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덤프버전 : r20230302
1. 개요[편집]
미합중국[10] (美合衆國, United States of America) 또는 미국(美國)은 북아메리카 대륙과 태평양[11] 지역에 위치한 연방국이다.
동쪽으로 대서양, 서쪽으로 태평양과 러시아[12] , 남쪽으로는 멕시코와 카리브해, 북쪽에는 캐나다와 북극이 접하는 광대한 영토를 갖고 있다. 오늘날 미국은 군사, 경제, 정치 등의 하드 파워는 물론 문화, 교육, 학술 연구를 포함한 소프트 파워의 모든 분야에서 가장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가이다. 또한 냉전이 종료되고 소련이 몰락한 1990년대 이후 지금까지 명실상부 전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으로 군림하고 있다. 미국 스스로 '세계의 경찰' 또는 '미국 예외주의'를 제창할 수 있는 원동력이 바로 여기에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브레튼우즈 체제가 등장해 미국의 주도 하 개편된 국제 사회의 질서는 현재까지 그 명맥이 이어지고 있다.
2. 상징[편집]
2.1. 국호[편집]

2.2. 국기[편집]

2.3. 국장[편집]
미 국의 국장(國章)은 그레이트 실(The Great Seal)이다. 조약문과 같은 국가 중요 문서 원본에 대한 봉인(封印, seal)으로 사용하기 위해 고안한 것이어서다. 당시 문서에 실링 왁스를 이용해 봉인하는 용도로 사용했으며 현재도 압인(押印, 압력 스탬프)으로 만들어져 국가 중요 문서 원본에 찍힌다. 즉 동아시아 각국에서 전통적으로 쓰이는 국새(國璽) 역할이다.
또 통상적인 국장과 달리 뒷면이 있다. 18세기 당시 '펜던트 실'(pendant seal)이라는 봉인 방식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다. 통상 실링 왁스로 봉인하는 경우 문서 말미에 그냥 도장처럼 찍거나 문서를 말거나 접거나 또는 봉투에 넣었을 때 종이가 겹쳐지는 면에 봉인을 하므로 반대쪽은 보이지 않아 뒷면이라는 것을 상정할 수 없다. 그런데 18세기에는 문서를 말거나 접거나 봉투에 넣은 경우 이를 함부로 풀지 못하게 묶는 리본이나 끈에만 왁스로 봉인하는 '펜던트 실'이라는 방식이 있었다. 이 경우 왁스가 굳으면 봉인이 리본이나 끈에 메달처럼 매달려 달랑거리고 '뒷면'이 존재한다. 이에 미국은 '펜던트 실'을 염두에 두고 그 양면에 각인하기 위해 국장 '뒷면'을 따로 디자인한 거다.
그런데 미국 정부는 국장 앞뒷면 도안을 만들어 놓고 정작 국장 앞면만을 실제 봉인에 쓰이는 주물로 제작하고 뒷면용 금형은 단 한 번도 실물로 제작하지 않았다. 그래서 결국 '펜던트 실' 방식으로 문서를 봉인하는 경우에도 앞면만 찍었다. 결국 뒷면 국장은 단지 디자인으로만 남게 되었다.
현재 앞면 국장은 대통령이나 연방 정부 명의로 발급하는 공문서, 서한, 조약, 협정문 등의 원본에 압인으로 날인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거대한 프레스기를 미국 국무부 청사에 보관하고 있다. 그 밖에 다른 나라 국장과 마찬가지로 여권 표지, 외국 주재 미국 공관의 현판, 연방 정부 각 부처나 국가 요인들의 브리핑석 장식 등에 쓴다.
뒷면 국장은 1달러 지폐의 뒷면에 국장 앞면과 함께 그리고 그밖에는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 간혹 기념품 메달 등에나 조각될 뿐이다.
오늘날 음모론에서 미국의 국장은 1776년이라는 독립 선언 연도가 일루미나티의 창립 연도와 같다는 떡밥이나 전시안 그림, 13이라는 수 등으로 이리저리 얽힌다. 실제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 중 상당수가 이신론을 숭상했고 기호학이나 수비학을 좋아하는 프리메이슨 회원이었고 특히 뒷면 국장이 다른 나라 국장보다 덜 통상적이고 다소 기이한 모양새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현재 뒷면 국장은 사실상 미국 정부에서도 거의 사용하지 않아 유물 취급을 받으며 단순히 전통이라 유지하는 수준이다.
2.4. 국가[편집]
2.5. 국화[편집]
미 국의 국화는 장미다.
미국은 연방국이므로 국화가 없다는 이야기가 많으나 1980년대 당시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장미로 지정하였다.[14]
2.6. 국조[편집]

미 국의 국조는 흰머리 수리다. 미국을 상징하는 흰머리 수리(American Bald Eagle)는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흰머리 수리는 1782년 미국 의회에서 ‘미 합중국의 국조(國鳥)’로 지정하며 이후 미국의 각 공공기관에서 상징물로 쓴다.
3. 역사[편집]

영국의 식민지였으나 1776년 독립선언 후 파리 조약을 통해 1783년 독립을 승인하고 이후 서부로 진출을 시작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프랑스, 스페인, 멕시코로부터 남부 땅을 사거나 전쟁으로 빼앗고 원주민의 영역인 내륙으로 들어가 원주민을 몰아내고 땅을 차지하며 이후 남북전쟁과 대공황을 겪고 1차 세계대전과 2차 세계대전을 통해 세계 최강대국으로 떠오른다.
냉전 이후 소련이 붕괴하고 유일 초강대국으로 한동안 군림하지만 9.11 테러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겪는다. 하지만 국력 자체로만 따지면 미국이 세계 최강대국인 사실은 변함 없다. 아무래도 미국이라는 큰 땅과 거기서 나오는 생산력, 기축통화국, 그리고 어마어마한 인구 덕이다. 한 예로 비슷한 조건의 호주와 캐나다는 기후가 척박해 인구 밀도가 희박하고 미국에 비해 쓸모 없는 황무지가 너무 많아서 강대국에 버금가는 국력까진 키우지 못했다. 물론 두 나라는 미국보다 통계상으로 1인당 소득은 낮지만[15] 나름 1인당 및 총 GDP가 세계 10대권에 턱걸이하는 지역 강국 정도 국력이다.
4. 지리[편집]
미국에는 50개의 주가 있다.
4.1. 육지[편집]
국토 크기는 러시아, 캐나다에 이어 세계에서 3번째로 크다. 중국이 3위에 미국이 4위라는 통계도 몇 있는데 각국의 영토를 어디까지 인정할 것인가를 두고 서로 다른 기준으로 측정해서 나온 결과다. CIA 월드팩트북에서 제시하는 미국 국토 면적은 중국보다 훨씬 넓은 9,833,517㎢지만 가령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는 미국의 면적을 9,525,067㎢로 제시해 미국을 중국에 이어 국토 면적 4위로 둔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각주를 참조하면 미국의 육지 면적은 9,147,643㎢인데 9,525,067㎢는 여기에 내수면 면적(221,783㎢)과 오대호 면적(155,641㎢)을 합한 수치다. 대개 내수면은 영토 면적에 포함하므로 950만 ㎢ 정도는 일반적인 계산이다. 한편 CIA 월드팩트북에서는 과거에 미국의 면적으로 육지 면적과 오대호를 제외한 내수면 면적만 포함한 9,372,610㎢를 제시했으나 1997년 개정판부터는 오대호 면적과 연안 해역 면적(109,645㎢)을 합한 9,629,091㎢로 더 넓은 면적을 제시하고 2007년 개정판부터는 97년에 포함되지 않았던 영해 영역(198,921㎢)까지 합쳐 지금과 같이 9,833,517㎢로 면적을 제시한다.[16] 이런 집계 방식은 각 주의 면적을 집계할 때도 적용한다. 가령 하와이 주의 경우 큰 호수가 전혀 없지만 주 면적의 41%가 내수면 면적인데 해역 면적을 포함한 것이다.
계산 시 미국의 주(state)에 포함하는 알래스카와 하와이는 미국 영토로 계산하지만 괌이나 푸에르토리코 같은 속령은 뺀다. 한편 중국은 홍콩이나 마카오는 포함하지만 영토 분쟁 지역은 뺀다. 당연하지만 대만 역시 다른 나라로 본다. 본토가 8,080,000㎢[17] 정도며 알래스카(1,710,000㎢), 하와이(28,000㎢)까지 합하면 9,830,000㎢ 정도다. EEZ 면적의 경우 11,351,000㎢로 세계 2위다.[18]
월경지이자 미국의 주 중에서 가장 큰 알래스카와 본토에서 한참 떨어진 섬인 하와이를 제외한 본토 면적은 약 8,080,000㎢[19] 정도로 캐나다보다 훨씬 작고 중국, 브라질보다 작고 호주(7,741,220㎢)보다는 넓다. 다만 이러한 영토 대국 중에서 사람이 살 만한 환경을 가장 많이 가졌다. 실제로 경작 면적에서는 세계 1위[20] 는 아니지만 근소한 차이로 2위다. 세계 최대의 담수호인 오대호[21] 를 이웃 캐나다와 공유해 식수 확보량도 세계 2위다.
미국의 국토는 본토의 48개 주와 따로 떨어져 있는 알래스카, 하와이, 그리고 푸에르토리코를 포함한 기타 속령으로 구성하는데 50개의 주 가운데 오세아니아에 속하는 하와이를 제외하고 북아메리카에 존재하는 49개 주를 일컬어 '미국 대륙(Continental United States)'이라 한다. 대륙 미국 내에서도 캐나다로 인해 단절되어 혼자 있는 알래스카를 제외한 서로 연결된 48개 주를 '미국 연속령(Contiguous United States)' 또는 의역해서 '미국 본토'라 한다.
연결된 미국 내에서도 더 나누면 주로 캘리포니아를 중심으로 한 태평양 연안 남서부, 포틀랜드와 시애틀이 있는 태평양 연안 북서부, 콜로라도주와 와이오밍이 있는 중부 고산 지대, 텍사스부터 동쪽의 조지아까지 이어지는 남부(흔히 말하는 바이블벨트다)[22] , 시카고와 미네소타가 있는 중서부(대평원), 그리고 뉴욕과 보스턴이 있는 대서양 연안 북동부가 있다. 각 지역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서남부: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네바다 등이다. 건조한 기후다. 그중 캘리포니아는 건조하면서 온화한 날씨 덕에 날씨 쪽으로는 천국이다. 하지만 캘리포니아도 남부, 북부, 그리고 벨리 지역으로 나눈다. 남부는 로스앤젤레스와 샌디에이고가 있는 1년 내내 화사한 곳이라면 북부 캘리포니아는 샌프란시스코가 중심이고 날씨가 조금 더 춥다. 로스앤젤레스는 영화 산업의 메카고 샌프란시스코와 산호세 지역의 실리콘밸리는 전 세계의 정보 산업의 중심지로 구글, 애플, 페이스북, 인텔 등의 본사가 위치한다. 또한 농업 생산량도 중부 인랜드 엠파이어를 중심으로 많다. 정치적으로는 민주당 지지세가 강하다.
- 북서부: 워싱턴주와 오리건주가 있다. 각각 시애틀과 포틀랜드가 대표적 도시. 이 지역의 두 주 모두 마리화나를 합법화했다. 그만큼 민주당 지지자가 많다. 시애틀 지역은 아마존닷컴, 마이크로소프트, 밸브 코퍼레이션이 본사를 두는 등 실리콘밸리 다음으로 정보 산업이 발달했다. 정치적으로 주로 민주당을 지지한다.
- 남부: 텍사스부터 시작해 조지아주까지 이어지는 바이블벨트[23] 를 주로 일컫는다. 보수적이고 종교적인 색채가 아주 강하다. 흑인 및 히스패닉 비율은 어느 정도 많지만 대부분 큰 도시나 미국-멕시코 국경지대에 있고 시골은 백인이 절대다수다. 경제적으로도 미국에서 가장 낙후하고 많은 지역은 시대에 뒤처진 느낌이 많이 나지만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저렴한 세금과 집값으로 미국 곳곳에서 이주하며 발전 가능성이 높다.[24] BYC급의 시골이던 앨라배마주도 현재는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에 이어서 자동차 산업이[25] 급격하게 발전했다. 물론 미국 특성상 GDP가 서민층의 실제 생활 수준보다 높아 실제 생활 수준은 예상보다 낮지만 주의 1인당 GDP가 독일과 비슷하다. 남부의 간판인 텍사스 주는 20세기 후반부터 폭발적인 성장을 하며 세계 8위권인 경제 규모를 가지고 중국에 뺨치는 5-6%급 연간 경제 성장률을 보인다. 당연히 미국 내에서는 가장 높은 축이며 삶의 질도 차 없으면 못 다닌다는 점 빼면 높고 날씨도 더운 곳 치고 쾌적하다. 미국 중서부에서 망해가는 제조업을 이어받았으며 많은 한국 기업의 공장이 있다. 정치적으로 주로 공화당을 지지하지만 조지아와 노스캐롤라이나 등에서는 민주당 지지세가 강해지는 추세이며 버지니아는 아예 민주당 텃밭으로 정치문화적으로 동북부와 묶여 취급받기도 한다.
- 로키스/중부: 콜로라도, 아이다호, 몬태나, 와이오밍, 유타와 뉴멕시코 같이 로키 산맥에 있는 주를 말한다. 큰 도시는 덴버, 솔트레이크 시티 정도 밖에 없는 한적한 곳이고 보수적이며 공화당을 주로 지지한다. 하지만 콜로라도와 뉴멕시코는 민주당 우세 지역이다.
- 중서부: 인디애나, 오하이오, 일리노이, 미네소타, 위스콘신, 미시간, 아이오와를 가리킨다. 수많은 들소와 가지뿔영양과 같은 대형 포유류들이 살며 생물상이 풍부하다. 미국 제3의 도시 시카고가 있다. 동서부나 남부에 비해 백인 비율이 높다. 한때 미국 제조업의 중심이었으나 높아진 인건비에 제조업이 쇠락해 클리블랜드나 디트로이트 같은 제조업 중심의 중서부 도시가 쇠퇴했다. 정치적으로 계속해서 민주당을 지지하지만[26] 몇몇 주는 러스트벨트로 점점 쇠퇴하는 제조업 때문에 인구가 남부 주들로 유출이 되고[27] 슬럼화가 진행하며 점차 보수화되고 있다.[28] 기후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겨울이 매우 춥다. 대륙성 기후를 띤다. 정치적으로는 경합세나 점점 공화당 지지율이 높다.
- 동북부: 뉴욕, 펜실베니아와 뉴잉글랜드[29] 를 가리킨다. 미국이 탄생한 유서 깊은 지역으로 현재는 민주당의 지지세가 강하며 미국의 다른 지역에 비해 민주당 성향이다. 기후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겨울이 꽤 춥다. 뉴욕시와 워싱턴 D.C. 그리고 보스턴 등 미국의 주요 도시가 몰렸다.
시차로 구분하자면 Pacific Time (PT, UTC-8h), Mountain Time (MT, UTC-7h), Central Time (CT, UTC-6h), Eastern Time (ET, UTC-5h)로 나눌 수 있다. 이 지도에서 볼 수 있듯 PT에 해당하는 지역은 태평양과 인접한 서남부와 서북부 지역이며 MT는 로키스 지역, CT는 로키스 지역 동쪽의 중부 주들 및 일리노이, 위스컨신, 텍사스, 알라바마, 테네시와 켄터키 일부까지를 포함하며, ET는 그 동쪽 주들부터 대서양 연안주들까지를 포함한다.
또 국토의 균형 발전 면에서도 미국은 아름다운 밸런스를 자랑한다. 남부, 서부, 중/중서부, 동부가 각각 4분의 1(8천만 가량)의 인구를 가지며 4대 도시인 뉴욕(동부), 로스앤젤레스(서부), 시카고(중부), 휴스턴(남부) 역시 적당히 서로 떨어졌다. 미국에서 가장 큰 도시인 뉴욕 대도시권도 미국 인구의 7% 정도만 거주해 인구 분산이 잘 됐으며[30] , 50개 주 중 가장 인구가 많은 캘리포니아(GDP가 프랑스/영국과 비슷하다.)에 미국 인구 8분의 1이 있다. 한국에 대입하면 뉴욕 광역권은 부산광역시와 인천광역시, 캘리포니아는 울산광역시 분리 전 경상남도의 지분을 가진다. 광역권이 아니라 도시 대 도시로 비교하면 뉴욕은 수원시, 로스앤젤레스는 포항시, 시카고는 원주시와 비슷한 수준의 지분이다. 만약 뉴욕 광역권이 서울특별시 정도의 지분을 가지려면 이탈리아와 비슷한 인구와 일본보다 큰 경제 규모[31] 를 가져야 한다.
대신 미국은 중견 도시가 크게 발달했다. 컨설팅 회사인 맥킨지 앤 컴퍼니의 리포트에 의하면 미국은 인구 100만이 넘는 도시권만 56개며 이 중 절대다수가 최소한 베를린이나 파리의 소득 수준을 넘는다. 더군다나 인구가 점점 분산해 2025년까지 인구 100만 이상의 중견 도시 수는 60개에 달할 것이다.
또한 국토가 워낙 광범위하고 주경 간에 중견 이상급의 도시들이 많아서 단순히 주 단위의 행정구역 구분으로는 사실상의 문화 경제권을 구분짓기 어렵다. 따라서, 최근에는 통근 시의 교통량 분석으로 미국의 지리 및 경제권을 분류한다. 아래는 해당 연구에 의해 분석된 지도로 매우 실질적인 경제 문화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운수부에서 위성 사진을 사용하여 "Megaregion"이라는 좀 더 포괄적인 단위로 지역을 구분하였다. 균형잡힌 국토 발전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만 Megaregion에 대한 상세한 범위 지도는 자료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아래 사진은 상당히 포괄적인 구분을 보여준다.

