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청선

덤프버전 :

1. 개요
1.1. 노선의 명칭
2. 역 목록


[ 펼치기 · 접기 ]
본선 철도
평라선강원선금강산청년선만포선백두산청년선
청년이천선평남선평덕선평부선평의선
함북선북부내륙선황해청년선
제1지선 철도
대건선은산선천성탄광선고원탄광선금야선
신흥선서호선창흥선북청선두언선
단풍선금골선일탄선고참탄광선대향선
강덕선청진항선라진항선천내선문천항선
송도원선대각선조양탄광선봉천탄광선개천탄광선
청년팔원선룡문탄광선강계선운하선백무선
오시선삼지연선평양화전선보산선대안선
룡강선도지리선서해갑문선명당선고비선
덕산선삼등탄광선령대선재동선솔골탄광선
관하선득장선잉포선덕남선장상선
송림선봉산선룡성선안주탄광선개천선
구봉산선평북선철산선백마선다사도선
덕현선무산선세천선고건원선춘두선
홍의선두만강선승리선운봉선은률선
배천선옹진선금강산청년선구성선
제2지선 철도
직동탄광선성산인입선장진선만덕선신성선
회둔탄광선후산선청남선녕변선삼공일선
신온전용선수풍선장연선정도선부포선
안천전용선
폐선된 철도
최가령선명학선형봉선보천선청화력선
압록강선마평선석하리선토해선운산선
과일선토해선태탄선리원선원산항선
개천청년선서해리선서창선룡암선시정선
남동선박천선강안선회령탄광선동포선
성평선회암선안골선금천탄광선홍군선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1. 개요[편집]


파일:attachment/북청선.jpg
신북청역에서 상리역까지 이르는 철도 노선. 길이 51.7km. 평균 역간 거리는 4.7km.

신북청역에서 북청역까지의 9.4km 구간은 1929년 부설되었다. 그러다 일제 말기인 1944년 북청군 내륙의 북청광산[1]에서 나오는 철광석의 수송을 위해 북청역에서 상리역까지 가는 연장선을 착공했다가 광복을 맞았으며, 연장 구간은 북한에 의하여 1960년 10월 6일에 완공, 개통히였다.

단선이며 비전철화되었다. 하긴 현재의 북한의 철도 환경으로서는 전철화되어 봤자 쓰지도 못하는 게 현실이지만, 그래도 기대가 되는 것과 안 되는 것의 차이는 심하게 큰 법. 선로 상태도 심각하게 나빠서 덕성역을 지나가면 거의 노면전차 수준이다. 그야말로 변변치 못한 노선. 화물 전용 노선이라서 그런 건지도 모른다.


1.1. 노선의 명칭[편집]


이 노선을 부르는 명칭도 자료마다 다르다. 세 가지로 불리는데, 북청선, 덕성선, 북청철산지선이 그것. 일부 자료에서 덕성선이라고 표기하는 이유는 북한이 1980년 덕성군에서 나오는 광물 자원을 수송하기 위해 연장하면서 이름을 바꾸었기 때문이며, 북청철산지선이라고 표기하는 이유는 종점인 상리역이 철산로동자구 소속이며 덕성군은 원래 북청군에서 떨어져 나온 군이기 때문이다. 엔하위키에서는 1929년 부설 당시의 명칭인 북청선을 따라갔으며 이것이 나무위키에도 이어졌다.


2. 역 목록[편집]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어 규정에 따라 적었다.

북청선 역 목록
역 명역간거리기점거리종점거리분기노선비고소재지
신북청新北靑기점0.051.7평라선함남 북청군
량 가良 家4.44.447.3
북 청北 靑5.09.442.3
라하대羅下坮5.014.437.3
덕 성德 城4.619.032.7함남 덕성군
주의동主義洞3.722.729.0
양 승陽 勝3.125.825.9
도 평島 坪4.430.221.5
삼 기三 岐5.135.316.4
송 중松 中7.943.28.5
상 일上 一4.547.74.0
상 리上 里4.051.70.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6:38:26에 나무위키 북청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광복 당시 행정구역산 이곡면 상리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