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정동(구미)

덤프버전 :




구미시법정동
송정동
松亭洞 | Songjeong-dong

광역자치단체경상북도
기초자치단체구미시
행정표준코드4719011000
관할 행정동송정동, 광평동
면적1.59㎢
1. 개요
2. 관할 행정동
2.1. 송정동
3. 주요 시설
3.1. 기관
3.2. 주거
3.2.1. 아파트
3.2.2. 오피스텔
3.3. 교육
3.3.1. 초등학교
3.3.2. 중학교
4. 교통
4.1. 버스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경상북도 구미시에 있는 .

굉장히 흔한 동명으로써 대부분의 송정이라는 지명이 그렇듯 울창한 숲 속에 정자가 있는 곳이라고 하여 이름지어졌다.

이 일대가 원래는 수도산이라는 산이 자리잡고서 그 앞으로 광평천이 흐름과 동시에 넓은 들이 자리 잡은 전형적인 농촌이었으나, 현재는 대규모 개발로 인하여 그 흔적을 찾을 수조차 없게 되었다.[1]

구미에서 가장 먼저 형성된 시가지로써 구미읍으로 승격하게 되면서 원평동, 형곡동과 함께 송정동으로 승격되며 처음으로 동 지역이 되었으며 그러다보니 가장 먼저 시가지의 형태를 갖추게 된 곳이다. 같이 승격한 형곡동이 교육과 주거를 담당하였으며 원평동이 상업과 교통을 담당하였다면 송정동은 행정과 복지 및 문화를 담당하게 되었으며 지금도 이 세 지역을 묶어 구미시의 원도심으로 보고 있다. 이를 증명하듯 시청을 포함하여 소방서.경찰서 등의 관공서와 기업이 대부분 밀집되어 있으며, 구미 유일의 백화점인 동아백화점과 시민 체육관 및 예술회관 등이 존재한다.

송정대로를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위에서 말한 관공서나 기업과 같은 행정 시설이나 문화 시설이 주로 위치하고. 남쪽으로는 주거 시설 등이 주로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주거지가 주로 주택으로 형성되다 보니 광평천을 복개하여 주차장으로 만들었는데 이 곳을 아직도 복개천으로 부르며 지명의 유래가 되었으며, 관공서나 기업이 밀집하다보니 자연스레 이 주변으로 음식점이 많이 형성되었고 지금도 복개천 하면 이 일대에서 제일 많은 유흥가이자 식당가로 자리 잡았다.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초중반까지는 형곡동과 함께 구미시의 공업화의 상징이자 부촌으로써 그 위세가 드높았던 동네였다. 그러나 2000년대 중후반이 지나며 구미시의 산업화가 둔화되자 그 위세도 차츰 가라앉았다. 푸르지오캐슬 단지는 여전히 손꼽히는 부촌이다.[2]

푸르지오캐슬 쪽을 벗어난 주거지 대부분은 이미 노후화가 심하게 진행되어 재건축 및 재개발이 필요해보인다. 신축이 희소하던 와중에 구 삼성 사택이 있던 부지에 힐스테이트가 2020년 5월부터 입주가 시작되었으며, 그 외에 인근은 아직까지 별 다른 향후 소식이 없다. 특히 동아백화점 맞은 편에 위치한 송림아파트는 거의 다 쓰러져가는 폐가 수준으로 방치되어 있는데, 현재는 거주중인 세대보다 압도적으로 공실이 대부분이다. 주민들 대부분이 젊은 세대보다는 중장년층 이상이며 노인 세대들이 많기에 고령화 되어있는 느낌이 짙다.

복개천에 즐비한 많은 술집들을 제외하고는, 동네에 그 흔한 코인노래방 하나 없을 정도로 젊은층들의 문화생활여건이 낮은 편이다.

