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 CONCACAF 골드컵 (r1판)

편집일시 :





2002 CONCACAF Gold Cup

2002 CONCACAF 골드컵
2002 CONCACAF Gold Cup
파일:2002골드컵.png
대회기간1월 18일 ~ 2월 2일
개최국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본선 진출팀12개팀
대회 결과
우승미국파일:USA USSF 2002.png
준우승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위캐나다파일: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4위대한민국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svg
수상
골든볼파일:CONCACAF NL USA.png 브라이언 맥브라이드
골든부트파일:CONCACAF NL USA.png 브라이언 맥브라이드
골든글러브파일:CONCACAF NL CAN.png 라스 허쉬펠드
페어플레이상파일:CONCACAF NL CRC.png 코스타리카
연표
이전 대회2000 CONCACAF 골드컵 (미국)
다음 대회2003 CONCACAF 골드컵 (미국)
1. 개요
2. 본선 진출국
3. 경기장
4. 조별리그
4.1. A조
4.1.1. 1경기: 엘살바도르 0-1 멕시코
4.1.2. 2경기: 멕시코 3-1 과테말라
4.1.3. 3경기: 과테말라 0-1 엘살바도르
4.2. B조
4.2.1. 1경기: 미국 2-1 대한민국
4.2.2. 2경기: 쿠바 0-1 미국
4.2.3. 3경기: 대한민국 0-0 쿠바
4.3. C조
4.3.1. 1경기: 마르티니크 0-2 코스타리카
4.3.2. 2경기: 코스타리카 1-1 트리니다드 토바고
4.3.3. 3경기: 트리니다드 토바고 0-1 마르티니크
4.4. D조
4.4.1. 1경기: 아이티 0-2 캐나다
4.4.2. 2경기: 에콰도르 0-2 아이티
4.4.3. 3경기: 캐나다 0-2 에콰도르
5. 토너먼트
5.1. 8강전
5.1.1. 1경기: 코스타리카 2-1 아이티
5.1.2. 2경기: 캐나다 1(6)-(5)1 마르티니크
5.1.3. 3경기: 멕시코 0(2)-(4)0 대한민국
5.1.4. 4경기: 미국 4-0 엘살바도르
5.2. 준결승전
5.2.1. 1경기: 코스타리카 3-1 대한민국
5.2.2. 2경기: 캐나다 0(2)-(4)0 미국
5.3. 3·4위전: 캐나다 2-1 대한민국
5.4. 결승전: 미국 2-0 코스타리카
6. 최종 순위
7. 이모저모




1. 개요[편집]


2002년 1월 19일부터 2월 2일까지 미국에서 개최된 6번째 CONCACAF 골드컵이다.

거스 히딩크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재직할 시기 2002 FIFA 월드컵에 출전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출전한 공식 대회다. 대한민국은 이 대회에서 1승도 거두지 못했으나 4위를 기록하는 희한한 성적을 남겼다.


2. 본선 진출국[편집]


국가지역진출자격
파일:CONCACAF NL USA.png 미국북미개최국
파일:CONCACAF NL MEX.png 멕시코북미자동 진출
파일:CONCACAF NL CAN.png 캐나다북미자동 진출
파일:CONCACAF NL GUA.png 과테말라중미2001년 UNCAF 네이션스컵 우승
파일:CONCACAF NL CRC.png 코스타리카중미2001년 UNCAF 네이션스컵 준우승
파일:CONCACAF NL SLV.png 엘살바도르중미2001년 UNCAF 네이션스컵 3위
파일:CONCACAF NL TRI.png 트리니다드 토바고카리브해2001년 카리브컵 우승
파일:CONCACAF NL HAI.png 아이티카리브해2001년 카리브컵 준우승
파일:CONCACAF NL MTQ.png 마르티니크[1]카리브해2001년 카리브컵 3위
파일:CONCACAF NL CUB.png 쿠바카리브해카리브컵 UNCAF 네이션스컵 4위 간 플레이오프 승자
파일:UEFA KOR.png 대한민국아시아초청국
파일:UEFA ECU.png 에콰도르남미

  • 2001년 카리브컵과 UNCAF 네이션스컵에서 3위 이내의 국가는 2002년 골드컵 진출 자격을 획득한다.
  • 2001년 카리브컵 4위인 쿠바는 2001년 UNCAF 네이션스컵 4위인 파나마와 본 대회 진출 자격을 놓고 치룬 플레이오프에서 1승 1무(0-0, 1-0)로 본선에 합류하였다.
  • 아시아의 대한민국과 남미의 에콰도르는 초청국 자격으로 본선에 합류하였다.


3. 경기장[편집]


2002 CONCACAF 골드컵 경기장
도시경기장수용 인원
패서디나로즈 볼93,420명
마이애미마이애미 오렌지 볼66,700명

  • 로즈 볼 경기장은 각각 1994년 월드컵과 1999년 여자 월드컵의 결승전을 개최한 바 있으며, 미국에서 8번째로 큰 미식축구 경기장이다.
  • 마이애미 오렌지 볼 경기장은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경기장으로 사용된 바 있으며, 현재는 철거되었고 그 자리에는 MLB 마이애미 말린스의 홈 구장인 말린스 파크가 들어섰다.