4.2. 해양[편집]
지상의 영토도 거대하지만 미국의 해양 영토도(eez 11,351,000km2) 세계 2위다.
우선 러시아로부터 산 알래스카는 단순한 지상 영토뿐 아니라 미국의 방대한 해양 영토 확보에도 크게 기여했다.
그 외에 태평양, 카리브해 등에도 미국령의 섬이 있다. 하와이, 웨이크 섬, 베이커 섬 등 미국령 군소 제도, 괌, 북마리아나 제도,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푸에르토리코 참조.
4.3. 기후[편집]
국토가 넓은 나라답게 기후 또한 지역마다 매우 다양하다. 서부 태평양 연안의 경우 지중해성 기후이며 시카고를 비롯한 중부 내륙 및 오대호 주변은 일교차와 연교차가 아주 큰 대륙성 기후고 플로리다를 비롯한 남동부 및 멕시코만 연안 지역은 아열대성 온난 습윤 기후며 플로리다 최남단 마이애미의 경우 사바나 기후고 애리조나 주도 피닉스와 같은 서부 내륙 지역은 사막 및 스텝기후와 같은 건조한 기후다. 참고로 뉴욕의 연평균 기온은 서울, 시카고의 연평균 기온은 평양, 로스앤젤레스의 연평균 기온은 시드니와 비슷하다.
또 경도 100도 선이 국토의 정중앙을 통과하는데 이 100도 선을 기준으로 서쪽은 건조 기후, 동쪽은 습윤 기후가 뚜렷하게 갈린다. 그래서 농업 역시 서쪽은 건조 기후에 맞는 목축이나 봄밀 재배를 하고 동쪽은 습윤 기후에 맞는 농사를 짓는다. 인구 밀도 및 도시의 분포 역시 이 100도 선을 기준으로 뚜렷하게 갈린다.
중서부 지역의 네브래스카, 캔자스 등은 평균 기온은 한반도와 비슷하지만 한국보다 대륙성이 강하고 기단의 변화를 심하게 받아 추울 때는 더 춥고 더울 때는 더 덥다. 그래도 강수가 연중 고른 습윤 기후라 강수 패턴이 한국처럼 극단적이지 않다. 본토 최북단 노스다코타주와 미네소타주는 최한월 평균 기온이 북한 자강도 지역과 비슷하며 심할 때는 -40도 이하가 된다. 미 본토에서 가장 기온이 낮은 지역의 동계 평균 기온은 개마고원과 비슷하거나 약간 높다. 서부가 동부나 중부보다 동일 위도, 동일 고도 대비 기온이 높다.
남부 텍사스 남쪽 지역은 1월에도 20도가 넘는다. 하와이주는 1년 내내 여름이다. 알래스카 주는 가장 추운 포르 유콘의 최한월 평균 기온이 -29도로 이는 유럽의 그 어떤 곳보다도 낮으며 아시아에서는 몽골의 올랑검, 중국 헤이룽장성의 북쪽 끝인 모허의 최한월 평균 기온인 -30.9도와 비슷하다.
알래스카는 해안 지역은 생각보다 춥지 않아 일부 지역은 온대기후다. 다만 자주 저기압이라 바람이 강하며 흐린 날이 좀 있다. 애리조나주나 뉴멕시코주의 사막 지역은 여름에 섭씨 50도까지 올라가며 전 세계에서 일조량이 가장 많다. 맑은 날이 정말 많다.
콜로라도는 미국에서 가장 평균 고도가 높고 여름에도 선선하다. 대신 겨울엔 춥다. 버지니아 주는 대략 한국의 남부 지방, 펜실베이니아 주는 한국의 중부 지방, 메인 주의 경우 북한 지역과 기온 분포가 비슷하다. 동남부 해안 지역은 한국의 여름 못지않게 습하며 기온은 한국보다 높아서 불쾌지수가 높다. 루이지애나, 미시시피, 플로리다, 텍사스 남부, 사우스캐롤라이나 이들 주는 여름이 4월부터 10월까지 계속된다.
그러나 국토가 넓어 지리적으로 어울리지 않는 이상 기후를 보이는데 대표적으로 2019년 1월의 강추위는 플로리다와 텍사스, 캘리포니아 남부 지방을 제외하고 전 국토가 체감 온도 영하 40도 이하를 기록하고 때때로 미국의 한 사막 지방은 여름 최고 기온이 56.7도 까지 올라간다. 캘리포니아 주 데스밸리에서 1913년 7월에 기록한 섭씨 56.7도는 전 세계 공식 최고 기온이다.
시카고가 위치한 중서부는 기온 변화가 상당히 심하다. 기단 변화가 잘 일어나 강풍과 함께 한파가 닥친고 폭염이 온고 하는 일이 있다.
자연재해로 피해가 매번 이만저만이 아닌 나라다. 북동부 지역은 겨울마다 소위 '스노마겟돈'이라고 불리는 극심한 폭설과 혹한에 시달리며 뉴욕에 지하철이 깔린 것도 이것이 계기다. 오대호 주변을 포함한 중서부 지역 역시 추위가 실로 어마어마하다. 남동부 지역은 여름마다 허리케인을 두들겨 맞으며 특히 2004년의 허리케인 카트리나로 인한 뉴올리언스의 피해는 미국의 민낯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서부 지역은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해 늘 지진의 위협 속에서 산다. 중부 대평원 지역은 세계적으로도 대기 불안정이 극심한 지리적 요건을 가져[32] 이곳에서 발생하는 슈퍼셀은 아치구름이나 토네이도 등 다른 동네의 소나기나 폭풍 따위와는 비교할 수도 없는 위험성을 자랑하며 간혹 오래가는 것은 동부까지 영향을 미친다.
그래도 세계적으로 기후가 좋으며 중국이나 러시아, 캐나다, 호주보다 국토 면적 대비 기후가 좋다.
그러나 2020년대 이후로 2021년 북아메리카 서부 폭염 등 급속도로 빠른 기후변화로 미국 북서부 지역의 온도가 무려 50도까지 오르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제트기류가 약해져 뜨거운 고기압이 북반구 전체를 돔처럼 덮는 열돔 현상이다. #
5. 인문 환경[편집]
5.1. 인구[편집]

2022년 5월 인구 3억 3,700만으로 중국, 인도에 이어 세계 3위다. 19세기 말부터 1991년 소련 붕괴 전까지 거의 100년 가까이 세계 4위 인구를 유지하였으나 인구 3위 소련의 해체로 순위가 올랐다.[33] 흔히 인구를 국력이라고 하는데 미국은 선진국인데도 인구가 줄고 있는 한국, 일본, 대만, 서유럽과 달리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민자도 많고 저출산도 2000년대까지 없었고 2010년대 출산율이 하락했지만 유럽이나 동아시아 대다수 국가보다 크게 높다. 25년 동안 인구가 6천만 명이 늘었다. 90년대 인구 증가율이 1년에 1% 이상으로 그냥 증가가 아니고 폭발적인 수준이었고 2000년대 이후 히스패닉 이민 규제로 인구 증가율이 감소하지만 꾸준히 증가한다. 1년에 대구광역시급의 대도시 인구를 하나씩 더한다. 그런데 영토는 인구수에 비해 엄청나게 크다. 당장 미국보다 영토 크기가 조금 작은 중국의 인구가 14억이 넘고 미국의 1/3 정도인 인도도 14억 인구를 지탱한다는 걸 생각하면 인구 밀도는 매우 낮다. 자원도 넘쳐나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해도 문제가 없다. 인구가 지금 당장 2배, 아니 4배로 늘어도 먹여 살릴 자원이 있다. 미국 본토 기준으로 한국 수준으로 인구 밀도가 높다면 무려 40억 명 이상이다.[34] 물론 2008년 이후 출산율이 떨어졌지만 그렇다 해도 대부분의 사람이 미국 이민을 희망해 인구는 앞으로도 늘면 늘었지 줄어들지는 않을 전망이다. 그러나 2010년대 이후 미국의 저출산 고령화 문제는 심각하다. 미국 인구는 1938년 이후로는 매년 백만 명 이상의 자연 증가를 기록했으나 2018년부터는 자연증가 인구가 81년 만에 처음으로 백만 명 미만으로 줄고 2020년대 들어 코로나19로 사망 인구까지 급증하며 2021년에는 자연 증가 인구가 불과 200,592명이다. 이민 증가까지 합치면 45만 명이 늘었으나 이것도 최저 수준이다. 2010년대 중반만 하더라도 이민 증가까지 합치면 매년 200만 명이 늘었었다.
인종의 구성은 서서히 바뀐다. 과거엔 미국 인종 주류가 단순히 백인과 흑인이었는데 현재는 히스패닉이 제3의 주류 세력이다. 1990년대까지는 다른 나라와 달리 이민자에게 관대한 정책을 펼쳤으며 급속히 유입된 히스패닉이 아이를 많이 낳았다. 그로 인해서 정치권에서 히스패닉의 눈치를 보는데 일부 정치권에서 히스패닉만 우대하는 정책을 내놓자 이에 반발하는 백인 유권자가 많다. 2000년 이후엔 히스패닉 이민을 규제한다.[35]
유럽인이 오기 전 상당수의 아메리카 원주민이 있었으나 부족 단위로 생활하는 수준였고 제대로 된 나라를 만들진 못한다. 전염병과 학살 등으로 원주민이 급감하고 서유럽인과 캐나다계 미국인이 그 자리를 주로 채운다. 그 후 노예로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들어오고 19세기 중후반부터 남유럽, 동유럽, 아시아 등에서 이민한다. 21세기 들어서 히스패닉, 최근 들어서 아시아계의 유입이 크다.
이민의 경우 이민자의 나라라는 미국답게 선진국, 개발도상국, 최빈국 할 것 없이 전 세계 모든 나라에서 미국으로 이민을 간다. 한국은 과거에 비해 많이 주춤해 공식 이민은 1990년을 마지막으로 끊겼으나 박사 등 고학력자를 위주로 이주를 계속 받는다. 유학을 가서 박사 학위 취득 후에 눌러앉다.[36] 다만 요즘에 한국에서 이들을 좋은 직위로 불러 대학교수 등이 역이민을 택한다. 특히 미국에서 유일하게 외국인에게 취업을 오픈하는 IT업계는 종사자가 지금도 미국으로 많이 간다. 그리고 이탈리아나 스페인, 포르투갈 같은 남유럽 후발 선진국도 미국 이민을 원한다.
후진국 내지 개발도상국 말할 것도 없다. 인도, 중국, 필리핀, 라틴아메리카, 중동에서 지금도 수많은 이민을 한다. 특히 같은 아메리카 대륙인 중남미 출신은 타 지역 출신을 압도하고 메이저 소수민족이 돼 사실상 미국 주류에 편입한다. 스페인어는 원래부터 루이지애나 및 텍사스 확보 후 이 지역에서 공용어였으나 현재는 대도시는 적어도 전부 다 제2언어화됐다. 뉴욕 지하철의 안내 방송도 미국식 영어 다음이 스페인어고 유튜브 광고도 스페인어 광고가 많다. 배너도 스페인어라 여기가 미국인지 남미인지 헷갈린다.
다만 미국은 건국 이래 단 한 번도 인구의 15% 이상이 1세대 이민자로 이루어진 적 없다. 2022년 현재도 독일 등 유럽 국가에 비해 이민자 비율이 낮다. 생각보다 적은데 이는 이주해 들어온 사람이 몇 세대에 걸쳐 높은 출산율로 아이를 많이 낳아서다. 예로 아프리카에서 온 흑인의 숫자는 400만 정도지만 오늘날엔 4천만을 넘는다. 세계인구를 감안할 때 미국은 높은 출산율에 이민 등의 이유로 인구가 더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현 추세라면 2050년에 4억 명을 넘는다.[37] 서구 선진국 중 인구가 느는 곳은 미국과 캐나다, 영국, 프랑스, 그리고 호주 및 뉴질랜드 정돈데 다들 이민을 받아들이는 곳이다. 가톨릭을 믿는 히스패닉이 열심히 낳고 친족을 남미에서 미국으로 끌어들인다. 다만 미국은 유럽이나 동아시아에서 흔히 발견하는 인식 문제가 상류층을 제외하면 거의 없다. 고졸까지 제대로 키워줬으면 당연히 성인이 돼 독립한다.
다만 미국도 취업난과 주택난이 심각해지면서 자식이 도덕적인 문제나 개인의 잘못, 가정 불화, 가정폭력 등으로 인한 문제가 없으면 가정에서 자녀를 성인이 되자마자 바로 독립시키는 일은 드물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바로 독립하는 문화는 2차대전 이후 도시 외곽의 개발을 해 값싼 집값에 매력을 느낀 미국인이 대도시를 떠나 이사하면서 생긴 거다. 집값이 많이 오르고 도심 거주 인구가 다시 늘어나는 21세기에는 현실적으로 더 이상 맞지 않는다.
다음 표에서 '증감'은 전 항목과 대비한 증감이며, '연평균 증감'은 1년 단위로 평균화한 것이다.
성비는 0.97 수준으로 여초다. 태어날 때는 1.048:1로 정상 성비며 15-64세는 1로 균형이 맞고 65세 이상은 0.75로 급감한다.
5.1.1. 출산율[편집]
5.1.2. 저출산 고령화 문제[편집]
2000년대까지는 출산율도 2명 이상이고 노인 인구 비율도 크게 증가하지 않아 다른 선진국과 비교해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없었으나 2010년대 이후 미국도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어느 정도 우려할 수준이 되었다.
2000년대 말 세계금융위기 이후 출산율이 줄어 2010년대 중반 경제가 완전히 살아나 경제 호황기가 됐는데 출산율은 반등하지 않고 계속 감소해 2018년에는 역사상 최저 수준인 1.7명이다.(1.728명) 2020년에는 더 낮아 1.64명이다. 출산율이 2명대 후반으로 매우 높던 히스패닉의 출산율이 2000년→2018년 2.73명→1.96명으로 급감하고 백인과 흑인의 출산율도 2000년→2018년 각각 1.87명→1.64명, 2.18명→1.79명으로 감소한다. 마찬가지로 아시아-태평양계는 1.89명→1.53명, 가장 낮은 원주민은 1.77명→0.85명으로 폭락한다.(단 2016년 이후 통계에 히스패닉계 원주민을 제외했다.)
고령화 문제도 심각해지고 있다. 2010년대 초부터 베이비붐 세대가 65세 이상이 돼 노인 인구 비율이 폭등한다. 2014년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4% 이상이 돼 고령사회다. 베이비붐 세대의 미국인이 워낙 많고 베이비붐 세대는 부모 세대보다 출산율이 크게 낮아 2명 미만이라 2020년대에도 노인 인구 비율은 가파르게 증가할 것이다. 미 연방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2050년에는 인구 4억 명 중 1억 명이 노인이다.[38] (연합뉴스).
사실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크지 않아 보이던 2009년 전에도 히스패닉을 제외하면 미국의 저출산 고령화 문제는 심했다.[39] 2016년부터 히스패닉을 제외한 순수 미국 백인의 인구는 199,100,000명으로 정점을 찍고 준다. 미국 인구가 1990년대, 2000년대 많이 증가하지만 히스패닉의 이민과 높은 출산율 덕이고 사실 히스패닉을 제외한 순수 백인 인구는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게다가 9.11 테러 이후 불법/합법을 막론하고 이민의 장벽이 높고 2016년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며 반이민정책을 펼치는데 그로 인해 이민의 장벽이 한층 더 높아졌다. 적절한 인구 유입으로 기득권층의 고령화와 그로 인한 양분화의 부작용을 억제해야 하는데 균형이 깨졌다. 아이러니하게 어느 정도 여유 있는 소위 중산층 이상일수록 아이를 아예 안 가지고 혹은 하나나 둘, 많아야 셋 낳아 고령화를 피할 수 없다. 빈민층 이민자를 아메리칸 드림으로 끌어들여 부족한 노동 인구를 충당하는 경제 구조가 빡세진 이민 정책과 경제 위기가 겹쳐 흔들렸다.[40] 히스패닉의 평균 연령은 20대지만 유럽계 백인의 평균 연령은 40대 중반이다. 미국의 유럽계 백인은 이미 초고령사회다. 미국 백인이 출산율이 낮고 고령화돼 있어 매년 미국에서 태어나는 신생아 중 백인은 50% 미만이지만 사망자의 80% 이상이라 백인이 감소한다.
다만 미국 전체 기준으론 얘기가 다른데 태어나던 사람이 꾸준히 감소하는 게 아니라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들인 Y세대가 바로 윗세대인 X세대보다 많아 다시 한번 더 인구 구조를 역전한다. 즉 미국은 고령화로 엄청난 위기에 봉착한 다른 나라에 비해 위험 요소가 훨씬 적다. 또 이민이 엄청나게 많다는 것도 중요하다. 당장 경제 규모가 큰 G7 브릭스 국가 중 개발도상국 인도, 브라질 말고는 중위 연령이 가장 젊다. 중국도 아직은 좀 젊지만 고령화 속도가 엄청나게 빠른데 특히 G7 국가는 예외없이 전부 미국보다 늙었다. #[41] 하지만 주로 이민 오는 중남미계 히스패닉 사람들이 젊은 층을 많이 이뤄 인종차별과 갈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대로 미국 유럽계 백인의 수는 2016년부터 자연 감소하고 그 빈자리를 이민자와 그의 자녀가 채워 2050년 순수 백인의 비중은 과반 밑으로 내려가 40% 초반대가 된다. 단순히 숫자로 미국 백인이 역사상 최초로 주류에서 밀려난다.[42] 사실 미국뿐 아니라 유럽의 상당수 나라 역시 무슬림이 인구의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게 될 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여러 선진국이 공통적으로 직면하는 상황이다.
5.2. 인종[편집]
미국은 인종의 용광로인 만큼 정말 다양한 인종이 섞였다.
2022년 미국의 인종 비율은 (유럽계) 미국 백인 57.8%, (중남미계) 히스패닉 18.7%, (아프리카계) 미국 흑인 12.1%, 그리고 아시아계 미국인 5.9%, 아메리카 원주민 0.7%다.
언뜻 보면 백인 비율이 생각보다 낮지만 총 인구 3억 3,500만 명 중 57.8%면 약 2억 명이 백인이다. 백인이 가장 많은 나라가 미국이다. 여기에 히스패닉계 백인을 포함하면 그 비중은 더 높다. 2010년 72%. 2020년 71%다. 또한 이 통계는 개인의 정체성 통계라 흑백혼혈이어도 자신을 흑인이라 생각하면 흑인이다. 그나마 이것도 백인 비중이 많이 내려간 거다. 20세기 후반까지는 히스패닉을 빼고도 70~80%가 백인이었다.

