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규승

덤프버전 :

}}} ||
[ 펼치기 · 접기 ]
#000 ||<tablewidth=100%><tablebgcolor=#f1f1f1,#000><bgcolor=#fff><width=2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MC 레이싱.png|width=75%]]}}} ||<width=20%><bg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엑스타 레이싱팀|[[파일:엑스타레이싱_로고.png|width=75%]]]]}}} ||<width=20%><bg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서한 GP|[[파일:서한 GP 어두운 로고.jpg|width=90%]]]]}}} ||<width=20%><bgcolor=#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볼가스 모터스포츠|[[파일:볼가스 레이싱.png|width=100%]]]]}}} ||<width=2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준피티드 레이싱|[[파일:준피티드 레이싱 2022.png|width=90%]]]]}}} || || [[파일:UEFA JPN.png|width=20]][br]'''{{{#000 No. 03}}}'''[br]{{{#000 아오키 타카유키}}} || [[파일:UEFA JPN.png|width=20]][br]'''{{{#000 No.55}}}'''[br]{{{#000 요시다 히로키}}}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6}}}'''[br][[장현진(카레이서)|{{{#000 장현진}}}]]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44}}}'''[br][[김재현(카레이서)|{{{#000 김재현}}}]]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77}}}'''[br]박정준 ||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99}}}'''[br]{{{#000 토니}}}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18}}}'''[br][[이찬준|{{{#000 이찬준}}}]]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5}}}'''[br]김중군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4}}}'''[br][[정의철|{{{#000 정의철}}}]]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12 }}}'''[br] [[황진우(카레이서)|{{{#000 황진우}}}]] || || [[파일:UEFA EURO NED.png|width=20]][br]'''{{{#000 No. 27}}}'''[br]카를로 반 담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24}}}'''[br][[이창욱(카레이서)|{{{#000 이창욱}}}]]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7}}}'''[br]정회원 || || || ||<bgcolor=#fff><width=20%> {{{#!wiki style="margin: -5px -10px" [[CJ로지스틱스 레이싱|[[파일:cj로지스틱스 레이싱팀.png|width=100%]]]]}}} ||<bgcolor=#fff><width=20%> {{{#!wiki style="margin: -5px -10px" [[L&K 모터스|[[파일:L&K 모터스.png|width=80%]]]]}}} ||<width=20%><bgcolor=#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 ||<width=20%><bgcolor=#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 }}} ||<width=20%><bgcolor=#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브랜뉴 레이싱|[[파일:브랜뉴레이싱.png|width=80%]]]]}}} ||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50}}}'''[br]오한솔 ||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br]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br]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87}}}'''[br]{{{#000 이효준}}} ||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36}}}'''[br]박준서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22}}}'''[br][[이은정(교수)|{{{#000 이은정}}}]]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br] ||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38}}}'''[br][[박규승|{{{#000 박규승}}}]] ||



파일:박규승 38번.png
브랜뉴 레이싱 No.38
박규승(Kyu Seung Park)
출신전라남도 담양군
생년월일1983년 8월 2일
신체 정보175cm, B형
데뷔2012년 KSF 포르테쿱 클래스
가족아버지, 어머니, 남동생
아내 ,딸
소속팀클럽쉐비 스테벨[1](2014)
이레인 레이싱(2015)
알앤더스 레이싱팀(2016~2017)
레코알 레이싱팀(2018)
준피티드 레이싱팀(2019)
원웨이모터스포트 레이싱팀(2020)
브랜뉴 레이싱(2021~)
SN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박규승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dr_klim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드라이빙 레시피

1. 개요
2. 커리어
2.1. 2012~2018
2.2. 2019년
2.3. 2020년
2.4. 브랜뉴 레이싱팀 시절
2.4.1. GT 클래스 활동기
2.4.2. 슈퍼6000 참전시대
3. 역대 성적
4. 여담



1. 개요[편집]


파일:박규승-1-696x464.jpg


대한민국브랜뉴 레이싱 소속 레이싱 드라이버. 과거 댄서 출신으로 활동했으며, 현재 광주광역시에서 댄스 아카데미를 운영함과 동시에 레이싱 드라이버로 활동하면서 선수 양성에도 주력하고 있다.


