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포고정식

덤프버전 :


유희왕/OCG의 일반 함정 카드.

파일:壱時砲固定式.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명칭=일시포고정식,
일어판명칭=<ruby>壱時砲固定式<rp>(</rp><rt>いちじほうこていしき</rt><rp>)</rp></ruby>,
영어판명칭=Linear Equation Cann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 자신 / 상대의 배틀 페이즈에 1 / 2 / 3 / 4 / 5 / 6 중 어느 숫자를 선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효과 몬스터 1장을 골라\, 이하의 수치를 합계한 수가 자신 묘지의 카드의 수와 같을 경우\, 선언한 수까지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묘지로 보낸 수까지 상대 필드의 카드를 골라 주인의 덱으로 되돌린다. 다를 경우\, 자신은 선언한 수 × 500 LP를 상실한다.,
효과2=● 고른 몬스터의 레벨 × 선언한 수,
효과3=● 상대 필드의 카드의 수)]
블레이징 보텍스에서 공개된 함정 카드. 효과가 공개되자마자 저 복잡한 효과 텍스트가 화제가 되었다.

상당히 난해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효과 발동 과정을 쉽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1. 자신/상대 배틀 페이즈에 1~6 중에서 숫자를 선언하고 발동한다.
2. 상대 필드의 효과 몬스터 1장을 고른다.
3. 고른 상대 필드의 효과 몬스터의 레벨에 선언한 수를 곱한 수치에 상대 필드의 카드의 수를 더한다.
4-1. 해당 수가 자신의 묘지의 카드 수와 동일할 경우, 1에서 선언한 수까지 덱 위에서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같은 수치만큼 상대 필드의 카드를 골라 주인의 덱으로 되돌린다.
4-2. 해당 수가 자신의 묘지의 카드 수와 다를 경우, 1에서 선언한 수 ×500만큼 LP를 상실한다.

조금 더 이해하기 쉽게 예시를 들어서 설명하자면 이러하다.

0. 상대 필드 위의 카드 수는 총 5장. 상대 필드 위에는 레벨 5의 사이버 드래곤과 레벨 2의 사이버 드래곤 코어가 있다.
1. 일시포고정식을 발동, 숫자 2를 선언한다.
2. 레벨 2의 사이버 드래곤 코어를 선택한다.
3. 선택한 몬스터의 레벨(2) × 선언한 숫자(2)+상대 필드의 카드 수(5) = 9의 수치가 도출.
4. 자신의 묘지의 카드를 확인한다. 묘지가 9장이면 덱 위에서 카드 2장을 묘지로 보내고 상대 필드 위의 카드 2장을 골라 주인의 덱으로 되돌린다. 9장이 아니면 2 × 500 =1000 LP를 상실한다.

사실 복잡하게 서술되어 있지만 일차함수에 대입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효과다. a=상대 필드의 지정하는 몬스터의 레벨, b=상대 필드의 카드 수, x=자신이 선언하는 숫자, y=자신의 묘지 수로 대입하면 된다는 것이다. 이런 효과에 대해서, 아무리 세월이 오래 흐르고 주요 대상층이 점점 청소년~성인으로 올라갔다지만 본질적인 대상 연령층이 어린이인 카드 게임에 중학교 들어가서나 배우는 일차함수를 쓰게 만든다는 점을 비판하는 듀얼리스트도 있다.

성공한다면 선언한 매수의 묘지 비축과 대상 비지정 덱 바운스라는 강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선언한 수가 1이라도 필드만으로 1:1 교환이 되며, 6을 선언해서 조건을 채우면 6장 덤핑과 6장 덱 바운스가 가능해진다.