주에 따라서 인종 비율이 심하게 바뀐다. 대체로 백인 인구는 북동부에 흑인 인구는 남부에 많다, 예를 들어 남부의 미시시피 주와 조지아 주의 30%가 흑인이다. 남북 전쟁 전에는 일손이던 흑인이 농장주인 백인보다 훨씬 더 많았는데 전쟁 후 북부의 공업 지대로 대거 이주해 흑인이 많이 줄었다. 북부로 갈수록 백인 비율이 높은데 미네소타는 총 인구의 90%가 백인이며 뉴햄프셔 같은 동북부 주는 백인 비율이 95%가 넘는다.
히스패닉은 서부와 남부 그리고 쿠바계가 많은 플로리다 및 뉴욕에 집중한다. 캘리포니아와 뉴멕시코는 히스패닉이 이미 총 인구의 30% 이상이며 텍사스와 애리조나도 같은 전철을 밟고 있다. 참고로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텍사스, 루이지애나 남단과 뉴멕시코의 스페인 혈통 주민의 역사는 1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동양계 이민자는 서부에 집중하나 동부에도 많이 있다. 하와이는 동양인이 유일하게 제일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약 40%) 본토는 캘리포니아의 약 15%가 동양인이다. 캘리포니아에만 250만 명의 한인이 살고 동부에도 30만 명이 넘는 한국인이 산다. 그 외에도 같은 서부인 오리건과 워싱턴에도 동양인이 많이 살고 남부 대도시와 뉴욕에도 많이 산다.
출신 국가의 다양성을 촉진하기 위해 1995년 회계 연도에 55,000명 규모의 Diversity Immigrant Visa program을 도입한다. 이 중 5,000명은 중앙 아메리카 및 구소련 출신자에게 돌아가고(NACARA) 나머지 50,000명을 가지고 다른 지역 출신자가 경쟁한다. 도입 취지대로 지난 5년간 총 50,000명 이상의 이민자를 미국으로 보낸 국가는 추첨에서 제외돼 한국이나 캐나다 등을 포함한 13개국은 단 한 번도 상기 프로그램에 포함된 적 없다. 다만 비자 당첨률 자체가 엄청나게 낮아 일반 미국 이민 희망자와는 별 연관이 없다. 2021년 2,320만명이 신청했는데 단순하게 계산해도 경쟁률이 무려 422:1, 확률로는 0.237%이다. 괜히 로또가 아니다.
2012년 오바마의 재선을 계기로 민주당의 주도로 이민 문턱을 낮추려 이민법을 개정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결국 양당 간 다툼으로 별 개혁은 없었다. 대표적인 예로 가족 초청 이민을 영영 없애고 현재 밀려 있는 모든 가족 초청 이민 대기자를 미국으로 들이는 거다. 참고로 가족 초청 이민은 시민권자의 형제 자매 초청을 기준으로 신청 후 약 13년을 소요한다. 그리고 가족 이민 신청자의 대부분은 중남미, 아시아, 아프리카에 위치한 개발도상국 출신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들은 대부분이 막노동, 이른바 '3D' 업종에 종사해 관련 업체가 귀한 몸으로 취급한다. 당장 이들을 제한해 받지 않으면 대표적인 3D 업종인 건설업, 식당, 요식업, 제조업에 타격이 크다. 즉 미국의 입장에선 이들이 산업 유지에 중요한 노동력이다.
그러나 이같은 오바마의 노력은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고 반이민 정책을 추진해 물거품이 됐다.[43]
5.3. 언어[편집]
사실 미국은 공식적으로 연방 차원의 공용어가 없다. 그러나 사실상 영어(미국식 영어)를 연방 공용어로 쓰며 대부분의 미국 국민도 전체 국민의 78% 비율로 영어가 모어다.
미국에서도 연방 차원에서든 주 차원에서든 공용어를 영어로 규정하려는 움직임은 존재하며 이를 싸잡아 English-only movement라 한다. 미국의 공용어 떡밥은 건국 초기부터 있었던 거라서 영어 외의 다른 언어를 쓰던 이민자가 몰려들기 시작한 1750년대부터 펜실베이니아 등지에서는 영어 말고도 독일어를 병기해달라는 요구가 있었고 이에 대해 영어 구사자가 강력히 반발했다. 몇몇 주에서는 공적 언어와 교육 언어로 영어만 쓸 수 있게 하는 법안을 제정하고 루이지애나, 캘리포니아 등지에서는 주 헌법에 각각 프랑스어, 스페인어를 영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하나 나중에 개헌으로 폐기하는 등 주마다 공용어 떡밥에는 여러 우여곡절이 있었다. 연방 차원에서도 영어를 유일 공용어로 지정하자는 움직임이 있고 여러 정치인이 법안을 냈지만 통과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이러한 움직임이 미국의 다양성을 해친다며 반발하는 사람이 많아서다. 그렇지만 미서전쟁, 세계대전 등 타국과의 전쟁 중에는 애국 분위기와 외국계 이민자에 대한 의심 혹은 견제 등으로 전 미국에 영어 상용 분위기를 강요한 적은 여러 번 있고 이 때마다 미국의 언어 다양성도 크게 위축했다.
아무튼 이렇게 우여곡절을 거쳐 31개 주[44] 에 영어가 공용어다.
- 주 차원의 법적 공용어가 없는 주[45] : 코네티컷, 델라웨어, 루이지애나, 메인, 메릴랜드, 미시간, 미네소타, 네바다, 뉴저지, 뉴멕시코, 뉴욕, 오하이오, 오리건, 펜실베이니아, 로드아일랜드, 텍사스, 버몬트, 워싱턴, 위스콘신
- 영어 이외의 다른 언어도 공용어인 주
- 하와이: 영어, 하와이어
- 알래스카: 영어, 이누피아툰(이누피아크어)(Inupiaq), 시베리아 유픽어(Siberian Yupik),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Central Alaskan Yup'ik), 알루티크어(Alutiiq), 알류트어(Unangax), 데나이아어(Dena'ina), 덱히나그어(Deg Xinag), 홀리카축어(Holikachuk), 코유콘어(Koyukon), 상부 쿠스코큄어(Upper Kuskokwim), 그위친어(Gwich'in), 타나나어(Tanana), 상부 타나나어(Upper Tanana), 타나크로스어(Tanacross), 한어(Hän), 아트나어(Ahtna), 에야크어(Eyak), 틀링깃어(Tlingit), 하이다어(Haida), 침샨어(Tsimshian)[46]
- 워싱턴 D.C. 역시 도시 차원의 법적 공용어가 없다.
국외 영토에서는 본토와 달리 영어가 법적으로도 공용어다. 그 외에도 미국령 사모아에서는 사모아어, 괌에서는 차모로어, 북마리아나 제도에서는 차모로어와 캐롤라인어, 푸에르토리코에서는 스페인어가 공용어다.
영어 다음으로 많이 쓰는 언어는 스페인어며 미국에서 폭넓게 사용하고 교육 과정에서도 많이 가르친다. 미국 내 스페인어 화자 수가 늘어나는 이유는 스페인계 미국인 때문이라기보다는 현실적으로 미국 인구의 20% 정도를 차지하는 히스패닉, 특히 주로 멕시코를 통해서 올라오는 중앙아메리카국가에서 올라오는 이주민들 때문이다. 지리적 특성상 위는 똑같이 영어를 쓰는 캐나다지만 아래는 스페인어를 쓰는 멕시코라 미국 내에서 의외로 스페인어가 잘 통하고 자주 쓴다. 스페인어만 알고 영어를 몰라도 어느 정도 기본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스페인어를 모어로 쓰는 히스패닉 이민자의 증가로 영어를 제외하고 미국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언어다. 2022년 미국 통계청에 따르면 전 인구의 12.9%가 집에서 스페인어를 사용한다. 멕시코와 가까운 서남부로 내려가면 스페인어를 할 줄 아는 사람이 점점 많아지며 이쯤이면 가벼운 쇼핑이나 잡무 처리할 때 영어 한 번 안 쓰고 처리한다. 예로 미국의 경찰관이 히스패닉을 잡고 질문을 던질 때 이해 못 하면 방금 전까지 영어를 하던 입에서 스페인어가 와르르 나온다. 본인도 히스패닉이거나 고등학교 때 잘 배운 거다. 가끔 가다 "미국(America)에 왔으면 미국어(American)를 써야지!" 라고 하는데 이때 "당신이 쓰고 있는 건 미국어가 아니라 영어(not American but English)잖아..."로 받아친다.
그 외에 프랑스어가 루이지애나에서 특수 지위를 누리고 영어와 함께 쓴다. 미국 내에도 프랑스어를 쓰는 공동체가 루이지애나 주 외에 메인 주 등 일부 지역에 있다. 이런 공동체의 경우 루이지애나 프랑스어, 미주리 프랑스어 등 프랑스 본토의 표준 프랑스어와는 다른 방언을 쓴다. 그러다 보니 프랑스 본토의 프랑스어와는 차이점이 매우 크다.# 그러나 스페인어와 달리 프랑스어가 제1언어인 인구수는 별로 없다. 그 외에 과거 프랑스어가 유럽의 공용어 지위를 누린 것에 영향을 받아 전국적으로 프랑스어 교육도 활발히 하는데 히스패닉이 많아지기 전까지 미국에서 가장 널리 배우는 외국어는 프랑스어였다.
특히 미국에서는 프랑스어와 스페인어 간의 신분 차별의식이 있는데 프랑스어나 스페인어나 똑같이 비즈니스 목적으로 배우지만 서민층은 일상에서 중남미계 히스패닉과 접할 일이 많아 스페인어를 배우는 게 프랑스어를 배우는 것보다 훨씬 도움이 되고 상류층은 히스패닉과 잘 엮이지 않고 국제 외교에서는 스페인어보다 프랑스어가 더 유용해 미국을 떠나 해외 진출을 하려면 스페인어보다 프랑스어가 훨씬 유리하다. 또 프랑스 밖에서 프랑스 문화는 대중문화보다 상류층 문화에서 더 강세를 보이는데 미국 상류층이 향유하는 문화가 프랑스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 프랑스어를 안다면 같은 상류층 사이에서 소통을 돕는다.
이 때문에 미국 내에서 프랑스어는 상류층, 엘리트 언어라는 인식이 강하다. 미국에서 최상위권 대학 출신이라면 프랑스어를 어느 정도는 알아듣고 심슨 가족의 한 에피소드에서도 리사 심슨이 부자 동네에 있는 명문 학교에서 학교의 문제아도 프랑스어를 배우고 있는 걸 보자 놀라며 부러워한다.
반대로 이러한 '엘리트' 언어라는 인식 때문에 프랑스어를 할 줄 아는 엘리트는 '지적인 척 구는 위선자'라고 낙인 찍혀 공격 소재로 쓴다.# 특히 선거철에 이 현상이 더욱 심한데 미국 사회에 뿌리 깊게 퍼져 있는 영어 단일언어주의까지 겹쳐 프랑스어, 나아가 다른 외국어를 사용하는 후보에 미국 유권자는 썩 호의적이지 않다. 일례로 2004년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로 나온 존 케리는 어린 시절 스위스에서 배운 프랑스어를 매우 유창하게 구사하는데 선거운동 기간 내내 공화당은 케리를 향해 서민을 모르는 귀족 프레임을 씌워 공격한다. 케리가 스스로 자신의 프랑스어에 대해 언급하지도 않았다. 2012년 미국 대선에서는 반대로 민주당이 공화당을 프랑스어 엘리트 프레임으로 공격하는데 공화당 후보로 나온 밋 롬니가 젊은 시절 몰몬교 프랑스 선교를 위해 프랑스어를 배운 적이 있는 것을 약점 잡아서 롬니가 프랑스어를 구사하는 영상을 가지고 롬니가 서민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엘리트라고 공격했다. 마찬가지로 롬니가 스스로 자신의 프랑스어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그 외에도 이주민에 따라 독일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폴란드어, 표준중국어, 한국어, 일본어, 광동어, 민남어, 베트남어, 아랍어 등도 쓰며 이들 언어 중 중요 언어는 교육과정에서 가르친다.
미국도 원주민이 살아 체로키어, 나바호어 등 일부 원주민의 언어가 각 원주민 자치 구역을 중심으로 널리 쓰이고 일부는 그 지역의 공용어지만 전국적으로는 극히 소수다. 일부 원주민의 언어는 사어다.
하와이에서 하와이 원주민이 살아 하와이어가 주 공용어고 대학에서도 필수로 가르치지만 제 1언어로 사용하는 사람은 드물고 명맥만 잇는다.
2018년 미국에서 스페인어를 사용했다는 이유로 스페인어 사용자들이 피해를 당했다. #[47] 결국 스페인어를 썼다고 구금당한 2명은 소송을 걸었다.# 그리고 텍사스 주 휴스턴 카운티에서 고위 공직자가 법관이 스페인어를 쓴다고 비판하자 사과했다.#
미국 내에서는 최근 들어 다른 언어의 사용이 늘어나는데 한국어 사용자가 준다.# 단 한국어 수강자의 수는 늘었다.# 한국어는 미국에서 많이 쓰이는 외국어 7위다.#
5.4. 종교[편집]

2014년 통계에 따르면, 미국인들의 70.6%가 기독교를 믿으며 그 중 개신교 신자가 약 46.5%고 가톨릭 신자가 약 20.8%다. 무신론자/불가지론자 또는 특정 종교가 없다고 답한 비율은 22.8%고 그 외에 유대교 신자가 1.9%며 이슬람이 0.9%, 불교 신자가 0.7%, 힌두교 신자가 0.7%다. 그러나 개신교를 하나로 묶지 않고 교단별로 나눌 시 종교 인구로는 가톨릭이 1위고 그 뒤를 남침례회, 감리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그리스도의 교회, 침례회, 루터교회, 장로회, 오순절교회 등이 따른다. 미국은 보통 다른 선진국에 비해 종교적인 색채가 많이 남아 있는데 통계에서 보듯 사실이나 지역마다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불자나 무슬림은 아시아 이민자를 중심으로 있다.[48]
가톨릭은 라티노 및 이탈리아계&아일랜드계 등의 증가로 단일 교단 중에서는 최대의 교세이며 특히 뉴욕주, 메사추세츠 등 일부 주와 뉴욕, 보스턴 등의 일부 도시권에서 교세가 전체 개신교를 앞질렀다. 대략적으로 동북쪽이나[49] 서남쪽에서[50] 교세가 강하다.
정교회는 미국에 “미국 정교회”라고 부를 만한 단일한 독립 정교회는 없고 저마다 예배 언어나 문화적 배경이 다른 정교회 공동체들이 개별적으로 있다. 이 점은 유럽과 중동에서 건너온 오리엔트 정교회나 동방 가톨릭 교회도 같다. 현재 미국에는 각자 러시아 정교회[51] , 안티오키아 정교회[52] , 그리스 정교회, 알바니아 정교회, 불가리아 정교회, 루마니아 정교회, 우크라이나 정교회, 세르비아 정교회 등을 어머니 교회로 하는 정교회 공동체가 어머니 교회로부터 “모든 자치권”을 얻은 독립 교회(autocephalous church)와 “거의 모든 자치권”을 얻은 자치 교회(autonomous church)로 있다. 그리스 정교회 미국 대교구는 현재 콘스탄티노플 세계 총대주교청에 속한 하나의 교구에 불과하다. 이 같은 상황은 미국 내 단일 정교회 결성을 가로막는 주요 장애 요인의 하나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미국 내 정교회 성당의 주요 역할이 한인 교회와 같은 맥락에서 동유럽, 중동 출신 이민자 커뮤니티 사회에서 향수병을 달래주고 적응을 돕는 역할인데 굳이 억지로 미국 정교회라고 합쳐봤자 냉담자만 늘어난다.
미국도 기독교 교세는 주로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쇠퇴한다. 교회가 망해 팔려서 술집이 되거나 한다. 하지만 남동부 주는 아직도 굳건하다. 소위 바이블벨트(Bible Belt) 지역이라고 불리는 남부 지역은 타 지역에 비해 굉장히 개신교, 특히 침례교적 종교성이 짙으며 사회적, 정치적으로도 보수적이다.
반면 서부 지역이나 동부 지역은 종교적 면이 상당히 옅고 종교가 없는 세속화된 무종교인이 많다. 요즘 북쪽의 대도시 지역에서 종교인이 줄고 도시 인구의 약 40~50%는 무종교인이다. 가장 비종교적인 미국의 도시는 포틀랜드며 인구의 약 70%가 무종교인이다. 2022년 기준으로 미국의 무종교인은 무려 6,200만 명이며 전 세계에서 중국, 일본에 이은 3위다.
유럽이나 영연방 나라, 남미 나라와 달리 부활절에 큰 의미를 안 둔다. 호주와 캐나다 등지에서는 부활절이 공휴일이고 사람들끼리 "Happy Easter!"라고 인사를 나누는데 미국에서는 공휴일이 아니고 사회에서는 해당 인사말을 나누지 않는다. 물론 부활절은 어차피 항상 일요일이기 때문에 주식시장은 당연히 휴장한다. 그리고 부활절이랑 엇비슷한 시기에 봄방학을 하고 주 별로, 학교별로 날짜가 각자 다르지만 대부분 일주일을 쉰다.
현재 백인의 개신교세는 쇠퇴하는 반면 중남미 이민자의 가톨릭 교세나 서아시아나 아프리카 이민자의 이슬람 교세는 급증하는 양상을 보여 유럽과 비슷한 분포다. 특히 남아메리카나 중앙아메리카 본토가 오순절교회 등 복음주의 개신교가 유행하기 시작하는 것과 달리 미국은 주류가 아직도 굳건한 가톨릭 국가인 멕시코나 푸에르토리코계라 그런지 가톨릭이 폭발적으로 는다.
5.5. 교통[편집]

5.5.1. 운전[편집]

5.6. 천조국의 기상[편집]
미국이 주도하는 세계 질서, 그것을 거역할 순 없습니다.
Americans are very lucky people. They are bordered to the North and South by weak neighbors and to the East and West by fish.
미국인은 매우 운이 좋다. 북쪽과 남쪽에 약한 이웃이 있고 동쪽과 서쪽에 물고기가 있다.
책 《세기의 다툼》 제4장 중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미국에 관한 농담
God always looks after the fools and — and the United States.
신은 항상 바보들과...미국을 보살피죠.
만약 현재 전 세계의 인구가 평균적인 미국인처럼 소비하면 지구가 세 개는 필요하다.
이어 하교하기를,
“미국의 부강함은 천하 제일이라 하는데, 경이 지금 눈으로 보니 과연 그러하던가?”
하니, 민영익이 아뢰기를,
“그 나라는 곡식을 생산하는 땅이 많고 사람들이 모두 실제에 힘씁니다. 그래서 상무(商務)가 가장 왕성하니, 다른 나라와는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하였다.
미국에서는 뭐든 크고 넉넉하다 못해 넘쳐흐르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들어. 집도 크고, 길도 넓고, 차도 크고 식당에서 주는 음식도 혼자서는 다 먹기 어려울 만큼 푸짐해. 우리나라 식당 1인분은 적게 먹는 사람을 기준으로 했는지 불고기의 경우 적어도 2~3인분은 먹어야 배가 부른 데 비해 미국에서는 덩치가 큰 사람이 배불리 먹을 수 있는 양을 1인분의 기준으로 삼아서 불고기 1인분을 주문하면 다 먹지 못하고 나머지를 싸 가야 할 정도야. 가게마다 상품이 넘치도록 쌓여 손님을 기다리고 기름값은 우리나라의 절반 수준이니 큰 차를 마음껏 굴릴 수 있는 나라가 미국이지.[54]
- 먼나라 이웃나라 10권 미국 1 - 미국인 편
私たちは真珠湾を空襲して6ヵ月間は勝利ができるだろう。 しかし、それ以降は断言できない。もしかすると、私たちは、眠れる獅子を触ったのではないだろうか。
우리는 진주만을 공습하고 6개월 동안은 승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이후로는 장담할 수 없다. 어쩌면 우리는 잠자는 사자를 건드린 것은 아닐까.
미국과 함께 산다는 것은 코끼리와 함께 침대 속에 들어가는 것과 같다. 코끼리가 코를 골거나 한 번 엎치락뒤치락할 때마다 우리는 잠을 설치게 된다.
— 피에르 트뤼도
미국은 말 그대로 천조국의 위상을 보여준다. 진짜 대륙의 기상이라는 건 사실 이 나라를 말한다. 드넓은 영토와 영해, 3억을 넘어 4억을 향해 가는 세계 3위의 인구, 그리고 그들을 전부 부양할 수 있는 경제력의 수혜를 받아 거대한 물량을 자랑한다. 중국이 건축, 토목공사 같은 조금 더 고전적이고 외적인 면에서만 주로 대륙의 기상을 보여준다면, 미국의 대륙적인 기상은 하드 파워, 소프트 파워를 가리지 않고 전 세계 곳곳에 녹아들었다. 이때문에 국내에서는 미국을 '방장 사기맵', '치트키 국가'라고 부르기도 한다.
모든 것이 거대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땅도 크고 자원도 많고 회사도 크고[55] 차도 크고[56][57] 도로도 넓고[58] 집도 크고 정원도 크고 공원도 크고[59] 심지어 식당에서 음식도 굉장히 많이 준다.[60] 게다가 뉴욕이나 시카고, 로스앤젤레스[61] 초고층 빌딩 건설을 규제해 왔다. 뉴욕 같은 수많은 대도시에는 엄청난 높이의 마천루가 대놓고 빼곡하게 숲을 이루는데, 더 놀라운 건 1900년대 초부터 이랬기에 당시 뉴욕 시의 모습이 담긴 매체 자료를 보면 지금과 비교해 봐도 손색이 없다.
여러모로 지리적 입지가 초강대국이 되라고 신의 축복을 받은 듯한 국가이기도 하다. 안보 측면에서 러시아나 중국과 입지를 비교하는 얘기가 종종 나오기도 하는데 '동쪽에 물고기, 서쪽에도 물고기, 북쪽은 말 그대로 같은 동족이나 마찬가지인[64] 최우방국 캐나다, 남쪽은 더 약하고 미국에 사실상 종속된 멕시코[65] 로 대치하고 있는 적성 국가가 없다. 기나긴 육상 국경에 걸쳐 주변 가상 적국을 견제하기 바쁜 러시아, 중국과 비교하면 사실상 모든 군사력을 국외에 투사할 수 있는 천혜의 입지 조건. 특히 국외 군사력 투입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소위 '뒤통수 맞을 가능성' 이 거의 없다는 것이 미군이 해외에 주둔할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다. 육로로 미국 본토를 타격하는 방법은 캐나다와 멕시코를 통하는 방법뿐인데, 앞서 언급된 대로 이 두 나라는 사실상 미국의 우방이다. 즉, 미국의 해군과 공군보다 압도적인 전력을 가진 해군과 공군이 아닌 이상 미 본토를 뒤통수칠 방법은 없다[66] .
그런데 개척 초기에는 영국 본토에서 온 권력자들은 개발 안 된 이 땅을 보고 살기 안 좋은 곳이라고 깠다. 남서부 지역이 사막 기후에 가깝다는 점[67] 을 빼면 사람이 살기에 좋은 풍토에 농업 생산량도 좋은 땅이 많고[68] 각종 자원도 많아서 금이나 철광, 탄광도 많고 석유도 나오는 데다[69] 우라늄까지 나오는 자원 채취력까지 사기 규모인 국가다.
또한 역사적으로 중요한 바다 접근성에서도 압도적이다. 배타적 경제수역 면적 세계 2위에 태평양과 대서양에 활짝 열린 엄청난 해안선을 갖고 있다. 경쟁국인 러시아나 중국의 경우 몇몇 전략 지점(해협, 섬)이 막히면 대양 접근성이 크게 떨어진다.[70] 이제는 대수층이 발견되어 물 부족도 해결될 전망이다.# 다만 초기 열악하다고 지적받은 입지 조건을 개척 정신이라는 모토 아래 하나하나씩 제거하여 지금의 상황을 만든 나라이기도 하다.
농업에서도 거의 타의 불종에 가까운데, GMO 탄생도 연관이 깊은데 1950년대에 모노컬처라는 것이 등장하는데 예를 들어 사막에 물을 끌어들여 한 가지 작물을 심었는데 작물이 그래도 망가지자 작물을 오래 재배하기 위해서 생각한 것이 바로 GMO이다.
그리고 석유가 미국에서 굉장히 많이 난다. 2018년에는 생산량이 세계 1위가 되었다. 과거에는 알래스카 주와 멕시코만 일대의 석유로 먹고 살았지만, 셰일가스의 발전으로 지금은 본토 전역에 걸쳐 석유가 생산된다. 지금까지 발견된 것만으로도 100년 이상은 충분히 쓰고도 남을 양인데, 더 무서운건 아직 제대로 탐사하지 않은 지역도 많다는 데 있다.[71] 그나마 지진이나 화산 활동이 비교적 활발한 편[72] . 지진도 캘리포니아와 알래스카 남부-알류산 열도를 제외하면 거의 없고, 중남부에 토네이도 앨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차감 요인이지만 땅덩이가 큰 나라치고 그런 문제 없는 나라도 드물고 동부 지역은 저런 문제에선 어느 정도 자유로운 편이다. 굳이 따지자면 남동부 지역은 허리케인, 북부 지역은 폭설이 고민거리이긴 한데, 중위도 지방에서 그런 거 안 겪는 나라는 어차피 별로 없다.
여기에 미국에 처음 이민 온 세대들도 스케일이 비범해서, 13개 주로 시작한 당시부터 땅 크기만 이미 서유럽에 버금가는 준대륙급의 크기였는데 서쪽의 애팔래치아 산맥을 넘어 계속 개척하려고 했다. 사람도 그 시절치고는 꽤 많아서, 독립 직후 기준으로도 이미 잉글랜드 본토(700만)와 별 차이 없는 인구(500만)를 가지고 있었다. 건국 시절부터 미국인들은 이미 아메리칸 스케일을 보여주고 있었던 거다. 이 때문에 미국은 초기에 텍사스를 차지하고자 멕시코와 전쟁을 벌이기도 하고, 알래스카와 루이지애나를 먹기 위해 러시아, 프랑스에게 헐값에 땅을 사들이기도 하고,[73] 아메리카 원주민들을 미시시피강 서쪽으로 쫓아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원주민들을 탄압하는 등 그야말로 자국 영토를 태평양에 닿게 하기 위해 미친 듯이 노력했다. 서부 개척 시대가 바로 이 시기를 말하며, 지금까지도 미국인의 기본 정신인 개척 정신의 형태로 남아 있다.
이렇게 동부 해안가에 기본적인 인프라가 깔린 상태에서 조금만 더 서쪽으로 나가면 자원도 풍부하고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로 빈 땅들이 넘쳐났기 때문에 유럽에서는 기존 체제에 절망한 이민자들이 유럽과 가까운 아메리카 대륙으로 몰려들어 미국의 인구 수는 독립 후 수십 년 만에 폭등하기 시작했다. 50년 만인 19세기 초중반에 이미 본국인 브리튼섬의 인구를 넘어섰고, 이후 남북전쟁 시기가 되면 북부 지방의 공업의 발달과 땅을 거의 헐값에 주는 개척 정책에 힘입어 대부분의 영토가 개척되었다. 물론 이런 지역들은 대부분 개발이 안 되어 있어서 척박하고 치안도 기대하기 어려웠지만 "거의 헐값에 땅을 준다는데 그게 무슨 상관이야?" 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실제로 지금도 미국에는 도심지에서나 빼곡히 모여서 살고, 시골에는 땅이 텅텅 비어 있다.
그 결과 1870년경에 영국을 비롯한 모든 유럽 열강을 가뿐히 제쳐버리고 경제 규모 세계 1위를 달성했고, 1900년경에는 당시 세계 2, 3위였던 영국과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열강 여러 개를 합친 것보다도 더 막강한 경제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2차 대전이 끝난 1950년대에는 서유럽 전체의 경제 규모를 넘게 되어 이 놀라운 생산력을 바탕으로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최강대국의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냉전 시기에는 독소전쟁의 후유증으로 경제적으로 만년 2위였던 소련과 달리 전쟁 후 혼자서 경제 위기로 피폐해진 서유럽을 지원할 정도로 국력의 차이는 이미 넘사벽이었다.[74]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게 아이젠하워 대통령 시절로 이 시기 국방 예산의 증액에 대규모의 제재가 들어갔는데, 그랬음에도 소련이 따라잡기가 버거울 정도로 엄청난 국방비였다고 한다. 이미 미국은 두 차례의 세계 대전 동안 수많은 무기를 수출했으며, 직접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기 때문에 군수 산업 분야에선 가장 뛰어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거기다가 본토가 전혀 피해를 입지 않아서 무기를 넘치도록 생산해 낼 수 있는 자본이 그득하니 본토 수복에 바빴던 소련이 미국의 국력을 따라잡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 당연했다. 국력의 차가 이 정도니 애초에 냉전에서 ICBM, SLBM이라도 없었으면 소련이 이길 가능성은 없었던 것이다.
국방비 자체는 소련이 더 많이 썼을 때도 있었다.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군비를 확장했을 때가 그것이었다. 그러나 소련의 경제력은 최전성기에도 미국의 3/5 수준이어서 부담이 훨씬 컸다. 소련의 경우 미사일 기술이나 핵 기술 역시 냉전 초기에 미국에 심어놨던 스파이들을 통해 기술을 확보했다는 말이 있는 만큼 기술을 완성시키는 데 드는 비용은 미국에 비해 훨씬 절약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미국의 전자 기술과 최신 무기들을 질로 따라갈 수가 없어서 현재까지도 러시아는 재래식 ICBM을 많이 만들어놓는 식으로 질보다 양으로 승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러시아는 이러한 양으로의 승부가 무력화되는 미국의 MD 개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다. 여기에 미국은 양적 경쟁은 무의미하다는 사실을 깨달은 이후에는 질적인 우세로 밀고 나갔다. 이지스 방공 체제, 핵추진 전략 잠수함, 스텔스 체계, 그리고 토마호크 순양미사일까지 개발해내서 소련을 착잡하게 했다.