2. 커리어[편집]



2.1. 2012~2018[편집]


2012년 코리아 스피드 페스티벌에 아마추어 클래스였던 포르테쿱 클래스로 데뷔, 시리즈 5위의 성적을 거두게 된다. 여담이지만 이해 포르테 쿱 클래스 드라이버 라인업 중에는 2023년 현재 슈퍼레이스 GT 클래스와 현대 N 페스티벌에서 뛰고 있는 백전노장 박동섭 선수, 더 랠리스트에서도 함께 참가한 이진욱 선수, 2022년도까지 슈퍼레이스 GT-1 클래스에 참전한 임민진 선수가 참전했다. 당시 코리아 스피드 페스티벌의 포르테 쿱 클래스-K3 쿱 클래스가 드라이버들의 등용문이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박규승은 이 치열한 격전장에서 뛰었던 셈.[2]

2012년 한국타이어 DDGT ST300에도 출전, 제4전에서 우승컵을 차지한 이후, 2014년에는 당시 국내 최대의 모터스포츠 대회인 슈퍼레이스에 진출, 원메이크 클래스인 엑스타 V720 크루즈 클래스에 참전, 슈퍼레이스에서 5경기, 슈퍼챌린지에서 2경기가 열린 이 클래스에서 3경기에서 우승[3]함으로서 총 91pt로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4년 넥센타이어 스피드 레이싱 엔페라 R300 클래스 4전에 출전, 1위를 기록했다.

2015년 이레인 레이싱팀 소속으로 슈퍼 1600에 참전했으나 시즌 도중 열린 더 랠리스트 촬영으로 인해 참가를 중단, 쟁쟁한 드라이버들 사이에서 파이널 4까지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당시 본선 진출자 엔트리를 보면 지금 봐도 어질어질할 지경인데, 현재는 슈퍼레이스 해설로 활동하고 있는 김범훈, 두차례 포르테 쿱 클래스 챔피언을 차지한 이진욱, 뉘르부르크링 24시에도 출장하는 강병휘, 2023 시즌 CJ 로지스틱스 레이싱팀 드라이버로 활동하는 오한솔[4], 2023 시즌 바르셀로나 24시간 GT4 클래스 위너팀인 아트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 소속인 노동기가 포함되는 어질어질한 엔트리를 자랑했다. 박규승은 이런 쟁쟁한 드라이버들 사이에서 임채원, 강병휘, 오한솔과 함께 최종 4인까지 선발되는 기염을 토한 것이다.

2016년에는 당시 코리아 포뮬러 킴스 레이싱에서 운영하던 FK1600 스칼라십을 받음과 동시에 알앤더스 소속으로 카트에도 나섰으나,6월에 열린 코리아 카트 챔피언십 제2전에서는 로탁스 마스터 클래스에 도전해 완주 실패, 같은해 11월에 열린 코리아 카트 페스티벌에서는 RMC 마스터 클래스로 참전해 4위를 거두고 2017년 시즌 초까지 카트 도전을 이어나갔다. 투어링카의 경우 코리아 스피드 페스티벌에 세미프로 클래스였던 벨로스터 터보 클래스로 출전했으나 더 랠리스트에 함께 나섰던 오한솔, 이진욱에게 막히면서 4위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2017년 시즌, 슈퍼레이스 GT-2 클래스[5]에 알앤더스 소속으로 참전했으나 2경기만 참전하고 활동을 중단, 2018년 슈퍼챌린지 최종전에 스팟 참전, 슈퍼 300 클래스[6]에서 2위를 기록했다.


2.2. 2019년[편집]


사실상 풀타임 활동을 제대로 하기 시작한 해, 이해에 박정준 감독이 이끄는 준피티드 레이싱으로 이동해 GT1 클래스에 참전, 엔트리 번호 38번으로 참여한다. 현재 박규승 하면 상징되는 38번이 이때부터 사실상 등장한 셈. 차량은 제네시스 쿠페 3.8리터.
라운드예선 순위결선 순위포인트[A]
1라운드3위4위14pt[7]
2라운드3위3위17pt[8]
3라운드9위6위9pt
4라운드11위6위9pt
5라운드4위7위7pt
6라운드2위14위3pt[9]
7라운드2위3위18pt[10]
8라운드6위10위2pt

최종 5위 79포인트를 거뒀다. 리타이어는 없으며 전 경기 완주. 이해에 전대은 선수와 포인트가 동률이었으나, 대회 규정상 전대은 선수가 우승한 이력이 있어 전대은 선수가 상위로 기록되었다. 참고로 박규승은 후술하겠지만 이러한 일을 2021년에도 겪게 된다.


