위키 동진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통학3, 200, 206, 207, 300, 302, 314, 315, 마실버스 일부 노선, 시티1번을 공동 운행하며, 나머지 노선은 단독 배차한다. 단, 주문진 노선의 경우 회사별로 기종점이 다른데 기종점이 공단이면 동진버스, 안목이면 동해상사고속.[2] 이로 인해 천연가스 충전소가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서 저상버스를 도입한다면 전기버스나 수소전기버스로만 도입해야 하는데, 이는 국내에 디젤 저상버스가 없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는 더 이상 디젤저상 모델을 생산하지 않는다.[3] 포톤 그린어스 18대 + 킹롱 시티라이트 30대.[4] 강원도 내에서 국산 전기버스를 첫 도입한 지역은 춘천시이다. 이쪽은 NEW e-화이버드를 도입했으며, 일렉시티도 도입했으나 춘천시민버스의 차량대금 미납으로 제조사에서 회수해 갔으나, 2023년에 일렉시티를 다시 출고했다.[5] 신문에는 D버스로 표기되어 있으나 강릉시 시내버스를 운영하는 동해상사고속은 수익성이 나쁘지 않은 시내노선과 주문진 노선만 운행하기에 동진버스일 수밖에 없다.[6] 2018년 개편전에 다니던 214번은 보광리에서 출발한 502번 첫차가 가마골을 찍고 나오면서 503번 첫차의 기능까지 하던 것이 영동대 앞에서 노선번호만 바꿔서 다니던 노선이었고, 2019년 개편전에 다니던 304/305번 역시 시내노선에서 다니던 차가 지원을 나갔다. 2020년에는 509번을 시내선에서 지원운행했다. 수요가 없는데 큰 차가 들어간 것은 이런 이유.[7] 104, 224-1, 234번은 관대선 차량이 아침시간대에 지원운행을 나가는 노선들이다.[8] 디젤 저상버스는 관대선에 가장 많이 들어갔고 강대선에도 제법 많이 들어갔다. 아주 드물게 강릉고, 강문 노선에도 들어갔으며 운행거리가 긴 남부선, 북부선, 서부선에는 절대로 투입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