한 나라 전체도 아니고 한 공장에서 나오는 제철량이 나치 독일이나 일본 제국의 제철량보다 더 높았다. 실전 경험이 뛰어나고 2차 세계 대전기 6호 전차 티거와 티거 II 등의 최고의 중전차들을 갖고 있던 나치 독일이나 진주만 공습으로 전략적 우위에 있던 일본 제국이 미국을 끝끝내 못 이긴 결정적인 이유가 미국의 끝 없는 물량공세였다. 독일은 연합군의 공습에 얻어터지다 보니 공장과 같은 산업 기반이 파괴되어 물량 공세는 꿈도 못 꿨으며 일본은 아예 '총동원'을 내려 후방에서 보급품을 제작하거나 수리하는 숙련공들까지 모조리 징집해 전쟁터로 끌어가버렸다. 이러다 보니 일본은 물량공세가 아예 안 되는 데다 재료까지 수급이 안 되다 보니 그야말로 언감생심이 되어버린다. 이는 독일도 똑같이 겪게 되는데 한 예로 독일의 최신예 전차였던 티거 2는 전쟁 후반기로 들어서면서부터 그 품질이 저하되기 시작했는데 초도 물량으로 뽑아낸 티거 2 전차들이 오히려 더 양질의 제품이었을 정도였다. 전차 제작에 필요한 원료들의 수급이 안 되어서였다.
이러다 보니 유럽 전선에서나 태평양 전쟁 당시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이 초반에는 반짝 승리를 거뒀지만 시간이 지나 미국에 의해 보급로가 차단당하고 더불어 물량 공세까지 시전해 버리자 GG 안 치고는 못 배기게 된다. 단적인 예로 미국의 M4 셔먼은 나치 독일의 중전차들이나 야크트티거, 야크트판터 같은 중돌격포들에게 터져나가는 게 일상사였지만, 본국에서 그보다 배나 더 많은 물량이 생산되고 전선에 실시간으로 보급되는 까닭에 잔고장 하나만 발생해도 속수무책으로 있어야 했던 독일군 전차에 비해 우위에 있었다. 한 예로 독일 티거 시리즈 전차들은 뛰어난 성능과 위력으로 연합국을 공포에 떨게 한 존재였다. 문제는 크기에 걸맞게 무게도 장난이 아니어서 이를 전선까지 이동하기 위해 개설해야 하는 철로의 설치 및 유지, 보수 비용도 장난이 아니었던 데다 미군이 제공권을 장악한 이후로는 보이는 독일 전차들 모두가 미 육군 항공대 전투기들의 표적감으로 털려나갔고 급기야는 전차들을 생산하는 공장들마저 미 폭격기의 폭격으로 터져 나가자 생산마저도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그러다 보니 퇴역 준비 중이던 티거 전차들은 전장에서 짱박힌 신세가 되었고 물자 부족으로 인해 티거 2도 계획보다 훨씬 적은 수량만 양산되는 실정이었다.
거기에 미국의 스케일을 알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농약조차 비행기로 뿌리고[75] , 5명 중 4명이 차량을 소지하고 있으며(특수차 포함), 모잠비크인 32명의 소비량이 미국인 1명의 소비량과 같으며, 쇠고기 생산량은 4%인데 소비량은 25%, 거의 모든 도시가 보행자, 자전거보다 자동차를 위해 만들어져 있다. 마을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나마 여기에 나온 사례들도 미국의 쇼미더머니 스케일을 전부 보여준 것도 아니다. 파고들면 외국인들은 물론 사정을 잘 모르는 미국인들도 머리가 아파질 정도로 더 많은 사례가 나온다. 1인당으로 통계를 내도 엄청나지만, 전체로 통계 내면 그야말로 미국만이 가능한 스케일이 나온다. 그래서 게임을 비롯한 각종 매체에서 등장하는 미국은 대공황으로 생긴 디버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현실보다 강력한 너프를 먹고 나오지만[76] 그렇게 너프를 먹이고도 매우 강하다고 묘사된다. 시스템상 제거가 가능하게 만든 이런저런 디버프를 마저 떼기도 전에 이미 미국의 국력이 최강을 달리기 시작한다.
이런 막대한 국력과 전 세계에 끼치는 거대한 영향력 때문에 미국을 현대의 로마 제국으로 비유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즉 미국이 국내외에 끼치는 영향력은 과거 로마 제국, 아니 그 이상의 수준이라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호사가들의 발언이 아니며, 정식 학계에서도 진지하게 다루는 내용이다.
6. 행정구역[편집]

7. 정치[편집]

미국의 국가 구조는 연방 안에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주들이 있는 구성이다. 주들은 독자적인 행정권과 입법권, 사법권을 가지나 외교권과 전시 군 통수권[77] 은 모조리 연방 정부에 귀속되어 있다. 또한 주들의 일부 독자적인 행정권, 입법권, 사법권 또한 다양한 형태로 연방 정부에게 예속되어 있다. 미국 연방 헌법에 따라 연방법은 주법보다 위계가 높으며, 결과적으로 주의 입법권은 연방법과 연방 헌법을 위배하지 않는 선에서만 보장된다. 또한 주마다 독자적인 지방법원, 고등법원, 대법원이 있지만 연방법과 관련된 최종심은 연방 대법원에서만 하게 되어 있다. 하지만 미국의 국가 정신상 연방 정부의 직접적 개입은 보통은 잘 일어나지 않고 연방 헌법은 필수적인 내용만 다루는지라 일상생활에 관련된 많은 법들은 각 주마다 완전히 천차만별이다. 사형의 경우만 하더라도 워싱턴 D.C는 1972년 부로 사형이 폐지됐지만 텍사스 주는 사형이 집행되고 있다. 반대로 연방 헌법 수정권처럼 오직 주에서만 다룰 수 있는 분야도 존재하며, 교육과 선거처럼 연방 정부와 공동으로 관리하는 부분도 있으나 주 정부의 입김이 더 강한 분야도 있다.
위의 문단을 보면 꼭 대한민국의 지방자치제처럼 중앙정부가 주요 사안에 대해 주정부를 통제할 최종 권한이 있는 것 같은 인상을 받지만,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주 정부와 연방 정부가 사사건건 충돌하게 되면서, 어느 권한이 어느 쪽에 있는지의 균형이 좀더 명확하게 알려지게 되었다.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 주지사들이 각 주의 경제 활동을 통제한 가운데, 경제를 빨리 되돌리고 싶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경제 재개에 있어서 자신에게 전적인 권한이 있다고 말하자, 앤드루 쿠오모 뉴욕 주지사가 "우리에겐 왕이 없다"라면서 반박한 것이 좋은 예이다. # 13개 주가 연합하여 연방을 만든 것이지 그 반대가 아니므로, 수정헌법 10조에서 "헌법에 의하여 미합중국 연방에 위임되지 아니하였거나, 각 주에 금지되지 않은 권력은 각 주나 국민이 보유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각 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에 대해서 결정할 권리는 주 정부, 즉 주지사에게 있다는 것이 분명하고, 이에 트럼프는 하루만에 발언을 철회하고 경제 재개는 주지사들의 책임이라고 하였다.
또 뉴욕주에서의 코로나 피해가 커서 100억 불을 넘는 주정부 예산 적자에 시달리게 되자, 뉴욕 주지사는 이렇게 적자가 가중될 경우 경찰, 소방, 교육 등의 예산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면서 의회가 주정부에 지원할 법안을 만들어줄 것과 대통령이 이에 서명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또 이에 반대하는 공화당 맥코넬 상원의원장이 뉴욕주는 차라리 파산하는 게 낫겠다고 말하자, 뉴욕 주지사는 파산시키고 싶으면 주정부의 파산을 허용할 법률부터 만들고 대통령 서명을 받으라고, 그러면 퍽이나 주식 시장이 좋아지겠다고 맞받아쳤다. 따라서 각 주의 재정 관리는 일차적으로 주정부가 책임지나 연방 정부도 뒷짐 지고 있을 수 없다는 복잡한 상황이 알려지게 된 셈이다.
기타 미국의 주요 정치적 특징을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 세계 최강의 군사력을 가지고 있다. 세계 군사력 순위에서 1위의 자리를 굳건히 유지하고 있다. 현 미국의 국방 예산[78] 은 나머지 국방예산 2위~15위 국가들의 모든 국방 예산을 합한 예산과 비슷한 규모를 가지고 있다. 세계 국방비 순위 참고. # 군인 수로도 모병제이지만 상비군 140만 명이라는 병력수 세계 3위 수준의 대군을 유지하고 있다. # 그리고 미국은 전 세계 무기 수출 1위 국가다. 매일경제 , 경향신문
- '세계의 경찰(world's policeman)'이란 단어[79] 는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압도적인 군사력을 바탕으로 한 개입주의를 상징해 왔다. 하지만 2018년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계속해서 세계의 경찰일 수는 없다며 미국이 모든 부담을 져야 하는 상황은 부당하다고 목소리를 높이면서 미국이 '고립주의'로 회귀하고 있다는 분석에 힘을 실었다.[80] 국내 질서는 강제력을 행사할 수 있는 공권력으로 인해 유지되나, 국제 질서는 그런 공권력에 해당하는 기능이 없어 '약육강식'이었다. 그나마 2차 대전 이후 UN이란 조직이 생겼으나, 강제력이 없는 한계가 있다. 국제사법재판소에서 남중국해에 대해 중국 패소 판결을 내렸음에도 중국을 강제할 힘이 없다 보니 판결문이 휴짓조각으로 전락했다. 반면, 강제력을 행사할 수 있을 만한 군사력을 가진 나라는 타 국가에 '공권력'처럼 느껴지므로, 승전국이 패전국의 목덜미를 잡고 맺은 조약들은 대개 잘 지켜지는 편이다. 즉, 세계에서 군사력이 가장 강한 미국이 사실상 '국제 경찰(국제사회의 공권력)' 역할로서 공권력 부재의 UN의 단점을 보완하고 있다.[81]
- 트럼프의 고립주의에 대해 바이든은 정면으로 비판하며 2가지 이유를 제시했다. 첫째, 미국이 패권국으로서 리더의 위치를 포기하면, 누군가가 미국의 자리를 차지할 것이라고 한다. 미국이 빠지면, 제국주의 야욕을 드러내고 있는 중국이 그 자리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으며 새로운 왕초가 나타나 국제질서를 짜면 미국의 이익은 침해당할 것이므로 적극적인 개입을 해야 한다는 논리다. 실제 힘이 커진 일본 제국이 미국에게 덤벼들었던 역사가 재현될 수도 있다. 둘째로는 지도자가 없는 혼란의 세계가 초래될 것이라고 한다. 즉, 왕초가 나타나 서열 정리가 되지 않으면, 또다시 서열 정리(전쟁과 다툼)이 벌어지며 약육강식의 2차대전 이전의 시절로 되돌아갈 수 있다는 의미다. 동물들조차 합사를 하면 서열 정리가 끝나기 전까지는 혼란이 발생하고 서열 정리가 끝나야 질서가 잡히는데, 2차 대전이 미국의 승리로 끝나며 서열 정리가 끝나 2차 대전 이후는 미국이라는 리더하에 미국 중심의 국제질서가 잡혀서 비교적 평화로운 시대가 전개되었다. 하지만 미국이 고립주의로 회귀하면 국제 질서를 자신의 뜻대로 좌지우지하려는 신흥 강자들이 싸우며 또다시 국제 질서가 카오스에 빠질 수 있다. 미국은 한국과 일본에게 무역 적자를 크게 볼 정도로 세계 각국으로부터 엄청나게 수입해서 쓰는 나라인데, 만약 미국 빠진 동북아에서 한일 전쟁이 벌어지기라도 해서 둘 다 폭망하여 수출이 막히면 미국도 피해를 본다. 혹은 한일이 중국 밑에 줄서서 중국이 미국에게 수출하지 말라고 압력을 넣어도 마찬가지다. 즉 미국 자신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미국이 국제정세에 적극 개입해야 한다는 논리다.
- 미국 달러는 국제 표준 화폐(달러 패권)의 위상을 지니고 있다. 화폐의 본질은 신뢰이다. 민주국가로서 연방준비위원회가 정치로부터 독립되어 비교적 투명하게 통화 관리를 잘 해온 덕분이기도 하지만, 절대적 안보 보험 수준의 군사력에 기반한 바가 크다.[82] 어느 국제정치학자는 군사력이 왜 필요하냐는 질문에 심플하게 "빌려준 돈 받기 위해서"라고 대답했다. 마치 사회에서 종이쪼가리에 불과한 계약서의 신용이 강제력을 행사할 수 있는 공권력에서 나오는 것과 마찬가지. 한국의 불곰사업은 소련에 돈을 빌려줬더니 돈이 없다며 재고 처리하듯 무기라도 받으라고 해서 시작되었는데, 러시아에서 투정을 많이 부려 여러모로 힘든 사업이었다. 반면 군사력이 강한 중국은 특히 아프리카나 동남아시아의 약소국에 돈을 빌려준 뒤 갚으라고 으름장을 놓으며 항구 운영권을 빼앗는 등 약탈하듯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는데, 1대 1로 길목마다 '빚의 덫'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약소국 입장에서는 강제력을 행사할 수 있는 힘을 지닌 중국이 '공권력'처럼 느껴지므로 돈 없다고 '배 째라' 식으로 버티기가 힘들다. 소련처럼 재고 쌓인 걸로 빚을 퉁치려 하다간 한대 맞을 수도 있다. 이처럼 국제 거래에서 군사력이 곧 신용인데, 군사력 1위, 경제력 1위 더블 타이틀 석권한 미국의 달러는 패권국의 화폐다운 권위를 지니고 있다.
- 미국을 시스템으로 굴러가는 나라라고 표현하는데[83] , 민주주의 종주국답게 독재자의 탄생을 막기 위해 권력을 상당히 찢어서 분산시켜놨다. 예를 들어 트럼프가 주한 미군을 언제든 뺄 것처럼 하자 2018년 국방수권법이 통과되어 미국 의회의 동의 없이 22,000명 이하로 감축할 수 없게 막아버렸다. 즉, 단순히 트럼프와 공화당이 우세하다고 해서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게 아니란 것이다. 미 의회, 대통령, 국방성이 동시에 결정할 경우에야 실행된다. 박정희 시절 카터 대통령은 주한 미군 철수를 공약으로 내세우고 당선됐고 실제 강하게 추진했으나 미군 사령관 등의 반발로 인해 무산됐다.
- 국제정치학에서는 국경을 맞댄 국가를 잠재적 적국이라 하는데, 캐나다와 멕시코가 미국을 잠재적 적국으로 삼지 않고 있는 이유는 미국이 민주 국가이기 때문이다. 물론 미국의 군사력을 전혀 감당할 수 없는 국가들이지만, 미국은 뭐 하나 시행하려면 절차가 까다롭고 오래 걸리는 민주주의 특성상 하물며 전쟁을 택하려면 확실한 국민 여론과 확실한 명분과 법적 절차와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등 상당히 까다롭기에 타 국가 입장에서는 오히려 안심할 수 있는 것이다. 먼저 미국을 건드리지 않는 이상, 미국이 침략할 걱정은 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즉, 미국의 시스템 자체가 미군의 막강한 힘을 통제할 안전 장치인 셈. 다른 강대국인 중국 같은 경우 일당 독재 국가라서 하루아침에 한국 여행을 금지시켜 버리거나 2013년판 중국 <국방백서>에서 핵 선제 불사용 정책을 뜬금없이 삭제했다가 주변국들의 눈치를 봐서 슬그머니 다시 복원시켜 놓는 등 헌법이나 정책이 별로 의미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심지어 '시황제' 시진핑은 헌법상 지도자의 연임 제한 조항을 100% 가까운 찬성을 받으며 멋대로 개정해 버렸다. 이에 비하면 미국은 아무리 패기 넘치는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었다 한들, 헌법이나 정책을 함부로 뒤엎기가 힘들기 때문에 미국은 시스템으로 통제가 되며 굴러가는 국가임을 알 수 있다.
- 미국은 민주 국가이지만 국제정치학의 민주주의 평화론에서 예외 국가다. 민주주의 평화론이란게 민주 국가들 사이에서는 전쟁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인데, 일단 전쟁 터지면 나와 내 가족이 죽을 수 있고 내 삶의 터전과 내가 쌓아온 것들이 물거품이 될 수 있기에 서민들은 가급적 전쟁을 피하려 하다 보니 여론으로 운영되는 민주 국가의 특성상 전쟁이 벌어지기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은 본토의 안전이 보장된 패권국이기 때문에 미국의 유권자들은 독재자와 마찬가지의 선택이 가능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한국전쟁도 정작 서민들만 죽어나갔지, 전범 김일성은 천수를 누리고 간 것처럼, 독재자들은 전쟁이 터져도 본인은 도망쳐서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에 지들이 총대 메고 전쟁터에 앞장서는 게 아니니까 과감히 전쟁이란 선택지를 고를 수 있다. 헌데 미국의 유권자들도 별반 다르지 않다. 예를 들어 걸프전을 떠올려 봐도, 미국인들은 쇼파에 앉아서 CNN의 현장 중계를 마치 영화 보듯 팝콘 먹으며 즐길 수 있었다. 북폭에 대해 한미 입장 차가 있는 이유다. 다만 북한의 군인들 목숨 따윈 본인과 아무 상관도 없었던 김일성 등과 달리 미국이 전쟁을 벌였을 때 어쨌든 해외에서 싸우고 죽어나가는 것은 그 시민들의 친구 또는 가족일 수 있는 미국 군인이고, 전쟁 시에는 엄청난 돈을 써서 국가에 부채가 생기기 때문에 어쨌든 전쟁을 피하게 되긴 한다. 게다가 미국은 군인에 대한 존중도 높은 편이다.
- 패권국으로서 전 세계에 영향력을 끼치기 위해 동맹을 등급별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다. 닉슨은 미국의 국익을 3단계로 분류한다. 첫째는 미국의 생명과 생존에 영향을 주는 이익들인 ‘바이탈 인터레스트(vital interests)’인데, 유럽의 독일과 아시아의 일본이 포함돼 있다. 해석 그대로 사활적 이익이 걸려 있는 거점 지역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을 잃으면 미국이 아시아에서의 영향력을 상실한다는 의미다. 둘째인 ‘크리티컬 인터레스트’는 어떤 동맹을 잃을 경우, 그것이 앞에서 언급한 ‘바이탈 인터레스트’ 중의 하나를 직접적으로 위협할 때다. 한국, 프랑스 등이 여기에 해당하는데 "주한미군은 주일미군을 지키기 위해 있다"는 말이 여기에서 파생됐다. 월남과는 달리 한국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란 말이 나오는 게, 한국이 날라가면 '사활적 이익'인 일본이 직접적으로 위협받기 때문이다. 이와는 별도로 5개의 눈이라 불리는 앵글로 색슨 '혈맹'이 존재하는데 가족과도 같은 개념인지라 국익에 따른 분류와는 좀 다르다. '파이브 아이즈'의 영국, 캐나다가 오히려 한국과 같은 '크리티컬 인터레스트'로 분류돼 있다.
- 프랑스, 영국와 함께 근대적 민주주의, 게다가 프랑스와는 근대적 공화정의 본좌라고 할 수 있는 나라이다. 다만 독립 당시의 아메리카는 유럽에 비해서 분명 깡촌이었기에 역사에 준 충격은 프랑스 혁명에 한 수 접어주는 느낌이 있다. 프랑스 계몽주의자들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두 나라가 쌍으로 민주주의 혁명을 이루었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 많은 사람들이 간과하는 부분인데, 미국은 국가의 역사가 상당히 길다. 우리는 미국의 역사가 일천하다고 비웃는 경우가 많지만 그것은 민족사(民族史)적인 관점일 뿐이다. 미국이 독립 선언을 한 1776년은 조선 정조 시기이다. 미국은 그때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간접 선거로 선출된 대통령을 국가 수반으로 하는 공화정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그것은 단 한 번도 바뀐 일이 없다. 즉 200년도 더 전의 독립 선언 시기나 지금이나 미국은 동일한 국체(國體)인 미국이다. 미국의 역사 동안 한국은 조선왕조-대한제국-일제강점기-미군정-대한민국 순으로 국체가 여러 번 바뀌었다. 이는 다른 국가들도 마찬가지로 프랑스, 독일, 러시아, 일본 등도 왕정, 제정 등에서 공화정으로, 또는 입헌군주제로 국가의 근본적 체제가 정신없이 바뀌어 왔다.
7.1. 행정부[편집]