4. 조별리그[편집]



4.1. A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
1파일:CONCACAF NL MEX.png 멕시코22004 - 1+36
2파일:CONCACAF NL SLV.png 엘살바도르21011 - 103
3파일:CONCACAF NL GUA.png 과테말라20021 - 4-30


4.1.1. 1경기: 엘살바도르 0-1 멕시코[편집]


파일:2002골드컵.png
2002 CONCACAF 골드컵 조별리그 A조 1경기
2002. 01. 19. (토) 13:00 (UTC-8)
로즈 볼 (미국, 패서디나)
주심: 파일:UEFA ECU.png 로헤르 잠브라노
파일:엘살바도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0 : 1
파일:멕시코 축구 국대(1995~2005).png
-득점31' 하이르 가르시아
관중 수: 42,117명


4.1.2. 2경기: 멕시코 3-1 과테말라[편집]


파일:2002골드컵.png
2002 CONCACAF 골드컵 조별리그 A조 2경기
2002. 01. 21. (월) 17:00 (UTC-8)
로즈 볼 (미국, 패서디나)
주심: 파일:CONCACAF NL JAM.png 피터 프렌더개스트
파일: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 : 1
파일:Guatemala_National_Football_team_badge.png
28' 아돌포 바우티스타
38' 마르코 가르세스
90' 카를로스 오초아
득점36' 후안 카를로스 플라타
관중 수: 31,244명


4.1.3. 3경기: 과테말라 0-1 엘살바도르[편집]


파일:2002골드컵.png
2002 CONCACAF 골드컵 조별리그 A조 3경기
2002. 01. 23. (수) 19:00 (UTC-8)
로즈 볼 (미국, 패서디나)
주심: 파일:UEFA ECU.png 로헤르 잠브라노
파일:Guatemala_National_Football_team_badge.png
0 : 1
파일:엘살바도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CONCACAF NL SLV.png 엘살바도르
-득점58' 산토스 카브레라
관중 수: 12,906명


4.2. B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
1파일:CONCACAF NL USA.png 미국22003 - 1+26
2파일:UEFA KOR.png 대한민국20111 - 2-11
3파일:CONCACAF NL CUB.png 쿠바20110 - 1-11


4.2.1. 1경기: 미국 2-1 대한민국[편집]


파일:2002골드컵.png
2002 CONCACAF 골드컵 조별리그 B조 1경기
2002. 01. 19. (토) 15:00 (UTC-8)
로즈 볼 (미국, 패서디나)
주심: 파일:CONCACAF NL DOM.png 사무엘 리차드
파일:USA USSF 2002.png
2 :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CONCACAF NL USA.png 미국
36' 랜던 도노반
90' 다마커스 비즐리
득점38' 송종국
관중 수: 42,117명

4.2.2. 2경기: 쿠바 0-1 미국[편집]


파일:2002골드컵.png
2002 CONCACAF 골드컵 조별리그 B조 2경기
2002. 01. 21. (월) 15:00 (UTC-8)
로즈 볼 (미국, 패서디나)
주심: 파일:CONCACAF NL HON.png 호세 피네다
파일:쿠바 국기.svg
0 : 1
파일:USA USSF 2002.png
파일:CONCACAF NL USA.png 미국
-득점22' 브라이언 맥브라이드
관중 수: 31,244명


4.2.3. 3경기: 대한민국 0-0 쿠바[편집]


파일:2002골드컵.png
2002 CONCACAF 골드컵 조별리그 B조 3경기
2002. 01. 23. (수) 21:00 (UTC-8)
로즈 볼 (미국, 패서디나)
주심: 파일:CONCACAF NL TRI.png 노엘 바이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0 : 0
파일:쿠바 국기.svg
-득점-
관중 수: 12,906명


4.3. C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
1파일:CONCACAF NL CRC.png 코스타리카21103 - 1+24
2파일:CONCACAF NL MTQ.png 마르티니크21011 - 2-13
3파일:CONCACAF NL TRI.png 트리니다드 토바고20111 - 2-11


4.3.1. 1경기: 마르티니크 0-2 코스타리카[편집]


파일:2002골드컵.png
2002 CONCACAF 골드컵 조별리그 C조 1경기
2002. 01. 18. (금) 19:00 (UTC-5)
오렌지 볼 (미국, 마이애미)
주심: 파일:CONCACAF NL MEX.png 질베르토 알깔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rtinique_FA.png
0 : 2
파일: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CONCACAF NL MTQ.png 마르티니크
-득점38' 에르난 메드포르드
55' 롤란도 폰세카
관중 수: 14,508명


4.3.2. 2경기: 코스타리카 1-1 트리니다드 토바고[편집]


