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 살라망카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시몬 볼리바르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호세 마리아 페레스 데 우르디니나호세 미겔 데 벨라스코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페드로 블랑코 소토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즈세바스티안 아그레다마리아노 엔리케 칼보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호세 발리비안에우세비오 길라르마누엘 이시도로 벨주호르헤 코르도바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호세 마리아 리나레스호세 마리아 데 아차마리아노 멜가레호아구스틴 모랄레스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토마스 프리아스아돌포 발리비안힐라리온 다자나르시소 캄페로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그레고리오 파체코아니세토 아르세마리아노 밥티스타세베로 페르난데스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호세 마누엘 판도이스마엘 몬테스앨리오도로 빌라존호세 구티에레스 게라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바우티스타 사베드라펠리페 세군도 구즈만에르난도 실레스 레예스카를로스 블랑코 갈린도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다니엘 살라망카호세 루이스 테하다데이비드 토로게르만 부시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카를로스 퀸타니야엔리케 페냐란다괄베르토 비야로엘네스토르 기옌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토마스 몬제엔리케 헤르초그마메트로 우리올라고이티아휴고 발리비안
제45대제46대제47대제48대
빅토르 파스 에스텐소로에르난 실레즈 주아조르네 바리엔토알프레도 오반도 칸디아
제49대제50대제51대제52대
루이스 아돌포 실레스후안 호세 토레스휴고 반저후안 페레다
제53대제54대제55대제56대
데이비드 파딜라발터 게바라알베르토 나투쉬리디아 구일러
제57대제58대제59대제60대
루이스 가르시아 메자셀소 토렐리오귀도 빌도소하이메 파스 사모라
제61대제62대제63대제64대
곤잘로 산체스 데 로사다호르헤 키로가카를로스 메사에두아르도 로드리게스
제65대제66대제67대
에보 모랄레스지니네 아녜스루이스 아르세


볼리비아 다민족국 제33대 대통령
다니엘 도밍고 살라망카 우레이
Daniel Domingo Salamanca Urey
파일:Daniel Salamanca.jpg
출생1869년 7월 8일
볼리비아 코차밤바(Cochabamba)
사망1935년 7월 17일 (향년 66세)
볼리비아 코차밤바
국적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재임 기간제33대 대통령
1931년 3월 5일 - 1934년 12월 1일
약력볼리비아 하원의원,(1900-1901),
재정부 장관,(1903-1904),
볼리비아 제33대 대통령,(1931-1934),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볼리비아의 제33대 대통령이다. 차코 전쟁을 일으켰으나 전황이 불리하게 돌아가자 군사 쿠데타로 물러났다.


2. 생애[편집]


1899년 자유당 소속으로 볼리비아 하원의원으로 선출되면서 정치 생활을 시작했다. 임기 종료 후, 호세 마누엘 판도 대통령은 그를 재정부 장관으로 임명했다. 이후 1921년 진(眞)공화당(Partido Republicano Genuino)를 창당하면서 나왔다. 1925년 대선을 앞두고 당내 경선에서 패배하면서 정계를 은퇴했으나 1930년 군사 쿠데타로 정부가 전복되자 다시 복귀했고 이듬해 3월 대선에서 승리했다.

대통령에 임명되고 긴축 정책을 도입했고 반대파를 탄압했다. 파라과이와의 분쟁 지역인 그란차코 지역에 대한 소유권을 공고히할 것을 표방했다. 강경파인 살라망카 대통령은 그란차코에 요새를 설치하기도 했다. 이 모든 이유는 그란차코에서 석유가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었기 때문이다.[1] 또한 국가 통합을 강화하고 정부의 결점으로부터 국민의 관심을 돌리기 위해 이 분쟁을 적극적으로 이용했다. 결국 차코 전쟁으로 확대되었으나 자신이 임명한 한스 쿤트 총사령관이 졸전 끝에 경질되고 전황이 불리하게 돌아가는 것에 대한 비판으로 인해 군부와 관계가 나빠졌다.

1934년 11월 27일, 살라망카 대통령이 남쪽 전선의 비야몬테스 사령부에 방문한 사이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켜 퇴위당했다. 호세 루이스 테하다 부통령이 뒤를 이었다. 살라망카는 고향으로 돌아가 위암으로 1년도 안되어 사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00:22:47에 나무위키 다니엘 살라망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작 석유는 2012년이 되어서야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