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포머x프리큐어 올스타즈

덤프버전 : r20200302

분류

1. 개요
2. 특징
3. 등장인물
3.1. 현재까지 등장한 프리큐어
3.2. 오토봇
3.3. 디셉티콘
3.4. 악의 조직의 잔당들[1]
4. 기타


1. 개요[편집]


보러가기
2018년 8월 2일부터 지금까지 연재중인 팬픽. 현재 9화까지 연재되었다.[2]


2. 특징[편집]


아무도 시도해보지 못한 크로스오버[3]

대부분 프리큐어 시리즈같은 제작사다른 작품들과 주로 엮인다는걸 생각해보면 참신한 소재의 크로스오버라 볼 수 있다.[4] 참신한 소재에 어울려 다차원적 특이성을 잘 활용해 나름 멋지게 바뀐 트랜스포머계 캐릭터들은 물론 전개가 나름의 볼거리.[5] 두 작품의 팬이라면 볼 가치는 충분히 있다. 또한 작가가 손수 캐릭터 소개와 성우 캐스팅도 올렸다. 또한 작중 패러디도 볼거리이며 중간중간의 개그씬은 덤.


3. 등장인물[편집]



3.1. 현재까지 등장한 프리큐어[편집]


  • 허긋토 프리큐어
    • 노노 하나/큐어 옐
    • 야쿠시지 사아야/큐어 앙주
    • 카가야키 호마레/큐어 에투알
    • 아이사키 에미루/큐어 마셰리
    • 루루 아무르/큐어 아무르
    • 허그땅
    • 해리햄 해리
  • Yes 프리큐어 5
    • 유메하라 노조미/큐어 드림
    • 나츠키 린/큐어 루즈
    • 카스가노 우라라/큐어 레모네이드
    • 아키모토 코마치/큐어 민트
    • 미나즈키 카렌/큐어 아쿠아
    • 밀크/미미노 쿠루미/밀키 로즈
    • 코코
    • 너츠
    • 시럽
  • 스마일 프리큐어
    • 호시조라 미유키/큐어 해피
    • 히노 아카네/큐어 써니
    • 키세 야요이/큐어 피스
    • 미도리카와 나오/큐어 마치
    • 아오키 레이카/큐어 뷰티
    • 캔디
  • Go프린세스 프리큐어
    • 하루노 하루카/큐어 플로라
    • 카이도 미나미/큐어 머메이드
    • 아마노가와 키라라/큐어 트윙클
    • 아카기 토와/큐어 스칼렛
    • 아로마
    • 파푸
  • 스위트 프리큐어
    • 호조 히비키/큐어 멜로디
    • 미나미노 카나데/큐어 리듬
    • 쿠로카와 엘렌/큐어 비트
    • 시라베 아코/큐어 뮤즈
    • 하미
    • 피쨩
  •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
    • 아이노 메구미/큐어 러블리
    • 시라유키 히메/큐어 프린세스
    • 오모리 유코/큐어 허니
    • 히카와 이오나/큐어 포춘
    • 히카와 마리아/큐어 텐더
    • 리본
    • 글라산
  • 하트캐치 프리큐어
    • 하나사키 츠보미/큐어 블로섬
    • 쿠루미 에리카/큐어 마린
    • 묘도인 이츠키/큐어 선샤인
    • 츠키카게 유리/큐어 문라이트
    • 시프레
    • 코프레
    • 포프리
    • 코론

3.2. 오토봇[편집]


  • 팀 맥시머스(콘보이 그랜드 프라임)
    • 콘보이
    • 아이언하이드
    • 프라울
    • 리제
    • 선스트리커

  • 라쳇
  • 재즈
  • 사이드스와이프
  • 레드얼럿
  • 블러
  • 스모크스크린
  • 인페르노
  • 파이프스
  • 허퍼
  • 범블비
  • 클리프점퍼
  • 기어스
  • 워패스
  • 파워글라이드[6]
  • 퍼셉터

  • 브로드캐스트
    • 램혼
    • 스틸조
    • 리와인드
    • 이젝트

  • 에어리얼봇(슈페리온)
    • 실버볼트
    • 에어레이드
    • 파이어볼트
    • 스카이다이브
    • 슬링샷
  • 프로텍토봇(가디언)
    • 핫스팟
    • 퍼스트에이드
    • 스트리트와이즈
    • 블레이즈
    • 그루브

