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해군 vs 해상자위대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러시아군 vs 자위대




러시아 해군VS해상자위대
파일:러시아 해군기.svg파일:해상자위대기.svg
전체 배수량 : 약 900,000 톤전체 배수량 : 약 500,000 톤

파일:F1tNTmj.jpg

1. 개요
2. 러시아 태평양 함대 전력
3. 일본 북부 해상자위대 전력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핵잠수함 등을 포함한 강력한 잠수함 전력과 극초음속 대함미사일 등을 보유하고 있는 러시아 해군이 해상자위대에 보다 떨어지는 전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러시아는 국토가 넓어서 해군 전력이 여러 군데로 분산된다. 반면, 일본은 일본 근해에 전력(4개 호위대군과 지방대)을 모두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당장 가용 가능한 수상함 전력에서는 해자대가 우위를 점한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양국 간에 분쟁이 발발했을 때의 상황이 어떠할까를 생각해보면 이러식의 단순 비교는 적절하지 않다. 특히, 해자대가 상대해야 할 전력의 대부분이 수상 전투함이 아니라는 점이 문제다. 단순하게 러시아 해군 내에서만 보더라도 수상함은 보조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잠수함 전력의 비중이 크다. 러시아군 자체가 미 해군 항모전단과 정면 대결을 할 수 없다는 걸 소련 시절부터 일찌감치 인식하고 잠수함과 대함 항공전력, 지상 발사 대함미사일 등에 집중적으로 투자했기 때문인데 전부 기술적으로나 수적으로나 손색이 없는 수준이다. 현대 해전에서 이러한 무기체계들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굳이 말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물론 해상자위대 역시 항공자위대 전력 및 지대함미사일 포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다만 러시아 태평양 함대의 주력이 수상함이 아닌데다 발사 플랫폼이나 사거리등의 측면에서 러시아군이 우위를 점하고 있어 한계가 명확하다.

해상 초계기나 조기 경보기 등의 감시정찰 자산이 많다는 점은 해상자위대의 강점 중 하나다.


2. 러시아 태평양 함대 전력[편집]


러시아 태평양 함대의 1,000톤 이상 수상 전투함
함종함급함번함명취역연도/기타
순양함슬라바급011바랴그[1]1983년/현재 지중해 파견
구축함우달로이급564어드미랄 트리부츠1985년/현재 지중해 파견
구축함우달로이급543마숄 샤포시니코프1985년
구축함우달로이급572어드미랄 비노그라도프1988년/수리 중
구축함우달로이급548어드미랄 판텔레예프1991년
초계함그리먀시급337그리먀시2020년
초계함스테레구시급333소베르쉔니2017년
초계함스테레구시급335그롬키2018년
초계함스테레구시급339올다르 치덴차포프2020년
초계함스테레구시급343예스키2022년

러시아 해군은 건함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스텔스 설계와 현대적인 무장체계를 탑재한 초계함 스테레구시급을 시작으로 뒤이어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호위함이 모습을 드러냈으며, 2021년 9월 7일에 대형 구축함인 리데르급 건조가 예정되어있다.[2] 현재까지 그중 스테레구시급 네 척이 태평양함대에 배치되었다.

