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학교/학부/공과대학/환경공학과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경북대학교/학부/공과대학

경북대학교 환경공학과
慶北大學校 環境工學科
KNU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설립1992년 3월
학과장김웅 교수
주소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 경북대학교 공대6호관 311호

링크경북대학교 환경공학과 공식 홈페이지

1. 개요
2. 전공 및 수업
3. 교수진
3.1. 신원식 교수
3.2. 추광호 교수
3.3. 임호진 교수
3.4. 이대성 교수
3.5. 김웅 교수
3.6. 박창민 교수
3.7. 정성엽 교수
4. 졸업 후 진로
5. 주요 동문
5.1. 학부
5.2. 대학원



1. 개요[편집]


경북대학교환경공학과.

지구의 환경보호와 인류의 지속적인 번영에 기여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으며, 전 세계의 이상 기후, 생태계의 변화, 식량 위기 등의 현상에 직면한 오늘날에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2022년 10월에 KNU교육브랜드 선도학과 육성사업에 선정되어 사업 관련 활동들을 진행하고 있으며 경북대학교 93개 학과를 대상으로 한 2022학년도 학과 평가에서 1위인 최우수학과로 선정되었다.


2. 전공 및 수업[편집]


자연과학의 기초이론을 토대로 환경문제를 연구하는 공학의 한 분야이다.

환경공학과에 입학한 학우들은 첫 1년 동안, 공대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과학과 수학의 기초 과목을 배운다. 최근에는 ‘환경공학 입문’이라는 과목이 신설되어 고학년 때 배우는 내용들을 미리 배워볼 수 있다. 2, 3학년 때는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폐기물관리 등 환경과 직결되는 전공과 이 전공들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유체역학, 물리화학, 유기화학, 기초미생물학, 수리수문학과 같은 전공들을 배운다. 그리고 4학년 때는 배웠던 지식을 모두 활용해 환경공학과 관련된 주제를 직접 정하고 실험을 진행하는 캡스톤 과목을 수강하게 된다.


3. 교수진[편집]



3.1. 신원식 교수[편집]


  • 지하수, 토양오염복원 전공
  • 경북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물리화학, 공학수학1, 수질관리, 수질분석, 토양오염복원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토양오염, 환경모델링, 환경동력화학
  • 산업대학원 강의과목: 반응공학특론, 토양지하수오염
  • 한국퇴적환경준설학회 회장, 경북대학교 차세대에너지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하였다.


3.2. 추광호 교수[편집]


  • 수질공학, 고도처리 전공
  •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환경화학, 환경유체역학, 수질분석, 환경공학세미나1·2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막분리공학, 수질화학특론, 후질화학모델링 및 응용, 스마트순환사회환경시스템 세미나1·2·3·4
  • 산업대학원 강의과목: 환경화학특론, 환경분리공정
  •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을 하였다.


3.3. 임호진 교수[편집]


  • 대기오염제어공학 전공
  • 경북대학교 공업화학과(현 응용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럿거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화학1, 유기화학1, 환경유기화학개론, 화공양론, 대기오염실습, 환경공학 캡스톤디자인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에어로졸, 대기오염모니터링, 고급환경기기분석
  • 산업대학원 강의과목: 대기오염방지기술
  • 1987~1996년 국방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을 역임했으며 1994년 연구소로부터 국방과학상 은상을 수상하였다.


3.4. 이대성 교수[편집]


  • 환경에너지시스템공학 전공
  •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분자생명과학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화학2, 기초미생물학, 환경공학입문, 환경수리수문학 및 설계, 생물처리공정, 폐수처리실습, 폐기물분석, 수치해석, 환경공학 캡스톤디자인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환경수치해석, 방사성폐기물처리특론
  • 산업대학원 강의과목: 환경시스템공학특론, 산업환경기술
  •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을 했다.
  • 2006년 산업부장관 대상, 2017년 교육부장관 표창장, 2019년 원암학술상 등을 수상하였다.


3.5. 김웅 교수[편집]


  • 바이오에너지공정, 환경미생물분석, 혐기소화 전공
  • 서울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를 졸업하고, 포항공과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화학1·2, 환경공학입문, 화공양론, 생물처리공정, 소음진동학, 폐기물분석, 폐수처리실습, 생물고도처리 및 설계, 인공지능과 케글분석, 환경공학 캡스톤디자인
  • 산업대학원 강의과목: 고급생물공정, 환경데이터 탐색적 분석
  • 2023년 유색 염색폐수를 획기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광촉매를 개발하여 대구시를 비롯한 지역의 연구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대구시를 비롯한 지역산업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서, 대구광역시 학술부문 문화상 수상하였다.


3.6. 박창민 교수[편집]


  • 환경나노융합 전공
  • 한양대학교 지구환경건설공학부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캠퍼스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공학수학1·2, 환경공학입문, 공학 프로그래밍언어, 수질분석, 하수도공학, 화학안전공학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물리화학적 정수처리공정
  • 산업대학원 강의과목: 고도수처리공정, 산업수질관리
  •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을 했다.
  • 제일모직 책임연구원, 삼성전자 과장 등을 역임했으며, 미국 환경보호청((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약칭 EPA)에서 연구원을 지냈다.
  • 2022년 국가 수처리기술과 과학기술 진흥에 기여했다는 공헌을 인정받아서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하였다.


3.7. 정성엽 교수[편집]


  • 폐자원회수, 청정에너지공정 전공
  •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환경공학입문, 공학 프로그래밍언어, 폐기물분석, 일반폐기물관리, 고형폐기물의 종합적 관리 및 설계, 슬러지처리 및 설계, 물리화학폐수처리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에너지환경공학
  • 산업대학원 강의과목: 고형폐기물 처리 및 관리


4. 졸업 후 진로[편집]


졸업 후 취업, 대학원 진학, 환경직 공무원 등의 진로를 모색한다. 수질, 대기, 폐기물 분야 중 관심 분야 및 전공 관련 자격증을 기반으로 공기업, 사기업 및 연구소 등에 취업하기도 한다.

그리고 대학원에서는 수질, 대기, 폐기물, 환경 에너지, 환경복원 분야를 연구한다.

대구국가산업단지(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소재)에 있는 한국물기술인증원로 취업할 수 있다. 관련 분야를 공부하는 학과이고 같은 지역에 있기 때문에 취업 시 강점이 있을 수 있다. 한국물기술인증원은 환경부 산하 출연기관이며 물산업 인증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2019년에 신설되었는데 초대 원장이 경북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로 재직했던 민경석 교수였다.


5. 주요 동문[편집]



5.1. 학부[편집]


  • 김민지: 한국국제협력단(KOICA) 전문관
  • 김승민: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책임연구원
  • 김이슬: 2011년 미스코리아
  • 김인정: 한국화학연구원 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 연구원
  • 박용은: 건국대학교 사회환경공학부 교수
  • 이소영: 대구광역시청년센터 성장기획단장
  • 최준: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5.2. 대학원[편집]


환경공학과가 아닌 타학과를 졸업한 경북대 졸업생과 타대학 학부 출신 졸업생을 기재한다.

  • 김명균(석사): 계명문화대학교 소방환경안전과 교수
  • 이현규(석사, 박사): 한국원자력연구원 선임연구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10 23:46:09에 나무위키 경북대학교/학부/공과대학/환경공학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