교촌치킨 본점이 송정동에 있다.[3]


2. 관할 행정동[편집]



2.1. 송정동[편집]


구미시행정동
송정동
松亭洞 | Songjeong-dong

광역자치단체경상북도
기초자치단체구미시
행정표준코드5080058
관할 법정동송정동, 원평동
하위 행정구역32통 278반
면적1.80㎢
인구23,412명[4]
인구밀도13,006.67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구미시 갑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구자근 (초선)
경상북도의원 | 제1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용현 (초선)
구미시의원 | 가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민성 (초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재우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교상 (5선)
행정복지센터송원동로 10
송정동 행정복지센터


3. 주요 시설[편집]



3.1. 기관[편집]


  • 구미시청
  • 구미교육지원청[5]
  • YMCA
  • 근로복지공단 구미지사
  • 고용복지센터
  • 국토정보공사
  • 구미청년회의소
  • 국민연금공단 구미지사
  • 한국전력공사 구미지사
  • 구미문화예술회관
  • 구미상공회의소
  • KT 전화국

3.2. 주거[편집]



3.2.1. 아파트[편집]


건설사단지명입주세대수
샛별아파트1980년 1월60
벨라아파트1980년 4월160
한우1차아파트1981년 9월300
한우2차아파트1982년 6월160
송림아파트1984년 7월270
한가람빌리지아파트1988년 3월79
SM우방우방1차아파트1988년 7월580
SM우방우방2차아파트1988년 11월160
혜성골든타운아파트1989년 2월190
로얄타운아파트1990년 5월350
삼성물산삼성장미아파트1990년 8월298
두산맨션1992년 6월79
삼우타운아파트1994년 12월68
한신공영동양한신아파트1996년 7월800
한솔아파트1996년 7월300
신화오페라하우스아파트(201동)2002년 10월42
신화오페라하우스아파트(601동)2003년 11월70
대웅솔랜드아파트2005년 6월188
대우건설구미푸르지오캐슬A단지아파트2007년 8월1878
대우건설구미푸르지오캐슬B단지아파트2007년 8월408
대우건설구미푸르지오캐슬C단지아파트2007년 8월313
태왕E&C태왕아너스2012년 11월125
한라공영한라하우젠트송정2017년 1월126
송정미소지움아파트2018년 10월140
현대엔지니어링힐스테이트송정1단지아파트2020년 5월433
현대엔지니어링힐스테이트송정2단지아파트2020년 5월93
범양건영구미송정범양레우스센트럴포레미정486
중흥건설송림아파트 재건축미정249
중흥건설벨라맨션 재건축미정249

3.2.2. 오피스텔[편집]


  • 태왕E&C 송정 태왕아너스타워
  • 유성건설 송정 유성푸르나임

3.3. 교육[편집]



3.3.1. 초등학교[편집]


  • 송정초등학교

3.3.2. 중학교[편집]


  • 송정여자중학교

4. 교통[편집]



4.1. 버스[편집]


