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부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철부김구해김거칠부김세종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수을부을제수품비담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알천금강김유신김군관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진복김문영김개원인품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배부김사공김정종김사인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신충만종신유김양상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김경신충렴세강김언승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김숭빈김수종김충공김균정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김명김귀장보고김예징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김의정김안김정위진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김위홍준흥김성계강
제45대제46대
박위응김성
문헌상 기록이 확인된 인물
김춘추, 김순정, 김옹, 김주원





裵賦

통일신라 중대의 진골 귀족. 관등은 대아찬.

성덕왕 시대 720년 전임 상대등 인품이 죽어 배부가 상대등을 역임했다.

젊은 시절 행적은 기록에 별로 없으나 이미 나이가 많았는지 727년 12월 나이가 들어 물러나길 성덕왕에게 청했으나 성덕왕은 거절하고 대신 궤장을 하사했다.

728년 또 은퇴를 청하자 이번에는 성덕왕이 받아들여 상대등 직을 김사공에게 물려주었다. 황희?

다만 일본 측 기록인 속일본기에서는 726년 당시 상대등이 김순정이라 하고 있어 기록이 상충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5:45:45에 나무위키 배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