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콩 (r1판)

편집일시 :




레미콩
파일:또봇_메카_레미콩.jpg

1. 개요
2. 구성 메카
2.1. 콩크리탄
2.2. 레미젤라또
3. 전투력
4. 사용 기술
5. 작중 행적
5.1. Part 3
6. 여담




1. 개요[편집]


파일:또봇_메카_레미콩.gif

숫자는 적어지지만, 힘의 차이는 확실하지.

-

엔진박

또봇: 대도시의 영웅들의 악역 메카이자 Part 3의 최종 보스.

콩크리탄이 좌반신, 레미젤라또가 우반신으로 2단 합체한 형태로, 전체적인 외형의 모티브는 미식축구 선수.[1] 그래서인지 기술 중 럭비공 모양으로 공격하는 기술인 '콘크리트 볼'이 있다. 비클 모드는 타타대우 프리마 기반으로 보인다.

엔진박이 '숫자는 줄지만, 힘의 차이는 확실하다'라고 언급했듯이, 콩크리탄과 레미젤라또 각각의 출력보다 강력한 힘을 보여준다. 처음 합체했을 때에는 카사장조발레가 사용하던 콩크리탄과 레미젤라또의 모션 인식이 끊어지며, 엔진박이 태블릿으로 조종한다.


2. 구성 메카[편집]



2.1. 콩크리탄[편집]


콩크리탄
파일:또봇_메카_콩크리탄.jpg
레미콩 중에서 녹색 레미콘이 변신하는 로봇.

카사장이 조종하며, 믹서 부분에서 콘크리트를 포탄처럼 발사할 수 있다. 전투력은 단일 또봇은 상대하기 어려우며, 합체 또봇으로 합체해야 이길 수 있을 정도로 강하다.

이름의 유래는 [2] + 콘크리 + [3]으로 보인다. 전 작품의 '레미콘봇'에 이은 2번째 레미콘 형태의 악당 로봇이다.


2.2. 레미젤라또[편집]


레미젤라또
파일:또봇_메카_레미젤라또.jpg
레미콩 중에서 파란색 레미콘이 변신하는 로봇.

조발레가 조종하며, 외형은 색을 제외하면 콩크리탄과 동일하다. 콩크리탄과 마찬가지로 콘크리트를 발사하기도 하지만, 상황에 따라 끈적한 용액을 발사할 수도 있다.[4] 작중 레미젤라또는 콘크리트 공격보단 이쪽이 더 강조되는 편.

이름의 유래는 레미 + 젤라또 + 레미제라블로 보인다. 콩크리탄과 마찬가지로 전 작품의 '레미콘봇'에 이은 2번째 레미콘 형태의 악당 로봇이다.


3. 전투력[편집]


Part 3 및 한 시즌의 피날레를 장식하는 최종 보스답게 전 파트의 보스들인 로드리퍼, 캐삭봇보다 훨씬 큰 활약을 보여줬다.

당시 최고 전력이자 합체 또봇트라이탄, SOS와 2:1로 싸워도 밀리지 않고 밀어붙이는 강함을 보여준다. 물론 SOS의 경우에는 전투보단 인명 구조와 로켓 발사 저지를 우선으로 움직인 것도 있지만, 트라이탄을 정면에서 압도한 순간부터 이전 시리즈의 덤프봇, 짜리탄보단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딱 거기까지라 트라이탄의 슈퍼 콤보에 간단히 리타이어 당한다.

이 때문에 약간 저평가도 받지만[5], 잘 생각하면 이전 시리즈싸이클롭스, M보스, 옥토봇, 아크 타이런트 등의 로봇들은 대기업에서 충분한 자본과 좋은 재료, 여러 전문가들 손에 제작된 또봇을 확실하게 제거하려고 작정하고 만든 병기다. 즉 레미콩보다 훨씬 질이 좋은 로봇들인 것이다. 오히려 슈퍼 콤보를 맞고도 최후의 발악까지 한 레미콩이 평범한 공업사 출신 로봇치곤 굉장히 선전한 것.

합체 전인 콩크리탄과 레미젤라또 상태일 때에도 합체하지 않은 또봇들을 쉽게 몰아붙이는 강함을 가졌다. 다만 합체 또봇인 트라이탄과 SOS에게 상대가 되질 못했다. 이로 보아 조발레가 조종한 캐삭봇과 비슷한 수준인 듯.


4. 사용 기술[편집]


  • 콘크리트 포(가칭)
콩크리탄의 고유 기술. 믹서에서 콘크리트를 발사해 상대의 움직임을 봉쇄한다. 콘크리트를 생성해서 발사하지만 생성하는 양에는 한계가 있다. 발사하는 콘크리트 탄의 속성을 변경하여 각각 다른 형태의 탄을 발사할 수 있다.

  • 젤리 포(가칭)
레미젤라또의 고유 기술. 믹서에서 연두색 끈끈이를 발사하여 상대의 움직임을 봉쇄한다.

  • 철근 콘크리트 펀치
콩크리탄의 필살기. 손목에 철근을 두룬 뒤 콘크리트를 생성해 주먹을 2중으로 감싸서 공격하는 펀치 기술이다.

