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리영응기

덤프버전 :

파일:사리영응기.jpg


1. 개요[편집]


舍利靈應記. 세종 31년(1449)에 세종의 명을 받아 김수온(1410~1481)이 편찬한 불교 서적으로, 세종의 명으로 지은 내불당[1]의 건립 과정과 그 과정에서 일어난 불교적 영험에 대해서 적혀 있다. 더해 세종이 직접 지은 악곡 7수와 악장 9수 또한 실려 있다.


2. 실린 당대의 순우리말 이름[편집]


책의 말미에는 당시 법당을 세울 때에 참여한 사람들의 이름이 나열되어 있는데, 이들 중 47개는 한글로 적힌 순우리말 인명이었다. 이는 한글로 적힌 최초의 순우리말 이름들이다.[2] 당시에나 그 이후로도 많은 순우리말 이름들은 주로 한자 차자표기인 이두로 적혔기에, 이렇게 훈민정음과 방점까지 병기된 순우리말 이름 기록은 국어사적으로 굉장히 귀중하다.[3]

순서이름
1韓(한)실구·
2朴(박)검도ᇰ
3朴(박)·
4金(김)올마·
5高(고)오마ᇰ·
6李(이)오마·
7薛(설)쟈가·도ᇰ
8姜(강)·
9河(하)·디ᇰ
10金(김)·
11金(김)·
12盧(노)·소미
13車(차)·
14姜(강)ᄀᆞ리·
15崔(최)·미도ᇰ
16林(임)·
17金(김):샤ᇰ재
18金(김):·
19劉(유)·ᅀᅬ
20梁(양)마ᇰ오·
21金(김)ᄯᅩᇰ구·
22崔(최)·
23咸(함):ᄉᆈᆺ·
24金(김)막도ᇰ
25金(김)막도ᇰ
26龍(용)오마·
27姜(강)라ᇰ관
28權(권)모리·ᅀᅬ
29玄(현)·
30石(석)가ᇰ·ᅀᅬ
31姜(강)마ᇰ·ᅀᅬ
32姜(강)막도ᇰ
33金(김)·ᄒᆡᆫ도ᇰ
34許(허)우루·
35田(전)오마·
36朴(박)·
37金(김)어리·디ᇰ
38閔(민)막도ᇰ
39金(김):·
40石(석)·
41李(이)아가·
42朴(박):·ᅀᅬ
43姜(강)·
44朴(박)오마·
45姜(강)막도ᇰ
46金(김)거매
47李(이)쟈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08:13:47에 나무위키 사리영응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 조선시대의 순우리말 인명 자료는 대부분 평민의 것이지만, 사리영응기를 통해 15세기에는 7품 이하의 하급 관리들까지 순우리말 이름을 널리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3] 순우리말 이름을 한글로 적은 다른 자료로는 1617년에 편찬된 동국신속삼강행실도가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