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전동(신의주)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신원동
시당

본부동
압강동청송동역전동
백사동근화동채하동오일동남중동
남상동남서동백운동개혁동남송동
신남동남하동해방동평화동신포동
민포동수문동마전동동하동동중동
동상동친선1동친선2동방직동련상1동
련상2동류상1동류상2동와이동락원1동
락원2동선상동송한동석하1동석하2동
풍서1동풍서2동백토동성서동남민동
락청1동락청2동연하동판문동고성동
다지리류초리중제리삼교리삼룡리
토성리상단리하단리



파일:북한 국기.svg 평안북도 신의주시
역전동>
驛前洞
Yeokjeon-dong

지역관서
면적미상
[1]신의주시
시간대UTC+9
인구미상
인구밀도미상
당위원장파일:wpk.jpg문경덕
인민위원장파일:wpk.jpg장세철

1. 개요
2. 연혁
3. 교통
4. 지리
5. 시설
6. 여담
7. 남북통일 이후



1. 개요[편집]


신의주시의 동.


2. 연혁[편집]


1967년 청송동 일부를 분리하여 신설한 동으로 신의주역 앞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3. 교통[편집]


신의주청년역이 있다.


4. 지리[편집]


신의주의 중심에 있으며, 압록강을 끼고 바로 중국을 바라보는 지역이다.


5. 시설[편집]





6. 여담[편집]




7. 남북통일 이후[편집]


통일 이후 신의주가 대중 무역거점지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새로운 국제 금융 및 국제 무역 중심지로 커질 가능성이 높다. 대중 무역의 활성화를 위해 다리가 하나 더 놓여진다거나, 신의주역을 확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3:48:53에 나무위키 역전동(신의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편의상 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