버스
[[구미 버스 10, 110|

10
]] [[구미 버스 11, 111|

11
]] [[구미 버스 12, 120|

12
]] [[구미 버스 22|

22
]] [[구미 버스 23|

23
]] [[구미 버스 26|

26
]] [[구미 버스 26|

26-1
]] [[구미 버스 26|

26-2
]] [[구미 버스 29|

29
]] [[구미 버스 51|

51-1
]] [[구미 버스 53, 553|

53
]] [[구미 버스 53, 553|

53-1
]] [[구미 버스 55|

55
]] [[구미 버스 57|

57
]] [[구미 버스 80|

80-1
]] [[구미 버스 90|

90
]] [[구미 버스 95|

95-1
]] [[구미 버스 101|

101-1
]] [[구미 버스 10, 110|

110
]] [[구미 버스 11, 111|

111
]] [[구미 버스 12, 120|

120
]] [[구미 버스 140|

140
]] [[구미 버스 140|

140-1
]] [[구미 버스 140|

140-2
]] [[구미 버스 140|

140-3
]] [[구미 버스 140|

140-6
]] [[구미 버스 140|

140-7
]] [[구미 버스 160|

160
]] [[구미 버스 161|

161
]] [[구미 버스 162|

162
]] [[구미 버스 162|

162-1
]] [[구미 버스 171|

171
]] [[구미 버스 171|

171-1
]] [[구미 버스 171|

171-2
]] [[구미 버스 171|

171-3
]] [[구미 버스 180|

180
]] [[구미 버스 181, 186|

181
]] [[구미 버스 182|

182
]] [[구미 버스 182|

182-1
]] [[구미 버스 182|

182-2
]] [[구미 버스 183|

183
]] [[구미 버스 184|

184
]] [[구미 버스 185|

185
]] [[구미 버스 185|

185-2
]] [[구미 버스 181, 186|

186
]] [[구미 버스 187|

187
]] [[구미 버스 187|

187-1
]] [[구미 버스 188|

188
]] [[구미 버스 190|

190
]] [[구미 버스 190|

190-1
]] [[구미 버스 190|

190-2
]] [[구미 버스 190|

190-3
]] [[구미 버스 191|

191
]] [[구미 버스 192|

192
]] [[구미 버스 193|

193
]] [[구미 버스 193|

193-2
]] [[구미 버스 194|

194
]] [[구미 버스 195|

195
]] [[구미 버스 196|

196
]] [[구미 버스 340|

340
]] [[구미 버스 340|

340-1
]] [[구미 버스 340|

340-2
]] [[구미 버스 340|

340-3
]] [[구미 버스 340|

340-4
]] [[구미 버스 340|

340-5
]] [[구미 버스 340|

340-7
]] [[구미 버스 360|

360
]] [[구미 버스 360|

360-1
]] [[구미 버스 360|

360-2
]] [[구미 버스 360|

360-3
]] [[구미 버스 361|

361
]] [[구미 버스 380|

380
]] [[구미 버스 380|

380-1
]] [[구미 버스 380|

380-2
]] [[구미 버스 380|

380-3
]] [[구미 버스 410|

410
]] [[구미 버스 410|

410-1
]] [[구미 버스 410|

410-2
]] [[구미 버스 410|

410-3
]] [[구미 버스 410|

410-4
]] [[구미 버스 410|

410-5
]] [[구미 버스 410|

410-6
]] [[구미 버스 410|

410-7
]] [[구미 버스 411|

411
]] [[구미 버스 411|

411-1
]] [[구미 버스 411|

411-2
]] [[구미 버스 411|

411-3
]] [[구미 버스 411|

411-4
]] [[구미 버스 411|

411-5
]] [[구미 버스 411|

411-6
]] [[구미 버스 411|

411-7
]] [[구미 버스 460|

460
]] [[구미 버스 461|

461
]] [[구미 버스 553|

553
]] [[구미 버스 555-1|

555-1
]] [[구미 버스 557|

557
]] [[구미 버스 881|

881
]] [[구미 버스 881|

881-1
]] [[구미 버스 882|

882
]] [[구미 버스 883|

883
]] [[구미 버스 883|

883-1
]] [[구미 버스 884|

884
]] [[구미 버스 884|

884-1
]] [[구미 버스 884|

884-2
]] [[구미 버스 885|

885
]] [[구미 버스 885|

885-1
]] [[구미 버스 890|

890
]] [[구미 버스 891|

891
]] [[구미 버스 891|

891-1
]] [[구미 버스 900|

900
]] [[구미 버스 910|

910
]] [[구미 버스 910|

910-1
]] [[구미 버스 5100|

5100
]] [[구미 버스 5200|

5200
]]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7:51:32에 나무위키 송정동(구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 흔적을 미세하게나마 찾아볼 수가 있는데, 원래 수도산은 금오산에서 뻗어나온 맥으로써 형곡동을 동그랗게 감싸고 있는 산세였다. 그러나 형곡동과 송정동을 개발하며 산세를 거의 밀다시피 해버렸고, 현재 송정동 뒷산이라 부르는 송정 여자중학교 뒤의 자그만한 산과 형곡 네거리 옆 등산로 입구 그리고 시청 옆 작으만한 체육공원이 그나마 찾을 수 있는 흔적이다. 이 흔적들이 남은 이유는 수도산은 금오산의 효자봉에서 갈라져서 차츰 낮게 깔리는 작은 산맥이었고, 높지는 않지만 낮은 산세가 넓게 퍼진 형태였기 때문. 넓은 산을 밀어버리는 과정에서 조금씩 높은 언덕 부분은 굳이 밀어버리지 않고 둔 것이 지금의 동네 뒷산이 되어있다. 형곡 네거리에서 원평동으로 넘어가는 형곡 금호어울림 앞 언덕과 소위 사람들이 낙타고개 또는 아우토반이라 부르는 형곡동에서 상모사곡동으로 넘어가는 언덕의 높이를 생각하면 그래도 이 일대가 절대 낮은 평지는 아니었음을 보여준다.[2] 입지와 별개로 구미에서 10년 이상 아파트가 신축 시세와 비슷한 사례는 매우 드물다. 가격 방어가 잘된 케이스.[3] 참고로 간판이 위엄 넘치게도(...) '교촌통닭 1호점'으로 되어 있다. 구미종합터미널에서 불과 걸어서 5분 거리.[4] 2023년 2월 주민등록인구[5] 신청사 건설로 인해 현재 옛 구미경찰서 자리로 임시 이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