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누리운수

덤프버전 :

파일:마포구 CI.svg서울특별시 마포구 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시내버스다모아자동차[a]유성운수[b]
마을버스마포운수미금운수승마교통성암운수
신수동마을버스아현운수온누리운수웅산교통
정암운수합정운수
사라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동남교통
[a] 주간선버스 회사 / [b] 마포구 이외 지역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주식회사 온누리운수
Onnuri Transportation Co., Ltd.
설립일2004년 5월 17일
업종마을버스 운송업
대표자송해수
기업구분중소기업
상장여부비상장기업
보유대수12대(2022년 12월 기준)
직원 수6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5,000만원(2022년 기준)
매출액15억 509만원(2022년 기준)
영업이익-3억 390만원(2022년 기준)
순이익-2억 9,350만원(2022년 기준)
자산총액3억 3,558만원(2022년 기준)
부채총액15억 3,835만원(2022년 기준)
부채비율-127.90%(2022년 기준)
소재지서울특별시 마포구 연남로 89, 101동 102호 (연남동, 유일헤리지움)


1. 개요
2. 특징
3. 운행 노선
4. 현재 보유차량
5. 과거 보유차량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마포구의 마을버스 업체로, 운행 노선은 마포05번마포06번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연남로 89 유일헤리지움 101동 102호에 있다.


2. 특징[편집]



  • 주력 노선은 마포06번으로 홍대입구역에서 출발할 때 십중팔구는 앞문쪽을 거의 꽉 채워 출발할 정도로 승객이 많다.

  • 2000년대 초까지는 코스모스를 주력으로 운행했다. 그러다가 기아에서 시내버스를 단종시키자 에어로타운을 3대정도 시범으로 출고했지만 별로였는지 2006년부터 BS090을 출고했으며, 몇년 뒤 마포06번은 전 차량 자일대우버스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현대로 전향한 대부분의 업체에서 그랬듯 2008년 출시된 대우 팬더 시리즈의 잔고장과 부식은 이 회사도 피해갈 수 없었는지 2011년 크롬팬더 1대를 끝으로 전기버스 도입 전까지 그린시티만 출고했다. 결국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그린시티를 출고하며 크롬팬더 1대를 제외한 대우버스들을 모두 교체했다.

  • 2023년 초에 마지막 대우버스인 크롬미디 1대 대차분으로 첫 전기버스를 도입했으며 전국 최초 하이퍼스1609HN이다. 5년만의 신차 소식이다.[1]

  • 마포구에서 아현운수, 신수동마을버스와 같이 버스티브이를 쓰는 세 업체 중 하나이다.[2]


3. 운행 노선[편집]


  • 마포05: 홍대입구역 - 코오롱아파트 - 연남동 - 대명아파트 - 홍대입구역(구 9-1번)
  • 마포06: 홍대입구역 - 동교로사거리 - 홍대부여고입구 - 경성중고교.홍익디자인고 - 코오롱아파트사거리 - 사천고가 - 사천교 - 가좌역.모래내시장 - 삼성래미안2차 - DMC파크뷰자이 - 남가좌새마을금고 - 남가좌현대아이파크 - 연가교 - 영보웨딩홀 - 사천교 - 이후 역순(구 9번)


4. 현재 보유차량[편집]



4.1. 현대자동차[편집]



4.2. 하이거[편집]




5. 과거 보유차량[편집]



5.1. 현대자동차[편집]



5.2. 기아[편집]


  • 기아 토픽[3]
  • 기아 프레지오[4]
  • 기아 AM818 코스모스 디젤
  • 기아 AM828 뉴 코스모스 디젤

5.3. 자일대우버스[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2:54:20에 나무위키 온누리운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또한 중형차량으로 운행하는 마을버스 업체임에도 회색봉 개선형 고상을 보유하지 않게 되었다.[2] 마포구에서는 본시스템 방송이 주력으로 사용되고 있고, 합정운수만 양진텔레콤 구형 방송을 사용한다.[3] 마포05번의 전신인 9-1번 시절부터 운행.[4] 마포05번의 전신인 9-1번 시절부터 운행. 이후 용산선 철거로 높이 제한이 풀려 카운티로 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