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명판/일본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역명판


1. 개요
2. 분류
3. 종류
3.1. 역 외부
3.1.1. 간판형 역명판
3.1.2. 폴사인
3.1.3. 입구 부착식 역명판
3.2. 역 내부


1. 개요[편집]


(えき(めい(ひょう

일본의 경우, 이러한 역명 안내 시설은 보통 '역명판'이 아닌 '역명표'라고 부른다. 역명판에 주로 사용하는 서체는 스미마루 고딕체, 신고(新ゴ)체 등이다. 영문 표기로는 Helvetica나 Frutiger가 주로 이용된다.


2. 분류[편집]




3. 종류[편집]



3.1. 역 외부[편집]



3.1.1. 간판형 역명판[편집]



JR 6개사로 본 역 외부에 위치한 역명판.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JR" 부분에는 각 회사의 색상을 적용한다.

JR의 노선이 없는 역의 경우, 관할하는 철도회사의 로고와 역명이 같이 붙어있거나 무인역 등의 정말 군소한 역의 경우 소박한 간판만 놓여있는 경우도 더러 있다. 그 외에도 글자만 붙어있는 형식이 아니라 패널이 설치되어있는 경우도 있다. 아래의 토베역 등이 그 예시. 그나마 한국에서 사용되는 간판형 역명판과 가장 비슷한 디자인은 아래 코요엔역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물론 역사 특성상 크기는 훨씬 작다.

파일:시라니와다이역_역사외역간판.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HigashiTsuzuki_Station.jpg
킨키 일본 철도 시라니와다이역텐류하마나코 철도 히가시츠즈키역[1]
파일:Tobe_stn.jpg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9ae97a55.jpg
케이큐 전철 토베역한큐 전철 코요엔역


3.1.2. 폴사인[편집]


일본의 경우 폴사인 형태로 되어 있는 역에는 아래에서 볼 수 있듯이 지붕설치식 폴사인이 많은데, 이 경우 관할 철도회사의 로고만 들어가 있는 경우도 있고, 역명이 안내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폴사인에 역명이 없는 경우, 폴사인으로 위치 안내만 하고 아래 입구 부착식 역명판과 혼용해서 역명 자체는 입구 부착식 역명판으로 안내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파일:히비야역_역사외역간판.jpg
파일:구묘지역_역사외역간판.jpg
도쿄메트로, 도에이 지하철 히비야역[2]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구묘지역
파일:아베노역.png
파일:타이쇼역_역사외역간판.jpg
오사카메트로 아베노역오사카메트로 타이쇼역


3.1.3. 입구 부착식 역명판[편집]




3.2. 역 내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2:46:35에 나무위키 역명판/일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진 우측에 "東都筑"이라고 적혀있는 간판이 역명판이다.[2] 위에 크게 설치된 폴사인은 도쿄메트로의 로고이며, 아래에 역명이 나와있는 역명판을 잘 보면 오른쪽에 도에이 지하철의 로고도 그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