2.3. 2020년[편집]


준피티드 레이싱을 떠나 원웨이모터스포트 팀으로 이적, 드라이빙 코치로도 활동하게 되었고, 현재의 드라이빙 레시피 유튜브도 이때부터 운영하기 시작한다. 차량은 이해에도 제네시스 쿠페.

라운드예선 순위결선 순위포인트[A]
1라운드15위12위
2라운드18위15위
3라운드15위6위8pt
4라운드3위Retire1pt[11]

2020 시즌 자체가 COVID-19의 영향으로 더블 라운드 형식으로 진행, 4라운드 이후 팀에서 출전 중단을 하기로 결정하여 4라운드에서 참가를 중단, 12포인트, 20위로 시즌을 마쳤다.


2.4. 브랜뉴 레이싱팀 시절[편집]



2.4.1. GT 클래스 활동기[편집]


원웨이 모터스포트의 지속이 어려워짐에 따라 정남수 감독이 이끄는 브랜뉴 레이싱으로 이적하게 된다. 이적 2년차이자, GT 클래스 참가 4년차인 2022년 제3전에서 폴투윈을 달성하면서 클래스 밤의 황제로 등극하는 기록도 세운다. 데뷔 8년만의 성과였다.
연도라운드예선 순위결선 순위포인트[A]
20211라운드3위2위19pt[12]
2라운드21위13위
3라운드5위3위15pt
4라운드3위Retire1pt[13]
5라운드24위Retire
6라운드21위19위
7라운드3위Retire1pt[14]
2022년1라운드2위3위17pt[15]
2라운드3위14위1pt[16]
3라운드1위1위28pt[17]
4라운드1위Retire3pt[18]
5라운드2위4위14pt[19]
6라운드6위5위10pt
7라운드3위1위26pt[20]

2021 시즌 최종 순위는 10위에 41포인트[21], 2022 시즌에는 우승 2번을 챙기면서 최종 순위 2위에 105 포인트를 기록했다.


2.4.2. 슈퍼6000 참전시대[편집]


2023년 브랜뉴 레이싱이 슈퍼 6000에 2대의 차량으로 참전하기로 결정하면서, 박규승 선수가 콜업되었다. 박규승 선수는 2022년부터 시행된 슈퍼레이스 드라이버 포인트 제도로 슈퍼 6000에 올라온 두번째 드라이버인 셈.[22]
라운드예선 순위결선 순위포인트[B]
1라운드9위6위9pt
2라운드4위6위9pt
3라운드14위2위23pt[23]
4라운드9위8위5pt
5라운드10위9위3pt
6라운드5위Retire0pt
7라운드6위4위13pt
8라운드13위5위11pt

3. 역대 성적[편집]


2023년까지의 기록이다
연도참전 대회클래스소속팀순위획득 포인트
2012년코리아 스피드 페스티벌포르테 쿱개인5위73pt
2013년1년 공백기
2014년슈퍼레이스엑스타 V720 크루즈클럽쉐비 스테벨2위91pt
2015년슈퍼1600이레인 레이싱11위30pt
2016년KARA 카트 챔피언십ROTAX Master알앤더스15위0pt
코리아 스피드 페스티벌벨로스터 터보ENI 레이싱팀4위73pt
2017년슈퍼레이스GT-2알앤더스22위3pt
2018년슈퍼챌린지슈퍼 300RECCOR9위21pt
2019년슈퍼레이스GT-1준피티드 레이싱5위79pt
2020년원웨이 모터스포트20위12pt
2021년브랜뉴 레이싱10위41pt
2022년2위105pt
2023년슈퍼60006위73pt

4. 여담[편집]