  • 콘크리트 볼
레미콩이 사용하는 기술. 손목에서 콘크리트를 생성한 후 럭비공 모양으로 빚어, 상대를 향해 던지는 기술이다. 작중에서 이 기술 한 번으로 SOS 합체를 풀어버리는 위력을 보여주었다.


5. 작중 행적[편집]



5.1. Part 3[편집]


19화: 콩크리탄이 첫 등장. 도시를 휘젓고 다니다가 저지하러 달려온 또봇 닥, 또봇 쎈, 또봇 붐에게 콘크리트를 발사해 합체를 막고, 우위를 점하며 압도한다.

20화: X, Y, Z가 지원을 위해 합체한 또봇 트라이탄이 나타나자, 콘크리트 포를 발사해 발을 묶으며 잠시 선전하지만, 슈퍼 점프와 슈퍼 킥의 연계에 당해 패배했다.

21화: 콩크리탄과 레미젤라또가 함께 등장한다. 래봇들이 또봇들을 흩어지도록 유인한 다음, 콩크리탄과 레미젤라또가 둘로 나뉘어 또봇들을 속박해 압도한다. 마지막으로 남았던 Y와 쎈을 콩크리탄이 처리하려 했지만, 쎈과 탱커봇이 시간을 버는 사이에 Y가 다른 또봇들을 구출한 덕분에 합체 또봇들이 한 자리에 모인다. 이에 2 대 2로 태그 매치를 벌이지만, 콩크리탄은 트라이탄의 슈퍼 드랍에 당하고, 레미젤라또는 SOS 익스텐더에 턱을 정통으로 맞으면서 패배한다.

22화: 탈출한 최매기를 쫒기 위해 카사장조발레가 콩크리탄과 레미젤라또를 조종하여 추격한다. 콩크리탄이 콘크리트 포로 우주개발본부 차량과 최매기가 타고 있던 래봇의 발을 묶은 뒤에 공격하려고 하지만, Y의 공격에 저지당한다. 이후 레미젤라또가 기습으로 X, Y, Z를 쓰러트린다.

23화: 콩크리탄과 레미젤라또가 X, Y, Z를 몰아붙이던 도중에 지원을 온 쎈이 콩크리탄을 공격한다. 이 틈을 타서 X, Y, Z가 트라이탄으로 합체하여 콩크리탄과 레미젤라또를 쓰러트린다. 이후 트라이탄이 로켓 연료 탱크를 분리하기 위해 로켓에 접근하자, 엔진박이 최후의 수단으로 레미콩으로 합체시키고, 트라이탄과 SOS를 동시에 밀어붙이는 강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결국 SOS를 놓치게 되고,[6] 트라이탄의 슈퍼 콤보에 당해 압도당한다. 최후의 슈퍼 드랍으로 땅에 떨어지려던 중에 해킹 장치를 해제하려던 닥의 존재를 눈치챈 엔진박이 콘크리트를 발사해 방해하지만, 레미콩은 그대로 땅에 꽂혀 몸의 일부가 박살난다.

하지만 엔진박의 조작으로 겨우 일어나서 마지막 발악으로 닥과 붐을 저지하려 하지만, 트라이탄 슈퍼 킥에 콩크리탄 부분의 포가 박살나고, 이어 레미젤라또 부분의 포까지 뜯겨지며 결국 완전히 리타이어 당한다.


6. 여담[편집]


  • 이름의 유래는 레미 + 고릴라를 뜻하는 영단어 으로 보이며, 각각 레미젤라또와 콩크리탄의 이름의 유래이기도 하다.


  • 초록색 레미콘과 좌우로 합체하는 점은 엑스카이저의 등장 로봇 울트라 레이커[7], 가오가이가의 등장 로봇 격룡신과 유사하다.
    • 이후 유사한 합체 방식을 사용하는 합체 또봇이 등장했다.

  • 현재까지 등장한 본작의 최종 보스 메카 중 유일하게 전작 메카의 모델링을 재활용하지 않았으며, 카사장 일당 로봇들 중 유일하게 합체형 메카다.

[1] 전작 18기에 등장한 불도저봇과 동일하다.[2] 이를 오마주한 것처럼 건물 위로 이동하는 모습을 많이 보였다.[3] 등의 믹서 부분에서 콘크리트를 발사할 때, 포탄을 발사하는 듯한 자세를 취한다.[4] 또봇 Z의 기술인 레이저 넷, 스파이더 글루와 비슷하다.[5] 싸이클롭스는 졌지만 자폭하여 트라이탄을 반파시키고, M보스는 크기가 커서 콤보에도 바로 박살나지 않았고, 옥토봇은 편법을 써서 콤보를 버텼고, 아크 타이런트콤보를 역으로 압도했다.[6] 콘크리트 볼 단 한번으로 SOS의 합체를 해체하긴 했지만, 셋으로 분리된 것이 오히려 역효과를 낳았다.[7] 특히 이쪽은 색상조합이 서로 반대라는 점을 제외하면 완전 판박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또봇: 대도시의 영웅들/등장 메카 문서의 r33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또봇: 대도시의 영웅들/등장 메카 문서의 r33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