러시아 태평양 함대의 잠수함
함종함급함번함명취역연도/기타
전략원잠보레이급K-550알렉산더르 네브스키2013년
전략원잠보레이급K-551블라디미르 모노마흐2014년
전략원잠보레이급K-552크냐즈 올렉2021년
전략원잠보레이급K-553수보로프2022년
SSGN오스카II급K-132이르쿠츠크1988년/현대화 개수 중
SSGN오스카II급K-442첼랴빈스크1990년/현대화 개수 중
SSGN오스카II급K-456트베르1992년
SSGN오스카II급K-186옴스크1993년
SSGN오스카II급K-150톰스크1996년/오버홀 중
공격원잠야센급K-573노보시비르스크2021년
공격원잠아쿨라급K-331마가단1990년/오버홀 중
공격원잠아쿨라급K-419쿠즈바스1992년
공격원잠아쿨라급K-295사마라1995년/오버홀 중
공격원잠델타급III급K-44랴잔1982년/SSN으로 재분류
재래식 잠수함킬로급 개량형B-274페드로파블로스크 캄차츠키2019년
재래식 잠수함킬로급 개량형B-603볼코프2020년
재래식 잠수함킬로급 개량형B-602마가단2021년
재래식 잠수함킬로급 개량형B-588우파2022년
재래식 잠수함킬로급B-394뉴를라트1988년
재래식 잠수함킬로급B-464우스트 캄차츠크1990년
재래식 잠수함킬로급B-494우스트 볼셰레스크1990년
재래식 잠수함킬로급B-187캄싸몰스크 나 달리녜1991년
재래식 잠수함킬로급B-190크라스노카멘스크1992년
오스카급 잠수함보레이급 잠수함을 위시한 러시아 해군의 원잠 세력은 해상자위대에게 큰 부담이다. 특히 이들이 개전 초반부터 탄도탄과 초음속 순항 유도탄 등으로 자위대의 기지에 결정적인 타격을 가할 수 있다는 점도 해자대 입장에서는 문제다. 물론 이러한 기지들은 24개 포대에 달하는 PAC-3과 16포대의 03식 中-SAM[3] 으로 강력하게 방어되고 있고 SM-3로 요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보레이급 잠수함과 같은 SSBN에서 발사하는 SLBM의 경우는 굉장히 큰 위협이 된다. 보레이급은 사거리가 9,500Km에 달하는[4] 다탄두핵미사일(MIRV) RSM-56 불라바[5] 를 척당 16발씩 탑재할 수 있는데, 이런 ICBM급 사거리를 가진 미사일은 다른 지대공 요격미사일로는 요격이 불가능하고 SM-3 Block-IIA으로나 요격이 가능한데, MIRV나 탄도미사일(Quasi ballistic missiles) 특성까지 있는# 미사일을 상대로는 제대로 된 대응이 매우 힘들다.[6]


3. 일본 북부 해상자위대 전력[편집]


마이즈루 배속 전력
번호종류이름취역연도/기타
DDH-181LPH휴우가휴우가급2009년
DDG-177구축함아타고아타고급2007년
DDG-175구축함묘코공고급1996년
DD-118구축함후유즈키아키즈키급2014년
DD-151구축함아사기리아사기리급1988년
DD-156구축함세토기리아사기리급1990년
DE-232호위구축함센다이아부쿠마급1991년

오오미나토 배속 전력
번호종류이름취역연도/기타
DD-120구축함시라누이아사히급2019년
DD-112구축함마키나미다카나미급2004년
DD-114구축함스즈나미다카나미급2006년
DD-103구축함유다치무라사메급1999년
DD-155구축함하마기리아사기리급1990년
DE-231호위구축함오요도아부쿠마급1991년
DE-233호위구축함치쿠마아부쿠마급1993년


4. 관련 문서[편집]



[1] 바이킹이란 뜻으로 러일전쟁 제물포해전 당시 압도적인 열세에서 분전했으나 침몰한 순양함 이름을 승계[2] 한때는 취소가 되었지만 되살아났다.# [3] 단, 탄도미사일 요격능력은 없으며 최근에서야 탄도미사일 요격을 위한 연구가 시작되었다.[4] 즉, 일본의 대잠망을 아득히 뛰어넘는 거리에서 공격할 수 있다.[5] 100~150kt의 위력을 가진 핵탄두를 6-10개 탑재 할 수 있다.[6] SM-3 Block-IIB 개량계획에서 MIRV요격능력이 고려되었으나, 계획자체가 백지화 되었고 미국의 경우 지상발사요격체계에서 MIRV 대응을 연구중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7:34:28에 나무위키 러시아 해군 vs 해상자위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