문제는 발동해서 조건을 채우기가 매우 어렵다는 점. 발동은 배틀 페이즈로 한정되니 상대 턴에서는 배틀 페이즈 들어가기 전에 제거될 가능성도 높다. 더구나 상대 필드와 자신의 묘지의 임의 매수를 조작하는 것은 곤란하다. 큰 수를 선언하게 되면 고레벨로는 묘지에 요구되는 매수도 그만큼 커진다. 배틀 페이즈 중 상대 필드에 낮은 레벨 몬스터가 있을 경우는 드물 것이고, 컨트롤을 떠넘기자니 콤보에 필요한 카드를 챙기느라 패 사고 확률이 높아져버린다.

거기다 조건을 만족한 상황에서 발동한다 해도, 상대가 체인하여 자신의 묘지 매수나 상대 필드의 카드의 매수가 변화된다면 그걸로 LP 손실이 일어나버리는 등 리스크도 높다. 일단 자신도 체인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대응할 수 있다고는 해도, 상대 체인까지 대응하려 드는 것은 다소 비현실적이다.

바운스를 위한 조건이 까다로운 것도 있지만, 바운스 처리 자체도 좀 까다롭다. 덱에서 묘지로 보내는 매수는 '선언한 수까지'이므로 선언한 수 이하라면 이는 임의로 결정되며, 바운스하는 수도 '묘지로 보낸 수까지'라 그 수 이하라면 임의로 결정된다. 다만 바운스 처리는 임의가 아니며 묘지로 보내는 매수도 바운스 처리와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조건을 채운 경우에는 묘지로 보내는 매수와 바운스하는 매수는 각각 최소 1장 이상이어야 한다.

큰 매수를 선언해 발동하겠다면 하우스 더스튼으로 자폭 특공하고 더스튼 효과 몬스터를 떠넘길 수도 있고, 컨트롤을 떠넘김으로써 매수 조정도 가능해진다. 아마노쿠쟈키를 상대 필드로 넘겨 몬스터 효과 발동을 제한해서 써 보는 방법도 있다.

적은 매수를 선언해도 상관 없다면 파괴수를 떠넘겨도 좋다. 방해받은 파괴수의 잠을 사용하면 상대 몬스터를 파괴할 수 있으니 매수 조정도 용이해진다.

거의 확실하게 능동적인 LP 손실이 가능하지만, 그런 용도라면 대부분 스타 블래스트빛의 봉인벽을 쓰는 편이 더 낫다.

상대 필드의 효과 몬스터 1장을 고르는 효과처리에서는 레벨이 없는 몬스터는 고를 수 없다. 또한 효과 몬스터로 한정되어 있는 것은 보통 레벨 1로 지정되는 경우가 많은 토큰을 못 고르게 하려는 의도일 것이다.

요약하자면 효과 발동에 성공하면 최대 6장까지 덱 덤핑과 비지정 덱 바운스를 동시에 시행할 수 있는 효과지만, 상대 필드와 자신의 묘지를 전부 확인해야 하는 점에서 까다로운 효과다. 게다가 발동에 실패하면 최대 3000 LP를 상실할 수 있다는 점에서 리스크가 큰 편.

일러스트에도 아예 일차함수를 묘사해 놓았다. 카드명은 '일차방정식'의 일어 발음을 이용한 언어유희. 영칭은 아예 '선형방정식포'로 번역되어 훨씬 노골적이다. 일러스트의 그래프는 원점을 지나는데 카드 효과를 위한 계산식에서는 그래프가 원점을 지나는게 불가능 하다

참고로 '방정식'이 카드 이름에 들어간 카드는 참기 카드군의 마법카드인 '참기방정식'과 유희왕 ZEXAL의 개그성 사용불가 카드인 승리의 방정식이 있었다. ~승리의 1차 방정식은 전부 갖추었다!~

수록 시리즈
2021-02-04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LVO-KR080 | 블레이징 보텍스
[[노멀|
N
노멀
]]
2020-10-31 |
파일:일본 국기.svg

BLVO-JR080 | ブレイジング・ボルテックス
[[노멀|
N
노멀
]]
2021-02-05 |
파일:미국 국기.svg

BLVO-EN080 | BLAZING VORTEX
[[노멀|
N
노멀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5:38:26에 나무위키 일시포고정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