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트드래곤@이그니스터 (r1판)

편집일시 :

유희왕의 엑시즈 몬스터 카드.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이그니스터




1. 원작
2. OCG



1. 원작[편집]


파일:라이트드래곤.png
한글판 명칭라이트드래곤@(이그니스터
일어판 명칭ライトドラゴン@(アットイグニスター
영어판 명칭Light Dragon @Ignister
엑시즈 / 효과 몬스터
랭크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4사이버스족23001500
빛 속성 몬스터를 포함하는 레벨 4 몬스터 × 2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자신 필드의 "@(앳)이그니스터" 몬스터의 수까지,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②: 이 카드 이외의 "@(앳)이그니스터" 몬스터가 상대에게 데미지를 주었을 때, 자신 묘지의 "@(앳)이그니스터" 링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괴력난신! 경천동지! 그 힘, 지금이야말로 영원의 통곡으로부터 눈을 떠라!! 엑시즈 소환! 와라! 랭크 4, 라이트드래곤@(앳)이그니스터!
怪力乱神、驚天動地!その力、今こそ久遠の慟哭から目覚めよ!エクシーズ召喚!来い!ランク4、《ライトドラゴン@イグニスター》!

이그니스들 중 빛의 속성인 라이트닝을 상징하는 몬스터. @마크가 새겨진 위치는 가슴팍의 마름모꼴 보석 안. 윈드페가수스@이그니스터가 마법 / 함정을 파괴한다면, 이쪽은 몬스터를 파괴한다. 라이트닝의 아르마투스 레기오하고 유사하다.

작중에선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 윈드페가수스@이그니스터가 링크 / 싱크로 소환된 후에 레벨 4 빛 속성 피카리@이그니스터와 드용@이그니스터로 엑시즈 소환되고 효과로 필드의 얼루어 퀸 몬스터를 2장 파괴했다.

랭크 4 / 빛 속성 엑시즈 몬스터라는 점에서 유희왕 ZEXAL의 대표 몬스터 No.39 유토피아와 공통점이 있고, 외형이나 효과 면에서는 No.100 누메론 드래곤과 유사한 면을 보인다.


2. OCG[편집]



유희왕 OCG의 10기 부스터 팩 커버 카드
[ 펼치기 · 접기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서킷 브레이크극한의 힘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
[[파이어월 드래곤|
>
파이어월 드래곤
]]>
[[바렐로드 드래곤|
>
바렐로드 드래곤
]]>
[[엑스코드 토커|
>
엑스코드 토커
]]>
[[토폴로직 투리스바에나|
>
토폴로직 투리스바에나
]]>
사이버네틱 호라이즌소울 퓨전새비지 스트라이크다크 네오스톰
[[사이버스 매지션|
>
사이버스 매지션
]]>
[[사이버스 클락 드래곤|
>
사이버스 클락 드래곤
]]>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
>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
]]>
[[파이어월 X 드래곤|
>
파이어월 X 드래곤
]]>
라이징 램페이지카오스 임팩트이그니션 어썰트이터니티 코드
[[바렐로드 X 드래곤|{{{#!wiki style="background-image" 파일:바렐로드 X.jp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바렐로드 X 드래곤]]
[[파이어월 드래곤 다크플루이드|{{{#!wiki style="background-image" 파일:파이어월 드래곤 다크플루이드.jp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파이어월 드래곤 다크플루이드]]
[[라이트드래곤@이그니스터|{{{#!wiki style="background-image" 파일:라이트드래곤@이그니스터.jp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라이트드래곤@이그니스터]]
[[액세스코드 토커|{{{#!wiki style="background-image" 파일:액세스코드.jp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액세스코드 토커]]
← 9기 부스터팩 커버 카드11기 부스터팩 커버 카드 →

파일:ライトドラゴン@イグニスター.jpg
한글판 명칭라이트드래곤@(이그니스터
일어판 명칭ライトドラゴン@(アットイグニスター
영어판 명칭Light Dragon @Ignister
엑시즈 / 효과 몬스터
랭크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4사이버스족23001500
레벨 4 몬스터 × 2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앳)이그니스터" 몬스터의 수까지,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고르고 파괴한다.
②: 이 카드 이외의 자신의 사이버스족 몬스터가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주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링크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③: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할 수 있다.

아이의 에이스인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를 제치고 이그니션 어썰트의 커버 카드가 됐다. 사용자의 에이스 몬스터가 같은 팩에 있는데도 다른 몬스터가 팩 메인 카드로 발탁된 건 대단히 이례적인데, 정규 소환된 게 1번뿐인 데다 활약도 거의 없는 카드라 특히 눈에 띈다. 정크 버서커와 유사한 케이스.

①의 효과는 원작과 거의 같으나, 뒷면은 건드릴 수 없게 되었으니 주의. 대신 효과가 대상 비지정이 돼서 상향됐다. 이 카드도 @이그니스터 몬스터니 혼자 나와도 몬스터 1장은 파괴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효과 범위가 @이그니스터 몬스터에서 모든 사이버스족 몬스터 / 링크 몬스터로 넓어져 다른 사이버스족 몬스터로 전투 데미지를 주면 바로 묘지의 아무 링크 몬스터나 부활시켜 추가타를 먹일 수 있게 됐다.