  • MBN의 스포츠야에 출연해서 들려준 이야기는 아래와 같다.
    • 본래 10대때부터 춤을 좋아해서 댄서 활동을 했다고 한다. 박규승 선수 본인 오피셜로는 유승준H.O.T.의 백댄서들이 모두 자신의 선배였다고.
    • 전술한 더 랠리스트의 최후 4인에 오른 것이 계기가 되어 프로팀에 입단하게 되었다.
    • 2017년에는 아예 파산까지 가면서 신용불량자가 되는 사태가 발생, 전술한대로 2018년에는 슈퍼챌린지 하나만 나서고 가정에 충실했다. 이때 아내의 도움을 받아 이듬해부터 아예 제대로 뛰어들었다. 영상에 나온 시리즈 5위가 사실은 2018년이 아닌 2019년의 기록인 셈.
    • 팝핀 댄서로 활동할 당시 세계대회에서 우승한 이력도 있다.

  • 2023년 3월에는 고향인 담양군을 위해 고향사랑기부금을 전달하기도 했다. 이 소식은 대한자동차경주협회 SNS를 통해 알려질 정도.#

  • 댄서출신이라는 이색 경력 때문인지, 2024년에 방송될 예정인 하이스피드 에뚜왈의 주인공 린도 린이 신체 문제로 좌절하지 않았다면 아마도 이러한 모습이 되지 않았을까 싶다.

  • 2013년 공백기가 있었는데 박규승 선수 본인 오피셜로는 싱가폴에서 댄스 강사로 활동할 시기였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17:54:36에 나무위키 박규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KARA의 KSS에는 클럽쉐비 레이싱팀으로 나오나 오기인 것으로 보인다.[2] 실제로 김재현의 기록이 이를 입증하는데, 김재현은 2013년 포르테 쿱 클래스를 씹어먹고 바로 쏠라이트 인디고 레이싱과 계약해서 이듬해인 2014년, 제네시스 쿠페 20 클래스의 챔피언이 되었다.[3] 슈퍼레이스 5전 및 7전에서 우승, 슈퍼챌린지 2전에서 우승[4] 강병휘와 오한솔은 박규승, 임채원과 함께 파이널 4까지 갔다.[5]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이때 GT-2 클래스는 제네시스 쿠페 3.8리터 모델 원메이크였다. 당시에는 GT-1 클래스가 2리터 터보 엔진에 구동방식 자유, GT-2가 제네시스 쿠페 3.8리터 모델 원메이크, GT-3가 1.6리터 이하 터보 엔진에 앞바퀴 굴림, GT-4가 1.6리터 자연흡기 엔진에 앞바퀴 굴림이었다.[6] 300마력의 경주차들이 벌이는 15랩 스프린트 경주[A] A B C GT1 클래스는 예선 공식결과 기준 상위 3인에게 각각 3점부터 1점까지 주는 시스템과 완주 드라이버에 1pt씩 지급했다.[7] 예선 1pt+결선 12pt[8] 예선 1pt+결선 15pt[9] 예선 2pt[10] 예선 2pt+결선 15pt[11] 예선 1pt[12] 예선 1pt+결선 18pt[13] 예선 1pt[14] 예선 1pt[15] 예선 2pt+결선 15pt[16] 예선 1pt[17] 예선 3pt+결선 25pt[18] 예선 3pt[19] 예선 2pt+결승 12pt[20] 예선 1pt+결승 25pt[21] 김규민 선수와 같았으나 김규민이 4라운드에서 2위를 기록하면서, 규정상 2위 횟수가 없던 박규승보다 위에 올라갔다.[22] 이보다 앞선 이창욱의 경우 2019년도 KARA 카트 챔피언십 선수부와 KIC 컵 로탁스 모조 맥스 챌린지 로탁스 시니어 부분 종합 우승, 2021년 슈퍼레이스 GT1 클래스 2위를 기록하면서 150점 이상을 차지했다.[B] Q3 베스트랩 기록에 따라 빠른 순서로 1위부터 3위까지 3, 2, 1점씩 부여, 완주 드라이버에 1pt씩 별도로 부여하며, 결승에서 가장 빠른 드라이버에게 1pt를 추가 지급한다.[23] 피트스탑 포함 레이스로 진행되어서 포인트가 늘어났다. 본래는 18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