  • 롤러
  • 탤래트랜 1
  • T-아이


3.3. 디셉티콘[편집]


  • 기가트론
  • 메가트론

  • 스타스크림
    • 썬스톰
    • 썬더크래커
    • 스카이워프
    • 쓰러스트
    • 람젯
    • 더지

  • 레이저웨이브

  • 사운드웨이브
    • 럼블
    • 프렌지
    • 래비지
    • 레이저비크

  • 데몰리셔
  • 블랙아웃
  • 바리케이드
  • 넉아웃
  • 워브레이크다운

  • 트리플 체인저
    • 블리츠윙
    • 아스트로트레인

  • 컨스트럭티콘(데바스테이터)
    • 스크래퍼
    • 믹스마스터
    • 롱하울
    • 그렌
    • 본크러셔
    • 스캐빈저
  • 컴뱃티콘(브루티커스)
    • 온슬라우트
    • 브라울
    • 스윈들
    • 볼텍스
    • 블래스트오프[7]
  • 스턴티콘(매나졸)
    • 모터마스터
    • 드래그스트립
    • 데드엔드
    • 브레이크다운
    • 브레이크넼와일드라이더[8]

  • 비콘
  • 다이노트론[스포일러]

3.4. 악의 조직의 잔당들[9][편집]


  • 나이트메어 사의 잔당들
    • 스패로우
    • 얀마크
    • 로버플
      • 코와이나
  • 배드엔드 왕국의 잔당들
    • 이에가
    • 바케몬
    • 고우스
      • 아칸베
  • 디스다크의 탈영병들[10]
    • 토질
    • 탓타
      • 제츠보그

4. 기타[편집]


확실하진 않지만 9화에서 테크노봇 등장 떡밥이 투척되었다. 또한 추가 등장인물 소개편에서 이터널의 잔당 또한 있다는 떡밥도 동시에 투척되었다.
특이하게도 등장 트랜스포머들의 이름이 대부분 일본명으로 되어있다.[11][12]

현재 추가중이니 제발 자르지 말고 추가바람

[1] 작중 유일한 오리지널 캐릭터 집단이다.[2] 작가의 말에 의하면 9화부터 중반부에 접어들었다고 한다.[3] 사실상 이런 크로스오버는 세계최초까지는 아니더라도 이야기가 전개되었단 점에서 전 세계 유일하다고 볼 수도 없잖아 있다.[4] 사실 (일본쪽에서)초창기 트랜스포머 시리즈도 토에이에서 제작을 주도했다.[5] 물론 프리큐어계 캐릭터들은 캐릭터성이 바뀌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었다.[6] 이후 에어리얼봇에 편입되었다.[7] 설정상 우주왕복선이 아닌 폭격기로 변형한다. 컴바이너 워즈 및 트랜스포머 어스워즈에서도 우주왕복선이 아닌 제트기, 전투기 등으로 변형하는데 여기서 따온듯 하다.덕분에 컴뱃티콘이 더욱 밀리터리스러워졌다 여담으로 블래스트오프의 무기인 이오닉 블래스터는 용병생활을 하다 적 민병대로부터 강탈한 무기라는 설정이다.[8] 제작 후 이름지을때 메가트론과 사운드웨이브가 각자 다른 이름을 생각한 것을 동시에 불러서 혼동하다가 와일드라이더로 정착되었다. 참고로 브레이크넥은 트랜스포머 어스워즈 및 컴바이너 워즈 완구 라인업에서의 와일드라이더의 명칭이다.[스포일러] 통제불능의 폭주상태가 되어 전량 무력으로 폐기처분되었다.[9] 작중 유일한 오리지널 캐릭터 집단이다.[10] 디스다크는 세력이 존속중이니 사실상 잔당이 아니라 탈주자들이다.[11] 옵티머스 프라임=콘보이, 미라지=리제, 쇼크웨이브=레이저웨이브 등[12] 이 외 본작에서 사이드스와이프, 썬스트리커, 레드얼럿은 3형제라는 설정으로 통칭 람보르 3형제라 불리는데, 이 람보르는 G1사이드스와이프의 일본판 명칭이다. 작가의 팬서비스를 엿볼수 있는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