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숭빈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진덕왕조중시죽지
무열왕조중시문충 | 김문왕
문무왕조중시문훈 | 진복 | 지경 | 예원 | 천광 | 춘장 | 천존
신문왕조중시순지 | 대장 | 원사 | 선원
효소왕조중시원선 | 당원 | 순원
성덕왕조중시원훈 | 원문 | 신정 | 문량 | 위문 | 효정 | 사공 | 문림 | 선종 | 윤충
효성왕조중시의충 | 신충
경덕왕조중시유정 | 대정
시중대정* | 조량 | 김기 | 염상 | 김옹 | 양상
혜공왕조시중김은거 | 정문 | 김순 | 주원
원성왕조시중제공 | 종기 | 준옹 | 숭빈 | 언승 | 지원 | 김삼조
소성왕조시중충분
애장왕조시중수승 | 김헌창
현덕왕조시중양종 | 원흥 | 장여 | 김충공 | 영공
흥덕왕조시중김우징 | 윤분 | 김명
희강왕조시중이홍
민애왕조시중헌숭
문성왕조시중의종 | 양순 | 김여 | 위흔 | 김계명
경문왕조시중위진 | 인흥
헌강왕조시중예겸 | 민공
정강왕조시중준흥
효공왕조시중계강 | 효종
경명왕조시중유렴 | 언옹
* 경덕왕 6년 중시를 시중으로 고쳐 부름.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철부김구해김거칠부김세종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수을부을제수품비담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알천금강김유신김군관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진복김문영김개원인품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배부김사공김정종김사인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신충만종신유김양상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김경신충렴세강김언승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김숭빈김수종김충공김균정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김명김귀장보고김예징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김의정김안김정위진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김위홍준흥김성계강
제45대제46대
박위응김성
문헌상 기록이 확인된 인물
김춘추, 김순정, 김옹, 김주원




金崇斌
? ~ 819년

신라의 상대등.

원성왕 8년(792년) 헌평태자 김의영이 태자가 되자 시중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2년 뒤인 794년 김의영이 사망하자 시중 자리에서 물러나고 후임 시중은 태손 김준옹의 동생 김언승이 되었다.

이후 헌덕왕 원년(809년) 상대등에 임명되었으며, 헌덕왕의 즉위를 당헌종에게 고하고 문극을 하사받았다. 이후 10년간 상대등의 직위에 있었으며 819년 사망해 후임 상대등은 태제 김수종이 되었다.

김의영의 태자 책봉 및 사망 시점이 그가 시중으로 활동했던 시점과 일치하는 점 때문에 헌평태자와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태자로 지명되었을 당시 김의영도 꽤나 장성한 나이였으므로, 흥덕왕 사후 정상적이라면 차남인 헌평태자 가문에서 차기 국왕이 배출되었겠지만 정작 왕위 계승권이 있던 건 3남인 김예영[1]의 가문이었다. 그의 가계가 이후 왕위계승권에서 배제된 이유는 확실하지 않으나 김헌창의 난에 가담했기 때문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12:01:05에 나무위키 김숭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태자책봉 등의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볼때 최소한 의영보다 먼저 세상을 떠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