7.2. 입법부[편집]

7.3. 사법부[편집]
7.4. 외교[편집]
8. 경제[편집]
- 미국은 2021년 기준으로도 전 세계 GDP의 약 25% 내외, 즉, 4분의 1을 독점하고 있다. 브릭스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꾸준하다. 심지어 1990년대 중반부터 상승하여 2000년대 초반엔 30%가 넘기도 했다. 유럽연합 전체를 합쳐도 미국보다 적을 때도 많다. 더구나 이제 유로존 위기와 브렉시트까지 겹쳐서 유로와 미국의 차이는 더욱 커질 일만 남았다. GDP로는 전 세계에서 1위이며 PPP로는 중국에 이은 2위이다.
- 2021년 10월 IMF 통계에서 미국의 GDP는 전 세계 GDP 2, 3위에 해당하는 중국, 일본을 합친 것보다도 근소하게 거대한 수준이다. 미국 GDP를 22.9로 본다면 중국 16.8, 일본 5.1 정도라서 미국이 조금 더 크다. 그리고 2020년 기준으로 캘리포니아 주 하나가 세계 GDP 5위 수준이다. # 한마디로 캘리포니아 > 영국인 것이다.
- 2021년 10월 IMF 기준, 미국을 제외한 G7 여섯 국가들+한국의 전체 경제력(=21조 3421억 달러)이 미국 수준(=22조 9395억 달러)이 안 된다. 한 마디로 미국 >> 일본+독일+영국+프랑스+이탈리아+캐나다+한국이다.
- 1인당 국민소득이 20만 불을 넘어가는 계층이 인구의 10%나 차지한다. 10만~19만 9,999불까지 합산할 경우(25%), 총 인구의 35%가 1인당 소득이 10만 불 이상이며 5만 불에서 9만 9,999불까지는 인구의 32%를 차지하는 어마어마한 중산층의 나라. 하지만 최근 코로나19 사태가 터짐에 따라 가구 소득이 10만 불 이상인 '상위층'의 숫자가 늘어나는데에 비해서 중위층과 하위층의 비율이 크게 줄어들어 부의 양극화가 점점 더 심해지는 추세이다. 2021년 10월 기준 미국인의 1인당 국민소득은 약 69,000달러이다.
- 미국의 1인당 GDP도 타 국가에 비해서 압도적인 편인데, 2021년 10월 기준 인구 1천만을 넘는 국가 중 미국보다 소득이 높은 나라는 하나도 없다. 미국과 서유럽의 대기업 평균 초봉의 격차는 한국과 중국의 격차보다 더 크다. 통계로도 2021년 10월 기준 미국의 1인당 GDP는 영국과 일본에 비해 2만 달러 이상 높고 독일보다도 1만 5천 달러 이상 더 높다. 도시국가에 비교해봐도 세계 5위권이며, 미국의 중심 도시인 뉴욕의 1인당 GDP는 카타르, 노르웨이, 스웨덴을 까마득히 넘는 9만 달러에 달한다. 거기에 수도 워싱턴 D.C.의 1인당 GDP는 20만 달러로 모나코, 리히텐슈타인, 룩셈부르크보다도 높다. 하지만 이는 미국의 화폐가 기축통화인 달러이기 때문에 고평가된 수치인 것도 감안해야 한다.
- 기축통화인 미국 달러의 보유국이며, 미국 주도의 IMF와 세계은행의 최대 투표권을 보유하고 있다. 영어 위키백과 IMF Voting power 세계은행 Voting power 또한 금 보유고 1위의 국가다. 영어 위키백과 Officially reported holdings
9. 사회[편집]
9.1. 사회 문제[편집]
9.2. 일반적 특징[편집]
한국에서의 인식은 사회보수주의적인 성향이 강하다는 인식과 사회자유주의적 성향이 강하다는 인식이 혼재하며, 실제로는 대한민국과 비슷하게 선진국 중에서는 전체적으로 보수적인 축에 들지만 워낙 넓고 인구가 많은 나라이다 보니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주로 북부로 갈수록 평균적으로 개방적, 진보적이며[84] 중남부로 갈수록 펑균적으로 보수적인데[85] , 진보적인 곳은 심지어 서유럽 빰칠 정도인 워싱턴 주, 오리건, 캘리포니아, 네바다, 하와이 6개의 주 같은 곳들도 있다. 다만 보수적인 지역(바이블 벨트 주들)은 대한민국은 저리가라할 정도로 매우 보수적인 편이다. 가정교육 방식도 엄하며[86] 애니메이션 규제는 총을 물총으로 바꾸는 정도다. 적어도 아동용 장난감이나 매체에 대해서는 예상 밖으로 매우 엄격하다.[87]
그리고 호주와 더불어 남성성(마초성)에 대해 상당히 중요시하는 편이며[88] 보통 고등학생 이상이 되면 짐(헬스장)에 등록하여 근육을 키우는 데 매진한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89] 보통 우리나라나 제3세계 국가에서는 미국을 자유로운 분위기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굉장히 보수적인 성향이 지배적이며 법률이 최소한 약자인 여자들한테 조금 유리하게 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남성성과 권위에 상당한 무게를 싣는 분위기이다. 이는 동남부 기준이나 서부도 어느 정도 마찬가지이다. 여성이 결혼을 하고 나서 성을 남편 성으로 바꾸는 관습에서도 이런 면이 드러난다. 특히나 젊은 세대들의 사회에서는 남성이라면 어느 정도 운동을 할 줄 알고 근력을 보유해야 인정해 주는 이른바 전형적인 마초주의스러운 분위기이다. 아무래도 역사 자체가 빡세게 오지 개척을 했었던 나라이고, 지금도 세계적인 군사력이 압도적으로 1위인 걸로 볼 때 외향적인 성격과 하드 파워를 중시하는 문화가 어찌 보면 당연하다. 이렇기 때문에 마르고 힘이 없어 보이거나, 게이 같은 애들이 어리거나 젊었을 때 따돌림의 희생타로 전락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흔하다. 물론 남자다움이 다소 떨어지거나, 아니면 문제가 조금 있어도 다같이 잘 지내는 곳도 있으니 그야말로 케바케. 아시아계 인구가 많은 캘리포니아 등 서부 지역은 이러한 마초 문화가 상대적으로 덜한 편이다. 성매매도 대부분의 장소에서 불법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성매수에 대한 시선은 한국보다 더욱 좋지 않으므로 설령 호기심으로 한 번 했더라도 절대 다른 사람들 앞에서 함부로 이야기해서는 안된다.
미국도 사람들이 많이 모여사는 사회인 만큼 사회적인 통념에 맞게 행동하는 걸 미덕으로 보는 경우가 지배적이며, 특히나 나이가 18살이 넘어가면 올바르게 사회에 들어가서 어른답게 사회의 일원으로 조직생활을 잘 해야된다는 통념은 오히려 한국보다도 더 많다.[90] 특히나 서양권 국가답게 자립주의를 중시하는 편으로 18세가 넘어서 성인이 되는 학생들의 대부분이 독립을 빨리 하려는 경향이 강하며, 부모들도 독립시키려는 경향이 강하다. 기독교 사상이 강한 사람들은 혼인도 제법 중시하는 편이다. 물론 혼인을 강요하지는 않는다.
과거에 한국에서는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며 미국을 기회의 땅이라고 칭했던것이 사실이지만, 사실상 아주 열심히 일하는 사람이나 남성스럽고 사회성이 좋은 사람, 특정 분야에서 스타 반열에 오를만큼 천재적인 끼를 가진 사람들한테만 해당되는 이야기이며, 그 반대의 경우라면 미국에서 살아남기가 그렇게 수월하지 않다. 참고로 미국은 세계에서 경제 1위, 과학기술 1위, 군사 면에서 압도적인 1위라는 타이틀과는 다르게 복지나 치안 등 사회적인 안전망은 선진국 중에서는 가장 부실한 편이다. 심지어는 중산층의 삶을 영위하던 사람들도 사업을 하다가 부도가 나거나, 운이없게 불치병에 걸려 병원비가 엄청나게 나오면서 인생 맨 밑으로 추락하는 경우도 간혹 있다. 당연하지만 미국인들의 평균 수명은 마약, 총기 문제, 엄청난 빈부격차, 복지를 비롯한 사회적인 안전망의 부실로 인해 선진국 중에서는 가장 좋지 않은 편이다. 이미 2000년대 초반에 신흥 선진국인 한국한테 따라 잡혔으며, 2022년 현재는 차이가 많이 벌어져 있다.
흔히 미국산 게임이나 만화 속에서 나오는 과장된 표현 등을 보면서 '자유의 나라라서 자유로운 표현이 보장되는구나' 싶겠지만, 자세히 파보면 한국과 맞먹거나 한국보다 더할 정도로 꼼꼼한 검열을 적용하고 있다. 이는 영상물 등급 제도를 철저하게 지키기 때문이다. 영화 매체는 1968년에, TV 매체는 1996년부터 영상물 등급 제도가 실시되고 있다. 방송사가 해당 프로그램의 등급에 맞지 않는 방송을 내보내면 전국의 시청자, 특히 아이를 둔 부모들로부터 산더미 같은 고소장을 받는다.
다만 영상물 시청 등급 판별이 매우 엄격할 뿐, 일단 등급이 정해지면 그 내부에서는 굉장히 관대해진다고 볼 수 있다. 이미 R등급(18금)을 받은 방송은 아동 성범죄 같은 민감한 사항을 제외하면(이게 거의 유일한 금기 사항) 정말 막 나간다. 성진국의 물건을 수입해 올 때 원본을 초월한 수위의 물건을 따로 요구한다고. 모자이크 처리가 되지 않은 성인 애니메이션의 대명사가 북미판으로 불린다는 것만 봐도 그렇다.
명실공히 전 세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다민족 국가이기도 하다. 그나마 비슷한 민족들 사이에서 생긴 혼혈의 역사 정도나 있었던 다른 국가들과는 달리 미국은 건국 초기부터 다민족 상태로 시작하였으며, 이 때문에 민족 간 갈등도 많이 겪었고 이후 다민족에 대한 대우가 좋은 편에 속한다. 물론 미국의 역사가 이제 200년을 갓 넘긴 상태라서 완전하다고 볼 수는 없지만, 적어도 단일 민족으로 시작해서 다민족 문제를 겪고 있는 다른 국가들에 비하면 더 나은 편이라 할 수 있다. 물론 다민족 특성상 인종차별 문제나 갈등은 숙명처럼 존재하지만, 그런 만큼 인종차별 발언에 프로불편러 수준으로 민감하다. 유명인이 공개석상에서 '니거'라고 조크라도 한마디 던졌다간 그대로 나가리 된다. 극단적 자유주의 성향으로 인해 공인이 마약을 했다든가 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개인의 지극히 개인적인 일로 치부하는 성향이 강한 성향이지만 그런 미국에서도 증오 발언은 즉시 매장감이며, 횡령, 미성년 대상 범죄(유괴, 소아성애)는 절대 용서받지 못할 정도의 행위이다. 즉 농담이 아니다. 이런 위에 같은 이유 때문에 미국은 이민을 언제든지 맘만 먹으면 받을 수 있어서, 저출산 걱정이 없는 선진국 중에서는 거의 유일한 국가이다.
중국과 미국 중에서 중국은 전체주의 국가의 대표격이라면, 미국은 개인주의 국가의 대표격이다. '다민족 국가'의 특성상 개인주의화될 수밖에 없기도 했다. 원래 '민족주의 프로파간다'는 일장일단으로서 강하게 뭉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타민족에 배타적인 단점이 있다. 그런데 미국은 애초 시작부터 다민족 국가였다 보니 민족주의 프로파간다를 써먹을 수 없었다. 실제로 게릴라전의 승패는 첨단 장비가 아닌, 민족주의나 종교에 기반한 의지나 인내심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니 전체주의와 집단주의의 기반이 되는 민족주의는 어느 국가를 막론하고 프로파간다로서 유용했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다양한 민족과 인종 군상들이 뒤섞여 사는 관계로 타민족의 문화에 간섭하면 싸움이 나니, 결국 각자 타인의 영역을 터치하지 않고 존중해 주는 개인주의 문화가 자연스레 발달했다. 2020년에도 백인 경찰의 흑인 용의자 과잉 진압으로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이 발생하자 대규모 시위와 혼란이 벌어졌는데, 미국 내에서 민족 간의 충돌은 언제든 여차하면 터질 수 있는 시한폭탄 수준인지라 특정 인종이나 민족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것은 금기처럼 터부시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에서는 굳은 의지의 표현으로 '성을 간다'는 관용어구가 있을 정도로 족보를 중시하며, '뿌리집단'에서 이탈되는 것을 수치로 여긴다. 한부모 가정 등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성을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며, 그것도 어머니 성으로 바뀌는 것이지, 자신만의 개성있는 고유의 성을 만들어서 시조가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성도 자신이 원하는 걸로 바꿀 수 있는데, 대표적인 예가 WWE의 레전드인 얼티밋 워리어다. WWE와의 상표권 분쟁에서 패하자 자신의 성을 워리어로 바꿔서 두 딸의 성도 워리어다. 어차피 여성들은 결혼하면 힐러리 클린턴처럼 남편 성으로 바뀌므로 성이 바뀌는 것에 대한 이질감이 크지 않다. 이름을 먼저 쓰고 성을 나중에 쓰는데, NAME을 번역하면 '성명'이지만, '명성'인 셈. 주소를 쓸 때도 한국에서는 시를 먼저 쓰고 점점 작아지지만, 미국은 반대다. 날짜를 표기할 때도 한국에서는 해당년도를 먼저 쓰지만, 미국에서는 마지막에 쓴다. 그래서 군의관이 이렇게 쓰는 훈련병을 보고 유학생임을 알아채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관습은 단순한 습관일 수도 있으나[91] , 여하튼 큰 집단인 카테고리는 후순위로 쓰는 경향이 있다.
한국은 21세기 들어 외국인이 많아져 완화됐긴 하나, 과거엔 흑인을 깜둥이라고 부른다든지 '시커먼스'란 개그 방송도 히트 쳤던 적도 있을 정도로 같은 민족끼리 살고 있다 보니 타민족 비하에 대해서 무관심한 경향이 있다. 그러나 미국은 타 인종, 타 문화와의 접촉이 빈번한 사회이기에 한국은 물론이고, 서유럽과 비교해도 매우 인종차별에 적극적으로 대처한다. 절대적 의미에서는 미국에서 인종 평등이 실현되었다고 말할 수 없으나, 서유럽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미국이 양호하다. 흑인을 니거라고 한다면 한순간에 아웃될 수 있을 정도로 민족이나 인종과 관련된 표현에 매우 엄격하며 금기시한다. 실제 전설적인 WWE 스타 헐크 호건은 흑인 친구도 있고 공개적으로 흑인 비하를 한 것도 아님에도, 단지 자신의 아내와 바람핀 흑인 남성에게 홧김에 '니거'라고 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한순간에 아웃되었다. WWE에서도 헐크 호건 관련 상품을 내리거나 사진들을 없애고, 한국의 커뮤니티 짤에도 헐크 호건이 찍혀 있던 사진에서 헐크 호건 부분만 오려내며 투명인간 드립이 유행하기도 했을 정도다.