③의 효과는 OCG화 되면서 새로 추가된,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효과로 파괴될 경우에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해서 효과 파괴를 막는 유사 내성. 자신 필드의 모든 몬스터에게 적용 가능하며 발동 횟수 제한도 없어서 자신이 전체 제거류 카드를 쓸 때도 상대 몬스터만 파괴하는 식으로 운용할 수 있다.

타점이 랭크 4 엑시즈 몬스터치곤 좀 낮지만, ①③의 효과만으로도 충분히 강력하기에 범용 랭크 4 엑시즈 몬스터로 채용하기 좋다. 4축 중 비대상 제거 카드는 이 카드와 크로노다이버 리단 정도밖에 없고, 그것도 팬텀 나이츠 셰이드 브리간딘을 강제한다.

실전형 이그니스터 덱에서 거의 유일하게 채용되는 링크 이외의 @이그니스터 타 소환법 몬스터이다. 메구리-Ai의 효과 대상 중 다크나이트는 액세스코드 토커[1], 파이어피닉스는 디코드 토커 히트소울로, 어스 골렘은 트랜스코드 토커등 고성능 코드 토커들로 대체가 가능하고 사이버스 위키드로 부르르를 확정 서치할 수 있기에 필요없는 윈드페가수스[2]=엑스코드 토커와 거의 쓰지 않는 히야리를 서치하는 슈팅코드 토커는 실질적으로 넣을 필요가 없지만, 핵심 초동 파츠인 피카리 서치를 위해 필요한 빛 속성 2300 사이버스족 라인에서 본 카드보다 인코드 토커가 성능이 떨어져 유일하게 살아남았다.

참고로, @이그니스터 몬스터 중 유일하게 원작과 일러스트가 완전히 다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이그니션 어썰트IGAS-KR044울트라 레어
시크릿 레어
얼티밋 레어
홀로그래픽 레어
한국한국 최초 수록
IGNITION ASSAULTIGAS-JP044울트라 레어
시크릿 레어
얼티밋 레어
홀로그래픽 레어
20th 시크릿 레어
일본세계 최초 수록
Ignition AssaultIGAS-EN044슈퍼 레어미국미국 최초 수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r291 판{{{#!html paragraph=none291&noredirect=1#s-2.1.1.1|2.1.1.1번 문단]]{{{#!html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291
paragraph=none291&noredirect=1#s-2.1.1.1|2.1.1.1번 문단]]{{{#!html }}} ([[https://namu.wiki/history/이그니스터?from=291|이전 역사]])[[]] 문서의 [[https://namu.wiki/w/?rev=&noredirect=1|r]] 판{{{#!html
}}}, [[https://namu.wiki/w/?rev=&noredirect=1#s-|번 문단]]{{{#!html
}}}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html
}}}[[]] 문서의 [[https://namu.wiki/w/?rev=&noredirect=1|r]] 판{{{#!html
}}}, [[https://namu.wiki/w/?rev=&noredirect=1#s-|번 문단]]{{{#!html
}}}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html
}}}{{{#!html
}}}[[]] 문서의 [[https://namu.wiki/w/?rev=&noredirect=1|r]] 판{{{#!html
}}}, [[https://namu.wiki/w/?rev=&noredirect=1#s-|번 문단]]{{{#!html
}}}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html
}}}{{{#!html
}}}[[]] 문서의 [[https://namu.wiki/w/?rev=&noredirect=1|r]] 판{{{#!html
}}}, [[https://namu.wiki/w/?rev=&noredirect=1#s-|번 문단]]{{{#!html
}}}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html
}}}{{{#!html
}}}[[]] 문서의 [[https://namu.wiki/w/?rev=&noredirect=1|r]] 판{{{#!html
}}}, [[https://namu.wiki/w/?rev=&noredirect=1#s-|번 문단]]{{{#!html
}}}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html
}}}{{{#!html
}}}[[]] 문서의 [[https://namu.wiki/w/?rev=&noredirect=1|r]] 판{{{#!html
}}}, [[https://namu.wiki/w/?rev=&noredirect=1#s-|번 문단]]{{{#!html
}}}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html
}}}{{{#!html
}}}[[]] 문서의 [[https://namu.wiki/w/?rev=&noredirect=1|r]] 판{{{#!html
}}}, [[https://namu.wiki/w/?rev=&noredirect=1#s-|번 문단]]{{{#!html
}}}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html
}}}{{{#!html
}}}[[]] 문서의 [[https://namu.wiki/w/?rev=&noredirect=1|r]] 판{{{#!html
}}}, [[https://namu.wiki/w/?rev=&noredirect=1#s-|번 문단]]{{{#!html
}}}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html
}}}{{{#!html
}}}{{{#!html
}}}{{{#!html
}}}{{{#!html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4 08:50:30에 나무위키 라이트드래곤@이그니스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공격력 4000 이상의 몬스터의 등장 빈도가 잦아져 1장 정도 투입하는 덱도 종종 있다.[2] 상대에게 불리한 교환을 강요하기 위해 빌드에 섞는 경우도 적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