단일 민족인 한국에서 김용옥은 자신의 자녀는 미국 사립학교에 보내긴 했지만, 한민족 최고 외치며 한민족의 우수성을 설파하니 한국에서 인기가 많다. 하지만 미국 WWE에서 '백인판 김용옥'인 JBL은 악역이다. 백인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게 백인들에게는 국뽕처럼 뽕맞는 느낌을 줄 수 있어도, 타 민족에게는 밥맛없을 수밖에 없다 보니 백인우월주의자 캐릭터들은 거만하고 어그로를 끄는 악역 포지션을 맡고 얻어터진다. 이렇게 집단적인 '민족'이나 '인종'에 대해 차별은 물론 우월성을 표하는 것 자체가 금기시되니, 그냥 각자 '개인'으로 봐주고 존중해 주는 문화가 발달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개인의 자유와 인권이 발달하고, 심지어 성조기까지 태울 자유도 주지만, 코로나19 사태때는 단점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중국에선 인권 같은 거 없이 그냥 막 통제 지역으로 선포하고 외국의 공장도 일방적으로 금지시켜 버릴 정도니 13억 인구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통제가 되지만, 극도의 자유주의 성향을 보이는 미국은 하루에 수만 명씩 확진자가 나오고, 전 세계 1위 누적 확진자 수를 기록하고, 10월까지 23만 명 이상이 죽어나가고 심지어 백악관에서 양성자가 나옴에도 트럼프 대통령조차 꿋꿋하게 마스크를 안 쓰고 버틸 만큼 누가 이래라저래라 간섭하는 걸 극단적으로 싫어한다. 물론 코로나19의 전파력, 그리고 2022년 초 대한민국의 확진세를 볼 때 중국의 방식으로 통제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라는 것이 드러났지만, 상당히 엄격한 방역 정책에 대부분의 국민들이 철저히 따른 동아시아권과는 분명히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전 인민의 무장화에 성공한 국가지만 영화나 드라마와는 달리 민간인은 총기의 휴대 및 사용이 쉽지만은 않다. 이에 대한 법령은 주나 도시마다 매우 다르기 때문에 딱 잘라 말하기는 힘들지만, 대체로 진보주의/총기 반대 성향이 강한 도시로 갈수록 빡빡하고, 보수주의/총기 지지 성향의 시골로 갈수록 총기 구하기가 쉽다. 또한 사냥에 쓸 만한 큰 라이플 등등이 구하기 쉽고, 숨기기 쉬운 권총 등은 구하기가 더 까다롭다. 정확히 말하면 합법적으로 총기를 판매하는곳에서는 총 구매 절차가 엄격하지만, 불법적으로 판매하는 장소 예를 들어 지하 시장이라던지 이런 곳에선 절차 그런 거 없이 총을 쉽게 구매할 수 있다.
물론 어느 주에 가든 콜라 사듯이 총을 가게에 가서 살 수 있는 건 아니고, 범죄 경력이나 정신병 경력이 있는지 본 다음에 허가를 제대로 받으면 살 수 있다. 이것도 완벽한 건 아니라, 한국에서도 유명했던 조승희 사건같이 일이 제대로 처리됐다면 절대 총을 살 수 없었어야 할 인간도 잘만 하면 합법적으로 총을 마음대로 구입할 수 있기에, 여러 가지 골치를 썩고 있다.
아래에서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총기 관련 규제 법규는 미국 정치권의 만년 떡밥. 매번 전미총기협회의 로비로 무산된다. 2012년 들어서는 정당방위를 위시한 살인이 무죄로 풀려나는 사건들이 많이 생겨서 말이 많다.
또한 술에 매우 엄격한 국가인데, 구매하거나 마실 수 있는 최소 연령대도 한국보다 엄격하다. 미국의 경우 21세가 되어야 술을 구매할 수 있으며 여담으로 대학생 관광객들이 술을 구매하려 할 경우 점원이 여권을 보여달라고 요구할 수 있다. 반드시 여권을 보여줘야 한다. 국내 신분증은 적용이 안 된다.[92] 또한 밖에서 대놓고 술을 마시는 것도 금기사항이며, 미국인들의 경우 한강변에서 술을 마시고 노는 한국 대학생들을 보고 문화 충격을 받은 경우도 많다고 한다.
특히 성 문제가 엄해서 자정만 넘으면 성인 방송이 나오는 한국 케이블에 비해 미국은 새벽 3시가 돼도 15세 이상은 틀어주지 않는데, 법에서도 아동 성범죄에 한정되긴 하지만 말 그대로 치를 떠는 수준이며, 아동 성범죄와 살인죄를 사형만 제외하고 동일 선상에 놓고 있는 주가 대부분이다. 이외 좀 특이한 점은 다른 나라와 달리 아동 포르노 소지자도 거의 강간범에 준하여 다스린다는 것인데, 대부분의 국가와는 확실히 다른 점이다.[93]
하지만 반대로 성인의 성은 한국보다 훨씬 개방적이며 철저하게 자기 책임으로 처리하는 국가이기도 하며, 실제 미국 라스베이거스 밀랍인형 박물관에는 전설적인 포르노스타 제나 제임슨도 전시되어 있다. 미국은 '자유 국가'답게, 개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이상 가급적 국가의 개입은 최소화하는 편이다. 따라서 두 사람이 '합의'하에 하는 경우는 행복추구권을 존중하여 가급적 간섭하지 않고 자유를 봐주는 편이다. 2015년에는 논란을 빚던 동성결혼이 미국 전역에서 합법화되었다. 음란물도 둘다 합의하에 찍은 거라면 존중해 주는 것이고, 단, 성폭행은 남에게 객관적으로 큰 피해를 안긴 것이기에 자비 없이 엄벌에 처한다. 아동 성범죄를 저지른 범죄자가 감옥에 가면 미트스핀 철도에 올려진다는 것이 정설이다.[94] 하지만 영미법을 따르고 치안이 선진국치고 그리 좋지 않아 본보기로 엄벌의 때리는 실정에 가깝고 정작 법조계는 엄벌주의에 회의감이 많고 독일처럼 교화 위주로 수감해야 한다고 하는 사람도 많다. 특히 1994년 클린턴 정부 때 경찰을 중무장화시키고 범죄자들을 쉽게 잡아 형량 높여놨더니 이후 교도소 수감 인원이 전에 비해 2배가 되고, 수감자들은 너무 오래 수감됐다 보니 죄를 뉘우치려고해도 출소해서 재사회화할 시기도 놓쳐 늙어서라도 기존에 아는 범죄 기술만 연마하고 서로 가르쳐주기만 하고, 수감된 동안 주 정부의 재정에 큰 부담을 주니 사설 교도소에 민영화해 버리고, 민간 기업은 감사를 할 수 없으니 돈만 빼가고 복지 기준에 한참 미달인 교도소를 운영하는 실정이면서 수감 인원만큼 정부 지원금을 받아 챙기니까 아무 이유 없이 불량하다고 얼버무리고 형량 늘려버리고 세금만 먹는 이익집단으로 변모했다. 교육과 의료 시설에 투자해야 할 자금이 줄어들어 사회 시설은 노후화되고 열악해지고 그래서 범죄자도 더 생겨나고, 악순환이다.
미국에서는 파이트 클럽 비스무리한 모임이 존재하며 유튜브에서 현피 영상을 볼 수 있다. 한국에서는 2006년 8월, 디씨 패션갤러리의 앙숙이던 네임드 유저 2명이 키보드 배틀 끝에 원한의 '그러지(grudge) 매치'처럼 주먹으로 담판짓기로 하고 많은 팬들의 응원 속에서 만나서 격투를 벌인 적이 있다. 아무래도 디씨 유저들이 관중이었으니 적당한 선에서 싸움 끝내고 중재하여 화해하고 다 같이 단체 사진 찍고 나름 훈훈하게 마무리되었으나, 당시 방송까지 탈 정도로 큰 사회적 논란이 되었다. 결국 둘은 고등학생 신분의 '미성년자'였음에도 폭행죄로 서울강남경찰서에 사이좋게 불구속 입건되었다.# 당시 댓글에는 싸움을 구경하러 '관중'으로 나왔던 디씨 유저들을 비난하며 '한국은 미개 국가'란 식으로 맹목적으로 비난하는 댓글이 많았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자신의 길거리 싸움 동영상을 유튜브에 올려 유명해진 킴보 슬라이스 같은 인물도 있는데, 사실 실력은 썩 좋지 않았지만 유명세로 인해 UFC에도 진출했다.[95]
그 외에도 최소한 형식적으로는 "자유로운" 나라라서 자신이 어떠한 사상을 가지고 있어도 절대로 정부가 그것을 제한하려고 하지 않는다. 쉽게 말해 오바마의 사진에 히틀러의 콧수염을 붙여도 그것을 이유로 국가반역죄 같은 걸 뒤집어쓸 걱정은 없다. 하지만 요즘 애국자법이라든가 SOPA같은 법규 이슈나 공공연한 로비 및 검열 탓에 유럽 국가들로부터 "자유의ㅋㅋㅋ나라ㅋㅋㅋ" 같은 식으로 비웃음당할 때가 있다. 게다가 명예훼손을 아예 의식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아닌 게 사우스 파크에서 정치인을 재미 삼아 풍자하는 건 죄가 안 되지만 대놓고 기사를 써서 깔 경우 민사소송에 걸려 거액을 물어낼 수도 있다. 게다가 불법 행위로 인한 것이나 간통 같은 특이 케이스가 아니면 어지간해서는 법원에서 안 받아 주는 한국에 비해 미국의 민사소송은 그 범위가 훨씬 넓고 광범위하다. 다만 미국 언론 특유의 심각한 정치편향성으로 인하여 미국의 2022년 언론자유지수는 5년째 한국보다 낮다.
전체적으로는 아랍 국가들을 제외한 국가들 중에서는 러시아와 함께 종교주의 성향이 매우 강한 국가로 꼽힌다. 남북전쟁 기준의 북부(동북부+중서부)와 서부를 제외한 지역은 미칠 듯이 종교적이다. 가끔 기독교 신정 국가가 아닌지 의심이 갈 지경인데[96] 특히 중부나 남부 시골은 중동 국가 떠오를 정도로 종교에 집착하는 편. 이 때문에 영 이해가 안되는 이상한 법규들도 많다. 그런데 재미있는 점은 종교주의의 표현에 대해 불쾌함을 느끼는 사람들도 많다는 것이다. 당장 칸예 웨스트가 2004년 당시 자신의 신앙심에 관한 노래를 내려 했을 때 내 음반이 팔리지 않는다는 것에 대한 비판을 한 적이 있을 정도로 여기에 부정적인 의견을 표하는 사람들이 많다. 즉 개신교가 반쯤 국교이지만, 자유주의 국가답게 여기에 대한 의견이 사람들마다 매우 많이 갈리는 편.
아직도 18세기 수준 기술과 문화를 간직하고 있는 아미쉬 공동체들이 수십 개 포진해 있는데, 여기는 "어젯밤 여동생 따먹었음 ㅋㅋ" 이런 게 남자 중딩들 사이 무용담으로 회자되는 게 일상인 곳이 상당수다. 오빠가 여동생을 강간할 동안 집에 있는 엄마는 자신도 어렸을 때 그렇게 당한 걸 상기하며 모른 체하는 PTSD를 앓는 게 일상인 곳이다. 2006년에 외지인이 들어와서 부녀자를 강간했는데, 남자들이 대표해서 나와서 "그깟 게 뭔 일이냐고 호들갑이냐, 우리는 그냥 용서했다."라고 하고, 피해자가 항의하는 일도 적지만 그럴 용기가 있으면 "감히 마을의 중심이자 하나님의 대변자인 목사님께서 결정한 일에 토를 달려고 하느냐!"라고 사회에서 매장당한다. 기껏 해봤자 2주 정도 사회에서 없는 사람 취급(shunning)만 하고 이후에 지나간 일은 언급하는 걸 금기시한다. 탈출하려고 해도 어디를 갈지 모르는 경우도 상당수고, 2018년 이전 여성들이 운전 못 하는 사우디아라비아처럼 남편이나 아버지가 관리하는 말을 홀로 타고 나갈 수도 없다. 결정적으로 "아미쉬는 외지에 나가면 끔찍하게 탄압당할 것이다"라는 믿음으로 세뇌하기 때문에 공동체 밖으로 나가려고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창조설 지지자들이 활개치기도 한다. 유럽의 기독교도들은 과학적 담론과 종교적 입장을 구분해서 생각하는 반면[97] 세계의 첨단과 전통적인 요소가 공존하는 참 특이한 나라다.
인터넷 도메인도 세계 패권을 잡는 국가답게 일반 최상 도메인만 사용한다. 웬만한 기업은 co.us가 아니라 .com이고 글로벌 기업은 각 국가별 도메인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유독 미국만 .com/us다. 정부 기관은 죄다 .gov이고 군에서는 .mil 도메인을 사용하는 국가는 미국이 유일하다. 사실 이는 상용 인터넷 자체가 미국에서 개발된 것인 영향이 더 크다.
또한 날짜를 월일년식으로 쓰는 특이한 나라. 대에서 소로 가는 연월일[98] 도 아니고 소에서 대로 가는 일월년[99] 도 아닌 방식을 채택하는 국가는 미국 외에 캐나다(영어권) 등 몇 나라 안된다.
조지 워싱턴 때부터 적용하는 청탁 금지법이 존재하고 있는데 생각보다 빡세서(특히 텍사스주) 선물 주고받거나 간식을 보내는 행위 자체를 금지하고 발각 시에는 무조건 폐기해야 한다. 그래서 윗사람에게 허락받아도 안 되고 또 대통령이 와도 안 된다. 그러나 액수 공개만 하면 합법 로비가 가능한 나라이며 워낙 흔하기도 해서 공개해도 뉴스거리도 안 되어 대중은 무덤덤해져서 문제다. 자신들이 몇 년마다 투표를 통해 정치에 참여하지만 대기업들 입장에서는 선거 때만 잠시 힘이 약해질 뿐, 선거만 끝나면 누가 당선 되든지 자신들이 원하는 정책을 펼치도록 돈으로 투표를 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세계적으로 쓰이고 국제 표준(ISO 8601)인 24시간제를 거의 쓰지 않는 나라이기도 하다. 군대 등 특수한 케이스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12시간제만을 쓰는 국가는 인도, 필리핀, 미국, 캐나다(영어권), 호주 등 영어권 국가와 미국의 영향을 받은 한국 등 정도이다. 영국도 영어권 국가이긴 하나 일기예보 등에선 24시간제를 쓴다. 구어체에서는 12시간제가 자주 쓰이기는 한다. 일본도 표기 시에는 24시간제가 더 많이 쓰인다. 12시간제는 구어체에 한정되는 정도.
예를 들어 미국 디즈니랜드 홈피에 가보면 '10:00 PM'이라고 적혀 있으나, 도쿄 디즈니랜드 홈피에 가보면 22:00이라고 적혀 있다. 다만 공식적인 표기의 차이일 뿐, 막상 가서 물어보면 구어체로는 12시간제다. 일본도 한국과 똑같이 AM/PM에 해당하는 오전/오후가 존재하여 오후 5시라면 "고고(오후)5시"라고 말하지, 17시라고 말하는 경우는 보기 힘들다. 물어보면 22:00라고 적혀 있어도 계산해서 10시까지라고 답변해 줄 것이다. 손목시계든 벽시계든 바늘시계 자체가 12시간제로 나와 있다 보니, 그냥 보이는 대로 읽어주는 게 말하는 사람이든 듣는 사람이든 편하다. 사람들이 자는 시간인 새벽 시간대에는 바늘이 가리키는 대로 편하게 읽고, 정작 활동하는 시간대에는 바늘이 가리키는 숫자에 12를 더해서 말해야 한다면 참 불편하고 불합리하지 않겠는가.
또한 미국은 Do It Yourself 문화가 매우 발달해 있는데, 그 이유는 미국은 서비스 물가 수준이 한국에 비해 2~3배정도로 매우 비싸기 때문. 사실상 A/S는 고사하고, 병원비, 외식비, 수리비, 이사비 등등 사람 손이 거치는 것이라면 전부 한국보다 2~3배 정도 비싼데 오히려 A/S 비용보다 새로 하나 사는 게 더 저렴할 정도로 인건비가 매우 비싸다. 예를 들어보자면, 한국 같은경우에는 간단한 부품 교체도 대부분 자동차 전문 수리소에서 맡기는 게 대다수인데 미국의 경우 간단한 부품 교체 작업도 서비스비로 매우 많은 돈을 요구하기 때문에 자동차 운전자가 직접 수리하는 게 대다수이다. 이런 미국의 독특한 문화 때문에 위키백과처럼 인터넷에서 쉽게 정보를 찾아볼 수 있는 사이트가 미국에서 매우 발달되어 있고 셀프 주유소, 셀프 계산대 비율이 50% 가까이 되기도 한다.

한국을 제외하면 나무위키 접속량이 가장 많은 해외 국가.
트라이버튼의 설문에 따르면 응답자의 18.4%가 다시 태어난다면 미국에 태어나고 싶다고 한다.
미국은 남자와 여자의 신발사이즈가 다른 나라 중 하나이다. 미국에서 7호 사이즈 신발은 남자 250mm, 여자 240mm로 10mm 차이가 난다.
9.3. 국민 정서[편집]
대한민국, 일본은 물론이고 중국에 비해서도 일반적으로 외향적인 성향이 매우 강하다.[100] 그래서 밝고 사교적이고 잘 노는 성격을 좋게 여기며[101] , 미국 정부에서 강력하게 통제를 하는데도 불구하고 유흥업소, 마약 등 유흥 문화가 발달했다.[102] 특히 남성의 경우 마초적인 남성상(알파메일)이 선호되므로 외향적인 성격과 운동을 잘하는 능력이 여성보다 훨씬 중요하다. 이러다보니 실제로도 운동을 못하거나, 성격이 조용하고 소심한 애들은 미국에서 생활하면서 문화적인 괴리감을 제법 느끼는 편이다.
미국인의 정서가 워낙 활발하고 외향적이다 보니 한국인이 미국에 가면 문화충격을 받곤 한다. 미국에 인성이 나쁘고 문란한 사람들이 많다는 인식이 있으며, 실제로도 학군이 안좋고 분위기가 험한 동네를 가면 소위 말하는 일진, 양아치가 매우 많고 범죄율도 매우 높다. 유럽에 비해서도 곳곳에 갱단 등 온갖 범죄조직들이 더 많이 활개를 친다. 다만 대다수의 조기유학생들은 유학을 갈때 행동 규율이 엄격한 명문 사립학교나 개신교 미션스쿨, 가톨릭 학교를 주로 들어가기 때문에 스스로 안좋은 동네를 일부러 가지 않는이상 험한 사람들과 마주칠 걱정은 굳이 하지 않아도 된다.[103] 또한 동네가 별로 좋지 않은 곳의 학교를(이른바 수월하게 점수 더 잘주는 학교들) 설령 간다 하더라도 본인의 행동방식과 선생님들이 주도하는 학교 분위기에 따라 케바케로 상이하기 때문에 상식을 심하게 넘어가는 행동만 일부러 하지 않는다면 큰 걱정을 할 필요는 없다. 대학교에서는 더더욱 이런 상황을 별로 걱정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제법 모범적이거나 보수적인 사람들 조차도 내향적이거나 사회성이 부족한 사람, 모범생, 긱, 너드, 오타쿠 등을 좋지 않게 여긴다. 특히 남성이 이런 성격을 가지면 남자답지 못하다, 충분히 생산성이 없는 삶을 산다는 조롱에 시달리면서 뒤돌아서서 찐따 대접을 받거나 최악의 경우 왕따가 되기도 한다. 미국을 비롯한 서양에서 남자는 운동을 못하고, 힘이 없거나 조용하면 최악의 경우 왕따를 당할수도 있다는 소문은 사실상 20-30년 전에도 제법 한국에 퍼져있는 소문이었고, 현재 시점에서도 결코 완전히 헛소리는 아니다. 이는 시대가 아무리 변했어도 대다수 서방국가들의 역사가 기본적으로 개척으로 시작했다는 사실만 참고해도 대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부분이다. 물론 장소와 본인이 속하는 그 사회의 분위기에 따라 케바케의 법칙이 존재하기에 일반화를 하기는 어려우며, 맹신할 필요는 없다.
반면에 아이비리그를 비롯해서 명문대에 다니고 있거나 명문대 출신인 사람들[104] , 박사 학위를 받은 사람들은 미국 특유의 외향적인 문화에 별로 섞이지 않고, 최소한의 인간관계만 유지한 채로 살아간다. 설령 정치나 경영 계열에 입사할 정도로 사교성과 외향성이 아주 좋은 엘리트라도 다 주변 인맥은 그만그만한 스팩의 사람들로 대부분 채워지지 그들이 일반인들과 공적으로도 아닌 사적으로까지 어울릴 확률은 매우 적은 편이다.
9.4. 치안[편집]
일단 미국은 나라가 크다 보니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고, 안전한 지역은 선진국 중 상위권인 독일 수준으로 치안이 좋은 지역도 있지만, 총기 문제 등의 한계로 최상위권인 대한민국과 비슷한 정도의 치안을 가진 지역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며, 대체적으로는 세계 최고의 경제 대국치고는 치안이 심각하게 나쁘다. 특히 치안이 좋지 않은 지역은 중남미 개도국이나 아프리카 상당수 국가들 수준이다. 총기 문제, 인종 문제, 마약 문제, 빈부격차 문제 등 여러 사회 문제로 범죄율이 선진국 중 가장 높다. 미국의 살인 범죄율은 선진국 중 제일 높고, 강간 범죄율, 강도 범죄율 등 다른 중범죄율도 선진국 중 최악 수준이다.
사실 90년대 초까지는 미국의 치안은 더 안 좋았고, 지금은 많이 좋아져서 그나마 이 수준이다.[105] 90년대 이후 경찰력을 강화해서 살인 범죄율이 절반 이하로 감소했고, 70 ~ 80년대 선진국 최악의 막장 범죄도시로 유명했던 뉴욕 등 일부 지역은 경찰력 강화와 엄벌주의가 큰 효과를 봐서 중범죄율이 급감했다. 80년대 이후 엄벌주의로 범죄자들에게 중형을 선고해 수감자 수가 급증했다. 특히 미국은 수감자 수가 240만 명으로 세계 1위이고 인구수 대비 수감자 비율도 세계 1위이다. 미국 성인 100명 중 1명은 교도소에 있으며, 전 세계 죄수의 4분의 1이 미국인이다.
범죄조직 역시 많아서 미국은 갱스터와 마피아, 바이커 갱 등 각종 흉악 범죄자들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그래서 미국은 그들을 단속하고 소탕하는 경찰 조직과 경찰 조직에 준하는 수사기관들이 굉장히 많다.
무엇보다 한국과 일본은 하나는 섬나라고, 또 하나는 3면이 바다에 한 면은 북한이니 사실상 섬나라라서 도망칠 곳도 없다. 그리고 국토가 작아서 CCTV나 주변 목격자들을 통한 동선 파악이 쉬우며, 총기 자체도 불법이기에 치안이 좋다. 하지만 미국은 한국과 일본의 치안이 좋을 수 있는 조건을 반대로 뒤집어놓았다. 그러다 보니 제 아무리 최첨단 과학 수사와 경찰력을 높인다 해도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106]
그래서 범죄 전문가들은 양형도 중요하지만, '걸리면 잡힌다'는 것을 인식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왜냐하면 범인들은 양형이 몇 년인지를 떠나서 일단 잡히면 실패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안 잡힐 자신이 있을 시에 범죄를 저지르기 때문이다. 실제로 으슥한 골목길이 많은 빌라촌이 아파트촌보다는 우범 지대화되기도 한다. 아파트는 경비 초소가 곳곳에 있고 널찍하게 오픈되어 있기에 '투명한 어항'에 가깝다. 하지만 미국의 주거지는 '불투명한 어항'에 가깝기에 범죄의 유혹이 강한 곳이다.
게다가 미국은 도심을 좀만 벗어나면 다들 널찍히 떨어져서 거주하므로 한국의 빌라촌만 해도 차라리 감시가 되는 곳에 가깝다. 말 그대로 CCTV도 없는 황야에 가까워서 범죄를 당한 뒤 도와달라고 호소해도 소용없는 환경이다. 황야에 가까울 정도로 너무 크다 보니 CCTV 설치와 감시도 한계가 있다. 그래서 한국의 빌라촌 정도만 해도 엄청나게 안전한 환경일 정도다. 미국은 시골까지 갈 것도 없이 조금만 교외 지역으로 가면 황야에 가까워서 완전범죄가 될 것 같은 유혹이 든다.[107] 한국은 요즘 들어서는 시골에도 아파트가 많이 들어서서 어항처럼 투명하게 서로 감시받는 느낌이라면, 미국은 교외 지역만 되면 '아무도 못 보는 으슥한 어항'이나 다름없기에 범죄의 유혹이 들 수 있다. 특히 강도죄란 걸 단순히 양아치들만 저지르는 게 아니고 착한 서민도 빚에 시달리면 누구나 강도가 될 수 있기에 문제다. 당연히 강도 성공률이 높은 환경이라면 유혹에 넘어가기 쉬울 터.
더군다나 범행에 날개를 달아주는 것이 총기인데, 미국에서 총 구하긴 어렵지 않다. 요즘은 규제가 늘었다지만 조금 더 복잡해졌을 뿐이고, 불법적인 루트도 얼마든지 있기에 결국은 아무나 총으로 무장할 수 있다. 또 칼로 강도질하는 것보다 총으로 강도질을 하는 게 훨씬 쉽다. 교외 지역에서 강도질하는 것은 맘만 먹으면 누구나 할 수 있을 정도. 강도는 금품이 목적이지 살인이 목적이 아니기에 상대를 죽이겠다고 위협해야 하는데, 사람이 위협을 느끼면 아드레날린이 분비되며 힘과 스피드, 반사신경이 향상되고 경계하는 능력도 올라간다. 방심하고 있는 격투기 선수 김동현을 기습적으로 찌르는 것과, 싸움 태세를 갖춘 뒤 덤벼보라고 할 때 급소를 찌르는 것은 난이도가 확 달라진다. 동물을 도살할 때도 일격에 죽이는 것을 실패하면 동물이 눈치채고 필사적으로 격렬한 저항을 하며 날뛰기에 어려워지는 것처럼. 이렇듯 칼은 상대가 대비하기 전에 찔러야 위력적인데, 강도질을 하려면 위협을 해야 하고, 위협을 하면 칼로 찌르기가 힘들어 리스크가 커진다. 이렇게 위험 부담이 크다 보니 칼만 가지고는 강도질을 할 유혹이 크게 들지는 않는다. 하지만 강도가 총을 들고 있으면? 손가락만 까딱해서 상대가 대비를 하거나 말거나 죽일 수 있고 당하는 쪽도 이걸 알고 있으니 성공하기가 훨씬 쉽다.
또 칼은 상대가 냅다 뒤돌아서 도망쳐 버려 실패할 확률이 높다면, 총은 그러다간 진짜로 총 맞는다. 상대가 총을 겨누고 있는데 뒤돌아서 도망치는 경우는 없으므로 총을 소유한 강도 범죄는 누구든 쉽고 성공률이 높다. 실제로 대한민국 외교부에서 운영하는 해외 안전 여행 사이트의 공식적인 내용으로도 총을 든 오토바이 강도를 만나면 그냥 돈을 주라고 권고한다. 으슥한 곳에서 차를 세워두고 있으면 강도가 나타날 수 있는데, 돈이 아래에 있어서 손을 밑으로 내리면 총 맞을 수도 있으니 손은 강도가 잘 보이게 올려놓으라고 권고할 정도다. 만약 칼이라면 그냥 액셀 밟아버리면 되지만, 총은 범행 성공률이 높기에 범죄율이 높아질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
이렇게 보면 언뜻 "총기를 불법화하면 되지 않나" 싶지만, 문제는 미국에선 이미 총기가 풀릴 만큼 풀린 데다가 심지어 자체 제작을 할 수 있을 정도로 대중화되어 있다 보니, 자칫하면 범죄자들의 총이 아닌, 방어하려는 서민들의 총만 빼앗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거다. 한국이야 어차피 국민들이 총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드무니까 총기 규제를 풀지 않으면 그만이지만, 미국은 양아치나 범죄자들이 이미 총을 잔뜩 소유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 총기를 불법화하면 미국에 풀려 있는 총기를 전부 회수해야 하는데, 이것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중국 경찰처럼 한 명마다 샅샅이 집을 수색한다고 해도 마당이나 오지에 숨겨놓았다든지 하면 절대 못 찾는데다가, 미국은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국가이기에 이렇게 할 경우 반발이 워낙 커서 그렇게 할 수도 없다.
결국엔 자율적으로 총기를 반납하는 국민들은 법을 잘 지키는 서민들일 테니, 착한 서민들이 호신용으로 쓰는 총만 빼앗아 치안이 오히려 더 악화되는 결과를 초래될 수도 있다. 지금은 총을 소지한 양아치들이 평범한 서민들도 총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통제가 되는 면도 있다. 즉, 내가 총을 가지고 있다해도 저 서민들도 총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니 함부로 나서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하지만 착한 서민들이 모두 양심적으로 총을 반납한 것을 알게 되면 오히려 범행 유혹이 더 높아질 위험이 있다. 어차피 양아치들이야 지금도 불법으로 총기 소지하고 있으니 총기 불법화해도 타격이 없으나, 서민들은 타격이 크다. 그러다 보면 서민들도 음지에서 총을 구하여 자신을 지키려 하다 보면 그것 자체가 불법이기에 이들도 처벌을 받을 수 있고, 오히려 음지에서 유통되는 총들은 더 국가에서 통제하기가 어려워지므로 차라리 양성화해서 관리하는 게 나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미국은 악명 높은 마약 카르텔이 깔려 있는 멕시코와 국경을 맞대고 있고 통제가 잘 안 되고 있기에, 결국 범죄자들은 어떻게든 불법루트로 총기를 구할 테고[108] , 반면 서민들은 총이 없으니 강도 범죄에 더욱 취약하게 노출될 위험이 있다. 한국과 일본도 총기 관리가 잘 되는 국가임에도, 2000년대에 러시아 마피아 조직원들과 일본 야쿠자 조직원들이 한국과 일본 땅에서 총격전을 벌이는 것이 뉴스에 보도된 적이 있다. 한 마디로 총기를 엄격하게 통제하는 한국과 일본에도 어떻게든 총기를 가지고 들어올 놈들은 들어올 수 있다는 건데, 하물며 미국은 말할 것도 없다. 즉, 총기 규제에 실효성이 있느냐 하는 의문이 들 수 있다는 것이다.
2021년, 집에서 불법 총기 제조·판매하던 13살 소년이 검거되었다. 온라인을 통해 판매를 했는데 사겠다고 찾아온 청년들이 돈을 지불하지 않고 총만 들고 달아나려 하자(...)
게다가 미국은 그 자체로 땅덩이가 넓을뿐더러, 멕시코, 캐나다 등 인접국가들과 국경을 맞닿고 있어 맘만 먹으면 도망치는 것도 쉽기에 범죄자들에게는 지상락원에 가까운 환경이다. 특히 멕시코의 불법체류자들이 무단으로 국경을 넘어와서 미국이 골머리를 앓고 있는데, 반대로 말하면, 멕시코인이 몰래 미국에 넘어와서 범죄 저지르고 다시 자국으로 째버리면 잡기도 어려워서 완전범죄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사실 미국의 미제 사건이 100% 다 자국인들이 저지른 범죄라고 보기도 힘들다. 악명 높은 멕시코 조직원들도 미국을 몰래 제집 드나들듯 대놓고 막 다니며, 이들이 미국에 와서 범죄 저질러도 잡기가 힘든 게 미국의 현실이다.
미국에는 툭하면 뉴스에 나오거나 더 나아가면 대형 총격전 수준이 아닌 이상 아예 뉴스에조차도 안 나오는 위험한 도시들도 매우 많다. 특히나, 아래에 표기된 도시들은 미국에서 치안이 나쁜 곳들로 유명하며, 볼드로 쳐진 곳들은 안 그래도 치안이 안 좋은 미국 내에서도 상당히 위험한 곳들을 뜻한다.
-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중남부 - 그 악명높은 컴튼과 잉글우드[109] , 롱비치가 있는 곳이다. 이곳은 낮에도 가지 않는 것이 좋다.
- 오클랜드
- 스톡턴
- 뉴올리언스
- 디트로이트
- 플린트
- 캠든
- 애틀란타
- 세인트루이스 - 미국 내 살인 범죄율 1위 도시이다.
- 클리블랜드
- 시카고 남부 - 예외적으로 다운타운과 미드타운, 북서부 일대는 상당히 안전하다. 밤에 산책해도 될 정도이다.
- 게리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밀워키
- 멤피스
- 버팔로
- 볼티모어 - 미국 내 살인 범죄율 2위 도시이다.
- 캔자스시티 - 같은 주에 있는 세인트루이스 급으로 위험한 편은 아니지만, 그래도 치안이 나쁜 미국답게 매우 조심해야 한다.
- 푸에르토리코
- 필라델피아 켄싱턴 - 마약 관련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며 헤로인 월마트라는 별칭이 있을 정도로 거리에 많은 수의 마약중독자들이 좀비처럼 거리를 돌아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 마이애미
- 뉴어크
- 신시내티
- 알래스카 - 총기 규제가 느슨한 지역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총기 규제가 느슨한 이유는 북극권에 속한 지역인만큼 위험한 야생동물들로부터 생명을 지키기 위해서이다. #
- 뉴욕시 브롱스, 퀸스 일부
9.5. 빈부격차[편집]
미국은 OECD 국가 중에서 빈부 격차가 상위권에 드는 나라다. 계층별로 분석해 보면 교육과 소득 하위권일수록 비만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나는데 미국의 경우 빈부 격차가 심해서 하위 계층이 많은 관계로 비만율이 높아지게 된다. 가난한 계층에서 높은 비만율로 이어지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채소보다는 가공 식품이 싸고 요리에 시간을 들일 필요가 없어서 섭취가 간편해 저영양 고칼로리 식품을 주로 섭취하게 된다.
- 시간과 돈에 여유가 없어 비만이 생기더라도 다이어트로 관리하는 타 계층과 달리 비만을 관리할 여력이 없다.
- 하위 계층일수록 훨씬 많은 노동량으로 가정에 소홀히 하는 경향이 나타나서 소아비만이 나타날 확률이 높다.
- 비만으로 인하여 사회에서 악영향을 받아 비만이 더 가난하게 만들고 후세가 이를 물려받는 악순환이 나타나게 된다.
미국뿐만 아니라 빈곤층에 비만이 많은 중남미계 나라들도 거의 이런 이유가 대부분이다.
비만 자체가 건강하지 못하고 잘못된 생활 습관의 결과물이다. 아동의 경우는 부모가 자녀에게 올바른 생활 습관을 길러줘야 하는데, 빈곤층의 부모일수록 자녀에게 신경 쓸 여력이 부족해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또 성인의 경우도 경제력이 있는 계층일 수록 건강과 외모에 투자하는 경향이 높다 보니 건강과 외모의 대표적인 적이라 할 수 있는 비만에는 특히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에서는 경찰이 도너츠를 먹고 있는 장면이 하나의 밈화가 될 정도로 고칼로리 폭탄이 곳곳에 널려 있는 환경이므로 까딱 방심하면 돼지 되는 건 순식간인 환경이다. 게다가 고칼로리 폭탄이라는 의미 자체가 단맛 범벅인지라 중독성과 유혹도 끝장 수준이라서 자기 관리가 부족하면 절제하기가 힘든 환경이다. 미국 만화에서 한시도 손에서 도넛을 떼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 비만의 상징일 정도이다.
'몸짱' 운동 선수들이나 연예인들도 일류 트레이너가 붙어서 노력하니까 만들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가수 자넷 잭슨은 휴식기에 110kg까지 찐 적이 있었다. 자기 관리에 철저한 프로들도 조금만 방심하면 이럴 정도니 일반인들은... 한편 마이클 잭슨은 음악 활동을 위해 평생을 조금 먹으면서 마른 몸매를 유지했다.[110] 달리 생각해 보면, 세상에서 가장 굶어죽기 힘든 나라인 것도 분명하다. 실제 체중 증량하기는 너무 쉬운데 미국 메이저리그의 전설적인 사이 영 상 투수 팀 린스컴이 한때 체중을 한창 늘리던 시절에는 미국 서부의 유명 프랜차이즈인 인앤아웃버거를 애용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9.6. 비만[편집]
아래에 서술될 내용은 위의 영상을 참조하여도 좋다.
미국 요리 문서에서 크고 아름다운 식단에 감탄하다 보면 자연스레 깨닫게 되겠지만, 그래서인지 비만율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이다.[111] 비만율로 1위 먹는 나라가 이 나라와 영국, 멕시코, 호주 그리고 걸프 연안 아라비아 반도 부국들이다. 즉, 미국과 이웃인 멕시코는 둘 다 사이 좋게 뚱보 국가인 셈이다.
대도시에 가면 신장 6피트, 체중 270~280파운드[112] 쯤 나가는 남성 정도는 길거리에서 흔하게 볼 수 있고, 450파운드[* 미터법 기준으로 204kg. 이 정도면 키가 무슨 골리앗이라도 되지 않는 이상 전시근로역이다.]에 육박하는 사람도 간혹 볼 수 있다. 현재 한국 20대 남성의 평균 신장은 174cm, 평균 체중이 67~68kg인데, 미국 백인 남성은 한국 남성에 비해 키는 3cm 크고 체중은 23kg이나 더 나간다. 다시 말해 평균에 불과한 체중이 국제 표준으로는 과체중이라는 뜻이다. 미국 백인 남성 평균 신장 177cm, 평균 체중 91kg, 흑인 남성 평균 신장 177cm, 평균 체중 93kg, 히스패닉 평균 신장 170cm, 평균 체중 82kg으로 히스패닉도 키가 일본인과 비슷한데 몸무게는 일본인보다 20kg 더 나간다. 아시아계는 170cm에 73kg으로 세 인종에 비하면 상당히 정상적인 체중이다. 아시아계는 이민 역사가 가장 짧은 만큼 식습관이 미국화되지 않은 영향이 큰 것이다.
게다가 이건 평균치고, 진짜 비만인만 인구의 3분의 1을 초과한다. 여성의 경우 미국 여성의 키는 평균적으로 한국 남성보다 작음에도, 몸무게는 한국 남성의 평균 몸무게보다 5kg[113] 가량 더 나간다. 미국 백인 여성 평균 신장 163cm, 평균 체중 74kg. 미국 흑인 여성 평균 신장 162cm, 평균 체중 84kg, 히스패닉 여성 평균 신장 157cm, 체중 74kg. 참고로 미국 백인 여성의 평균 신장에 +10cm 해주면 20~30대 한국 남성의 평균 신장이 되고 평균 체중은 4~5kg 이상 더 나가는 게 된다. 한국 남성보다 작은 키에 몸무게는 비슷한 건데, 같이 먹어도 남성은 근육으로 가는 비중이 훨씬 크니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한가?[114] 미국 남성 평균 체격을 한국인 기준으로 볼 경우 신장은 한국 남성 상위 23%, 체중은 상위 5%에 해당한다. BMI 40이 넘는 초고도비만 인구도 6천만 명에 육박한다.
이러한 비만율과 조악한 의료보험, 그리고 총기 소지가 자유라서 벌어지는 각종 범죄나 마약 등 불법 행위들과 꽤 높은 자살률 때문에 미국의 평균 수명은 선진국에서 최하위이다. 한국에게도 2000년대 중반 추월당했고, 1인당 소득이 반도 안되는 2만 달러대 하위권 선진국들보다도 짧다.
미국에서 비만율이 가장 높은 주는 미시시피 주이고 웨스트버지니아, 앨라배마가 그 뒤를 잇고 있다.
9.6.1. 환경적 요인[편집]
미국의 음식은 일반적으로 싸구려 음식일수록 달러당 칼로리 비율이 높아진다. 극단적인 예로 사탕이나 달러 버거[115] , 튀김 음식의 경우 1달러당 600kcal 이상을 얻을 수 있지만,[116] 그렇다고 필요한 열량을 이런 싸구려 음식으로 때우면 염분을 과다하게 섭취하는 동시에 심각한 필수 영양소 부족이 발생하게 된다.
그에 반해서 채소는 양에 비해 비싸다는 인식이 전반적으로 깔려 있고, 채소 음식이라고 해봐야 샐러드 딱 한개만 생각날 정도로 가짓수도 엄청나게 적다. 그리고 사회적 인식상 어지간한 비만은 터치를 안하다 보니 더욱 문제.[117] 또한 한국은 피자가 아무리 저렴해도 6천 원은 넘는 것처럼 같은 음식 계열 내 가격 편차가 크지 않은데 비해, 미국은 저렴한 피자 1판은 2~3천 원에 구매할 수 있을 정도로 같은 음식이라도 퀄리티에 따라 어마어마한 가격 편차가 존재한다. 이는 피자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유사한 종류의 음식에도 적용된다. 이러한 저영양 고칼로리 식품은 어딜 가나 있는 할인 마트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반면, 소위 말하는 바른 먹거리의 경우 도시권에서나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접근성의 차이도 있다.
즉 업무 환경의 변화로 활동량은 감소하는데 저영양 고칼로리 음식은 쉽게 섭취할 수 있게 된 사회·경제·문화적 환경의 변화가 비만의 근본적인 원인이다.
9.6.2. 식습관[편집]
미국인들은 과거에 비해 섭취하는 칼로리가 큰 폭으로 늘어났다. 외식 위주의 생활 습관 변화로 음식 섭취가 늘어났고, 식당에서 1회에 제공되는 음식의 양은 권장량을 쉬이 넘어선다. 패스트푸드점에 슈퍼사이즈 세트 메뉴가 등장했고, 사람들은 탄산음료를 1리터 넘게 섭취하는 일이 흔하다. 미국 현지에 가서 음식을 사보면 알겠지만 양 자체가 다르다. 한국에서 흔히 먹는 얇은 캔 음료는 아예 없고, 커다란 캔이 기본 사이즈[118] 이며 이게 싸게는 자판기에서 몇백 원이면 살 수 있다. 햄버거 세트만 해도 보통 사이즈를 주문해도 한국으로 치면 큰 사이즈의 버거 정도의 크기가 나온다거나 어린이 세트 버거가 빅맥만 하다.
단 음식을 좋아하는 미국인들의 식습관도 문제다. 특히 미국인들이 1년에 소비하는 설탕만 무려 66kg으로, 하루에 반 컵 정도다. 무엇보다 미국 사람들은 초콜릿과 케이크를 달고 살며 심지어 우유조차 흰우유보다 달콤한 맛의 가공우유를 더 선호한다. 심지어 미국산 음식들은 똑같은 음식이라도 해외의 현지 음식에 비해 훨씬 짜고 달며 기름지다. 더 심각한 문제는 유럽에서는 음료에 사용이 금지되고 있는 고과당 콘시럽(HFCS)이 미국에서는 기업의 로비와 정부의 보조금으로 값싸게 유통되면서 모든 곳에 사용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단맛에 중독되면 무의식적으로 더 많은 당을 섭취하려고 노력하게 되어 당이 낮게 포함된 음식은 먹지 않게 되게 만드는 것도 비만율, 덤으로 당뇨병 발병률까지 더 높이는데 일조한다.
9.7. 자동차[편집]
미국 생활에는 자동차가 필수적이다.
미국은 북동부 및 서부의 대도시 정도에서나 대중교통이 발전되어 있지,[119] 나머지 지역은 대중교통 서비스 수준이 매우 열악하다. 앨라배마 같은 소규모 마을 내지는 한국으로 치면 군청 소재지 정도 외곽으로 가면 시내버스는 아예 없고 인도 자체가 없다. 여기에는 역사적으로 미국 전차 스캔들 같은 사건들이 대중교통 미비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유럽권 등지에서 대중교통의 한 축을 차지하는 철도 역시 미국에서는 여객 수송용으로는 별로 쓰이지 않는다.
더불어 많은 사람들이 넓은 마당 딸린 2층 단독 주택에 사는 미국에서는 대도시가 아니라면 비교적 번화한 동네라도 인구 밀도가 너무 낮아 대중교통뿐만 아니라 한국의 동네 슈퍼마켓과 같은 근린 상업 지역이 유지되기가 어렵다. 그러다 보니 대도시가 아닌 이상 껌 하나라도 사려면 10km 이상 떨어진 쇼핑몰에 가야 한다. 이런 식이니 자차가 없으면 생활이 매우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미국에서 도심지의 아파트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지어지는 주택은 3대의 차를 둘 수 있는 차고를 가지고 있는 것이 표준으로 부부 각자의 차 2대에 부양 중인 노령자나 자녀의 차까지 성인이라면 누구나 자기 차를 몬다는 개념이 일반적이다. 미국은 만 16세면 운전면허를 딸 수 있으나 따더라도 만 18세가 되기 전까지는 동승자가 있어야 한다. 일부 주는 만 14~15세[120] 부터 운전면허 취득 가능. 청소년들은 실기로 Learner’s Permit이라 해서 면허가 있는 21살 이상의 성인이 동승해야만 운전할 수 있는 연습용 면허를 취득할 수 있다. 연습을 해야만 도로주행 시험을 볼 수 있고, 도로주행 시험을 봐도 16세 미만은 정식 면허를 주지 않는다. 성인이라면 Learner’s Permit을 받을 필요 없이 실기를 보고 바로 면허를 딸 수도 있다. 보통 미국 학제로 10학년[121] 이 되면 딴다. 때문에 고등학생이 주인공인 미국 드라마를 보다 보면 한 번쯤은 운전면허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고, 미국 고등학교 주차장에는 자동차들로 빽빽하다.
자동차 문화가 이렇게 크게 발전하다 보니 맥도날드 등도 Drive-Thru라고 차를 몰고 들어와 음식을 픽업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122] 심지어 은행도 그렇게 업무를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진짜 몸이 귀찮아진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거리를 걷는다는 개념은 뉴욕이나 보스턴 같은 동부권 대도시나 호놀룰루같이 예외적으로 인구 밀도 높은 도시[123] 에서나 적용된다.
이러다 보니 집-차고, 주차장-목적지 정도만 걸어다닐 수 있으면 생활에 문제가 없다. 이는 동아시아 선진국이나 유럽 등에서 가까운 거리는 걷고 시내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하느냐 여러 번 걷고 또 걷는 것과는 반대인데, 흔히들 떠올리는 미국형 비만이 위에 언급된 지역에서 버스 정류장이나 지하철 환승을 매일 해야 한다면 살이 빠지거나 관절이 망가지거나 둘 중 하나일 것이다. 미국식 비만이라고 부르는 체형이 다른 나라에서 잘 보이지 않는 것은 그런 체형으로는 미국 외의 지역에서 생활이 매우 곤란하기 때문이다.
다른 지역에서도 여러 가지 비만의 요인이 있지만 미국이 유독 두드러져 보이는 데는 고도비만이어도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자동차 문화의 영향이 크다. 유난히 조깅을 아침저녁 일과로 삼는 미국인이 많은 것도 조깅을 따로 하지 않으면 일과 중에 최소한의 걷고 뛰기를 할 수 없는 탓이다.
식문화에서 쓰여야 하지만 바이오 디젤 연료를 미군에서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부터가 미군의 식단이 엄청나게 튀기는 요리 위주이기에 식용유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고 jp-8으로 대표되는 등유 일원화가 아닌 바이오디젤 일원화를 염두에 둔다는 뜻이기도 하다.
9.8. 총기 소지[편집]
A well regulated Militia, being necessary to the security of a free State, the right of the people to keep and bear Arms, shall not be infringed.
잘 규율된 민병대(militia)는 자유로운 주의 안보에 필수적이므로 무기를 소장하고 휴대하는 인민의 권리는 침해될 수 없다.[124]
미국 수정헌법 제2조
미국은 전 인민의 무장화에 성공한 국가란 농담이 있을 정도로 선진국 중 인구 대비 총기 보유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중 하나다. 기껏 해봐야 산탄총 또는 볼트액션 소총 따위의 수렵용 총 보유가 허가되는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영국, 핀란드 등과 달리 이쪽은 권총이나 돌격소총 등 군이나 경찰이 쓸 법한 게 민간인 손에 쥐어져 있다. 그러니 총기가 동원된 강력 사건도 비교가 안 되게 많을 수밖에 없다.
미국은 일반인 총기 소유량 1위 국가로[125] 물론 아프리카, 서아시아 등지의 전쟁, 내전으로 얼룩진 지역들은 합법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풀린 민간 총기들의 경우도 있으니 미국이 실제로도 세계에서 가장 많을지는 확실치는 않지만, 적어도 안정된 선진 사회를 유지하며 합법적으로 총기가 유통되는 국가 중에서는 부동의 1위를 자랑한다. 미국 내에서 합법적으로 유통되는 총 말고도 미등록 총기가 너무 많아서 문제라는 뉴스도 선거철마다 나온다.
총기 관련 규제 법규는 미국 정치권의 만년 떡밥인데, 매번 전미총기협회의 로비로 무산된다. 하지만 미국에서 한국처럼 총기를 완벽하게 규제하기 어려운 이유는 드넓은 영토에 비해 턱도 없는 경찰력 때문인데 미국처럼 넓은 영토를 전부 다 커버할 수 있는 경찰력이 없기 때문이다. 낙후된 어느 시골마을에서 범죄가 발생해서 경찰에 신고하면 경찰이 도착하는데 1시간 이상이 걸리는 곳이 허다하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인해서 낙후된 시골 마을에 사는 미국 주민들은 총기규제에 대해서 반대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고, 경찰 시스템이 잘 갖추어진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총기규제에 찬성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미국인들의 사망 원인 2위가 총기라고도 한다.[126] 연합뉴스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나 알 샤바브 등 외국 테러조직의 위협이 있다고는 하지만 사실 이들 극단주의자들의 테러로 인한 사망자보다 국내 총기 사고나 총기 강력범죄 등으로 죽는 사망자가 훨씬 많다. 하루 평균 40명, 2016년만 해도 9월까지 벌써 1만 명이 총기로 죽었다고 한다. # 시카고 2016년 총기 사망자가 700명을 넘었다고 한다. #
총기로 암살당한 미국 대통령만 해도 4명이 있다. 에이브러햄 링컨, 제임스 A. 가필드, 윌리엄 매킨리, 존 F. 케네디. 이 밖에도 앤드루 잭슨, 시어도어 루스벨트, 로널드 레이건 등이 총격을 당했고 해리 S. 트루먼, 제럴드 포드는 총격을 당할 뻔했다.
다만 총기 소지가 자유로운 미국이라고 해서 마냥 총을 쉽게 구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큰 착각이다. 완전자동화기까지도 큰 어려움 없이 소지가 가능한 소수 주가 있는가 하면, 캘리포니아, 뉴욕 주의 경우는 주민들이 장난감 너프 건이나 물총이 규제된다는 농담을 할 정도로 총기를 빡빡히 규제하고 있다. 그런 주에서는 총기를 합법적으로 구입하기 위해서는 몇 개월간의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야 한다. 총기를 합법적으로 구매했다고 해도, 이를 공공장소에서 휴대하기 위해서는 또 별도의 면허증을 따야 한다. 공공장소 내 총기 휴대도 공개 휴대(Open carry)와 은닉 휴대(Concealed carry)로 나누어진다. 또한 극소수의 주를 제외한 모든 주에서 자동소총을 비롯한 자동화기와 폭탄류의 구매 및 소지는 철저하게 규제하기 때문에, 미국의 민수시장에 풀려 있는 대부분의 소총들은 자동화기들의 반자동 버전뿐이다. 비합법적인 경로로는 그냥 음지에서 자동화기를 구매하거나 반자동화기를 자동으로 개조하거나 사제 폭발물을 제조하는 것 등이 있지만, 수사 기관에 걸리면 골로 간다.
미국에서는 의외로 권총이나 단축형 총기 같은 물건을 더 까다롭게 규제하는데, 이유는 당연 작은 총들이 은닉하기가 더 쉽기 때문이다. 장총은 크기가 커 숨겨서 들고다니다 사고치는 게 어렵고, 눈에 잘 띄므로 이를 범죄에 사용하는 건 작정하고 잃을 게 없거나 미친놈들밖엔 없다. 실제로 미국의 소규모 총기 범죄의 대부분이 권총을 통해 발생한다. 다만 언급했듯 대규모 총기 난사로 넘어가면 대다수 범인은 고화력의 큰 총들을 휘두른다.
물론 이렇다고 해도 총기가 워낙 만연한, 자기 방어용으로 집에 하나씩은 좋으나 싫으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회 분위기이기 때문에, 현지 미국인이나 시민권이 있는 이민자와 친해져서 집에 초대를 받아 놀러 갈 경우, 총 한번 보여달라 하면 실제로 총 구경을 할 수도 있다. 오히려 한국을 잘 모르는 현지인의 경우 “이게 뭐라고 보여달라 하지?” 식의 반응이 나올 가능성이 높을 정도. 또, 총기 규제가 조금 널널한 지역의 경우, 총기 수집을 취미로 하는 사람들이 꼭 몇 명은 있다. 이런 집에 기회가 돼 놀러 가면 무기 전용 금고가 따로 있고 권총, 소총, 산탄총, 저격소총이 종류별로 수두룩 빽빽하게 채워져 있는 장관도 볼 수 있다. 그런 취미를 가진 사람들은 보여주려는 마음도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관심 가져주면 신이 나서 총기 스펙을 열심히 설명해 줄 수도 있다. 심지어 그 집이 어지간히 잘사는 경우나 목축업 등을 해서 마음대로 써먹을 수 있는 사유지까지 있을 경우, 실제로 총 쏘는 걸 눈앞에서 보여줄 수도 있다.
거기에다가, 길에서 걷는 사람들 중에 Concealed Carry, 즉 총기 은닉 휴대를 하고 있는 사람들도 의외로 상당히 많다. 합법으로 허가받고 하던, 안 잡히면 된다는 마인드로 불법으로 하던 자기 안주머니에 작은 권총 하나씩 품고 다니는 사람이 의외로 꽤 있다는 소리다. 가끔 유튜브 영상 보면 강도 당하는 상황에 웬 아저씨가 갑자기 총 꺼내들고 영웅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대부분 이런 경우이다.
9.8.1. 총기 규제 문제[편집]
10. 문화[편집]
10.1. 연구 및 과학 기술[편집]
- 세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노벨상 수상자가 무려 377명이다. 1943년부터 끊임없이 매년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고 있다. 하버드 대학교 출신 수상자만 놓고 봐도 세계 3위인 독일보다 많으며, 여기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 버클리), 컬럼비아 대학교와 시카고 대학교를 포함하면 각각 세계 1, 4, 5위를 차지한다.
- 에너지부 산하 17개의 국립 연구소가 운영된다. 상당수가 맨해튼 프로젝트에 관여하였으며 주기율표 상의 많은 원소들을 발견하여 미국의 지명이나 인물명을 원소명으로 박아넣었다. 각 연구기관마다 세계적 위상을 가지고 있다.
- 비행기를 최초로 발명한 나라인 만큼 항공 우주 분야에선 단연 세계 수석이며 항공기 제조에는 아직까지도 미국이 강세이다. 특히 록히드 마틴에서 개발한 F-22는 단연 최강의 전투기로 유명하며 현재까지도 이 전투기에 대적할 만한 기체가 전무하다. 세계 군용기 시장도 미국이 대부분을 독점하고 있으며 민항기 분야도 유럽의 에어버스와 함께 쌍두마차를 달린다. 보잉에서 개발한 전설의 여객기 보잉747은 하늘의 여왕이라고 불리우며 가장 많이 팔린 베스트셀러 초대형 여객기로 유명하다. 제1세계와 구 공산권, 제3세계 국가들도 미국제 군용기를 많이 애용한다.
- 컴퓨터 분야에서는 미국 기업들을 빼놓을 수 가 없다. 세계 최초의 전자 계산기인 ABC(어태너소프-베리 컴퓨터)와 세계 최초의 컴퓨터라고도 알려진 에니악이 각각 미국의 아이오와 주립대학교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유펜)에서 처음 만들어졌고, 현대 컴퓨터의 핵심 부품들은 대부분 미국 기업에서 만들어졌다. 가장 대표적으로 컴퓨터 CPU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인텔과 AMD는 모두 미국 기업이며, 그래픽 카드 시장을 점령한 엔비디아도 미국 기업이다. 하드디스크의 시게이트와 웨스턴디지털도 마찬가지이며, SSD 분야에서는 삼성과 하이닉스의 뒤를 이어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있다. 소프트웨어도 마찬가지. 세계 컴퓨터의 절대다수가 윈도우, macOS를 사용하는데 모두 미국에서 나온 것이다.
- 휴대폰 분야도 마찬가지이다. 삼성이 갤럭시 시리즈로 세계 시장에서 선전 중이지만, 그 안에 있는 소프트웨어인 안드로이드는 미국 기업인 구글에게서 라이선스를 사서 사용 중이며, 아이폰 하나로 모든 것이 다 설명되는 애플은 두 말 할 필요도 없다. 안드로이드 휴대폰의 CPU를 제작하는 퀄컴도 미국 기업. 이렇듯 휴대폰의 핵심 부품과 소프트웨어들은 다수가 미국 기업에서 만들어졌다.
- 생명공학 분야도 세계 수석이다.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고안한 생명공학자가 미국인이며, 1-3세대의 유전체 편집또한 미국인이 단독 발명했거나, 공동 발명에 미국인이 있다. 제약 생산마저도 세계에서 가장 비중이 크다. 252개꼴의 제약중 112개가 미국에서 만들어진다는 의견이 있다.# 그 유명한 화이자, 모더나의 본사도 미국에 있다.
10.2. 교육[편집]
10.2.1. 대학입시[편집]
10.2.2. 대학 서열화[편집]
10.2.3. 유학[편집]
10.3. 관광[편집]
10.4. 스포츠[편집]
10.5. 공휴일[편집]
11. 군사[편집]
12. 창작물[편집]
- 세계대전 등을 배경으로 하는 전략게임에서는 항상 너프를 당한다. 이유는 미국이 너무 강해서...
- 다이스가 제작한 게임이자 제1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하는 FPS 게임인 배틀필드 1에서 연합국인 대영제국, 프랑스 공화국, 이탈리아 왕국, 러시아 제국과 함께 등장 세력으로 나온다.
- 많은 대중매체 속에서 주인공 내지 주된 배경이 된다. 수많은 슈퍼히어로들과 빌런들의 활동 무대가 되기도 하고 각종 굵직한 단체나 대회 주체의 본산지가 되기도 한다. 미국 국적 캐릭터도 굉장히 많이 나온다. 미국 배경이 아닐지언정 미국 출신 캐릭터는 대부분 하나쯤 갖추고 있다.
- 하지만 당연히 좋지 않게 묘사되는 경우도 많다. 핵 맞고 멸망하는 것 정도는 예삿일도 아니고 좀비 아포칼립스에 국력이 무색하게 쓸려나가기도 하고 정부가 이상한 실험이나 뻘짓거리들을 엄청 많이 해대고 외계인이나 거대 괴수들에게 제일 먼저 선빵으로 두들겨 맞고 타국의 침공을 받아 본토가 뚫리기도 하는 등 수뇌부들이 뇌가 어디로 가출한 건가 싶은 모습도 많이 보여준다.
- 제일 압권인 것은 홈프론트와 폴아웃 시리즈, DC 코믹스, 마블 코믹스. 홈프론트는 이미 영토의 절반 이상을 북한군에게 점령당한 지 오래고 폴아웃 시리즈의 미국은 미국이라고 불러주는 것도 참 미안한 수준이다.[127] DC 코믹스와 마블 코믹스의 미국은 정부가 말그대로 무능과 만악의 근원 그 자체다.[128] 액티비전-베데스다의 울펜슈타인 시리즈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의 일원이자 물주로 활약했으나 결국 독일에게 핵을 맞고 망해버렸는데 1961년에 기어이 반격에 성공해 내기도 한다.
- 더 무시무시한 것은 정작 이렇게 미국을 개막장으로 묘사하는 작품들은 대체로 미국에서 나온 작품들이란 사실. 자기네 나라를 아무런 거리낌 없이 부수고 또 그걸 발매 허가를 내주는 걸 보면 타국인들의 시선에서 보자면 오히려 경이롭게만 느껴질 뿐이다. 이런 것을 진짜 표현의 자유라고 할 수 있다.
미국만 그런 건 아닌 거 같다반면, 중국은 자국이 나약하게 깨지는 모습을 민감하게 검열하며 철저히 금기시한다. 러시아의 경우 중국과는 달리 자국이 막장으로 나와도 관대한 편이지만 물론 자국을 지나치게 악의 축으로 묘사하는 경우는 러시아도 검열하는 편.
- 대한민국의 경우 미국과의 오랜 갖은 국제적 이해관계 때문인지 미국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129] 그나마 반미 성향 대중매체나 일본 국수주의 쪽에서 제작되고 있는 대중매체에서 미국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경우는 종종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그래플러 바키가 있다. 미국을 비하적으로 묘사하는 반미 작품들을 보면 8할 정도는 국수주의 성향 작가의 작품이다. 나머진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전 세계적으로 시망 상태인 걸로 묘사한다(맨발의 겐처럼 반미적이지만 국수주의 성향은 아닌 작품도 있다.). 유럽권 대중매체들은 그냥 미국에 대한 묘사 자체가 거의 없다. 미국보다는 오히려 자국을 좋은 소재거리로 굴린다(우크라이나의 스토커 시리즈라든지...).
- 트럭 시뮬레이터 게임인 하드트럭, 아메리칸 트럭 시뮬레이터[130] 의 배경으로 나온다.
- 1960년대 후반~1970년대 전반을 배경으로 하는 만화 검정 고무신에서 어떤 패드립 장면이 2010년도 후반부터 밈으로 주목받으면서 미국 갔다 = 죽었다라는 은유가 유행하게 되었다. 때문에 '미국행 열차', '미국행 전용기', '미국 하이패스' 등등의 바리에이션이 튀어나왔으며, 나중에는 인터넷 게임 방송에서 방송자가 특정 게임을 (엔딩 없이) 관두고 더 이상 안 하게 되면 그 게임이 미국 갔다는 표현을 쓰게 되었다.
12.1. 미국을 모티브로 한 것들[편집]
일반적인 현대 미국을 모티브로 한 것들뿐만 아니라 아메리카 연합국을 모티브로 한 것도 있다.
- 구름 마을 - 나루토
- 오시아 연방 - 에이스 컴뱃 시리즈
- 산 안드레아스, 리버티 시티, 바이스 시티 - Grand Theft Auto 시리즈
- 문명합중국 - Earth Universe 시리즈
- 미국(폴아웃 시리즈), 엔클레이브, 뉴 캘리포니아 공화국 - 폴아웃 시리즈
- 미국(마브러브 시리즈) - 마브러브 시리즈
- 아메리카 및 태평양 제국 연방(미연) - 대마인 시리즈
- 연방정부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 코메리카 - 절대가련 칠드런
- ARC - 문명: 비욘드 어스
- 오리온 공화국 - DEAD AHEAD
- UEG - 헤일로 시리즈
- U.S.N - 프론트 미션 시리즈
- US아리아드나 - 인피니티(게임)
- 대서양 연방 - 기동전사 건담 SEED 시리즈
- 신성 브리타니아 제국 - 코드 기아스 반역의 를르슈
- 유니온 - 기동전사 건담 00
- 유소니아 연방국 - 아이언 하베스트 1920+
- 북방연합국가 - 은하영웅전설
- 스테이츠 - 레드 아이즈
- 리베리온 - 스트라이크 위치즈
- 빈랜드 합중국 - 전장의 발큐리아 시리즈
- 가메리카 공화국 - 대제국
- 이글 유니온 - 벽람항로
- 오시아, 에메리아 - 에이스 컴뱃 시리즈
- 레드 스타, 웨스턴 프론티어 - 패미컴 워즈
- 카타찬 정글 파이터, 하라코니 워호크 - Warhammer 40,000
- 합중국 - 유녀전기
- 선더스 대학 부속 고교 - 걸즈 앤 판처
- 연합군(DUST) - DUST
- 필킹턴 - 동물농장[131]
- M국 - 강철의 왈츠
- 연합군(레드얼럿2), 연합군(레드얼럿3), 미국 -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
- 중철기 - 미합중국
- 캐피톨 메가코퍼레이션 - 뮤턴트 크로니클
- 테란 연합[132] - 스타크래프트
- 하나지방 - 포켓몬스터 시리즈
- 항성 합중국 - 배틀테크
- UCAS, CAS - 섀도우런
- 아메롭파 - 록맨 에그제 시리즈
- 컬럼비아 연방 - 명일방주
- 66번 국도, 할리우드, 블리자드 월드 - 오버워치
- 뚱뚱이키다리 연합왕국 - 뚱뚱이 나라와 키다리 나라[133]
- A국 - 골판지 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