파일:2002골드컵.png
2002 CONCACAF 골드컵 조별리그 C조 2경기
2002. 01. 20. (일) 15:00 (UTC-5)
오렌지 볼 (미국, 마이애미)
주심: 파일:CONCACAF NL USA.png 브라이언 홀
파일: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 : 1
파일:TTFF old emblem.png
56' 롤란도 폰세카득점90' 스턴 존
관중 수: 12,253명

4.3.3. 3경기: 트리니다드 토바고 0-1 마르티니크[편집]


파일:2002골드컵.png
2002 CONCACAF 골드컵 조별리그 C조 3경기
2002. 01. 22. (화) 19:00 (UTC-5)
오렌지 볼 (미국, 마이애미)
주심: 파일:CONCACAF NL SLV.png 로돌포 시브리안
파일:TTFF old emblem.png
0 : 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rtinique_FA.png
파일:CONCACAF NL MTQ.png 마르티니크
-득점51' Patrick Percin
관중 수: 3,827명


4.4. D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
1파일:CONCACAF NL HAI.png 아이티21012 - 203
2파일:CONCACAF NL CAN.png 캐나다21012 - 203
3파일:UEFA ECU.png 에콰도르21012 - 203


4.4.1. 1경기: 아이티 0-2 캐나다[편집]


파일:2002골드컵.png
2002 CONCACAF 골드컵 조별리그 D조 1경기
2002. 01. 18. (금) 21:00 (UTC-5)
오렌지 볼 (미국, 마이애미)
주심: 파일:CONCACAF NL DOM.png 로베르토 모레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ederation_Haitienne_de_Football.png
0 : 2
파일: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득점28', 48' 케빈 맥케나
관중 수: 14,508명

4.4.2. 2경기: 에콰도르 0-2 아이티[편집]


파일:2002골드컵.png
2002 CONCACAF 골드컵 조별리그 D조 2경기
2002. 01. 20. (일) 17:00 (UTC-5)
오렌지 볼 (미국, 마이애미)
주심: 파일:CONCACAF NL GUA.png 카를로스 바트레스
파일:에콰도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20).svg
0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ederation_Haitienne_de_Football.png
-득점6' (OG) 에디손 멘데스
44' 샤를 알레트
관중 수: 12,253명

4.4.3. 3경기: 캐나다 0-2 에콰도르[편집]


파일:2002골드컵.png
2002 CONCACAF 골드컵 조별리그 D조 3경기
2002. 01. 22. (화) 21:00 (UTC-5)
오렌지 볼 (미국, 마이애미)
주심: 파일:CONCACAF NL USA.png 브라이언 홀
파일: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0 : 2
파일:에콰도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20).svg
-득점88', 90' 알렉스 아기나가
관중 수: 12,253명

5. 토너먼트[편집]



5.1. 8강전[편집]



5.1.1. 1경기: 코스타리카 2-1 아이티[편집]


파일:2002골드컵.png
2002 CONCACAF 골드컵 8강전 제1경기
2002. 01. 26. (토) 15:00 (UTC-5)
오렌지 볼 (미국, 마이애미)
주심: 파일:CONCACAF NL MEX.png 질베르토 알깔라
파일: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2 : 1
A.E.T.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ederation_Haitienne_de_Football.png
파일:CONCACAF NL HAI.png 아이티
2' 왈테르 센테노
97' (골든골) 로날드 고메스
득점62' 골먼 피에르
관중 수: 14,823명


5.1.2. 2경기: 캐나다 1(6)-(5)1 마르티니크[편집]


파일:2002골드컵.png
2002 CONCACAF 골드컵 8강전 제2경기
2002. 01. 26. (토) 17:30 (UTC-5)
오렌지 볼 (미국, 마이애미)
주심: 파일:CONCACAF NL GUA.png 카를로스 바트레스
파일: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1 : 1
A.E.T.
(P.S.O. 6: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rtinique_FA.png
파일:CONCACAF NL MTQ.png 마르티니크
73' 케빈 맥케나득점63' (OG) 마크 로저스
관중 수: 14,823명

승부차기
캐나다6 : 5마르티니크
선축후축
케빈 맥케나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1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로익 뤼퐁
짐 브레넌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2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프레데리크 클레멍
드웨인 데 로사리오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3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다비드-알레상드르 디카노
탐 은살리와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4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루도빅 미랑드
제이슨 데 보스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5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파브리스 뢰페른
폴 스톨테리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6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에디 외를리
제이슨 벤트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7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파스칼 리나


5.1.3. 3경기: 멕시코 0(2)-(4)0 대한민국[편집]


파일:2002골드컵.png
2002 CONCACAF 골드컵 8강전 제3경기
2002. 01. 27. (일) 12:00 (UTC-8)
로즈 볼 (미국, 패서디나)
주심: 파일:CONCACAF NL HON.png 호세 피네다
파일:멕시코 축구 국대(1995~2005).png
0 : 0
A.E.T.
(P.S.O. 2: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득점-
관중 수: 31,628명

승부차기
멕시코2 : 4대한민국
선축 후축
호세 안토니오 노리에가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1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이을용
프란시스코 가브리엘 데안다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2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이동국
알폰소 소사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3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최성용
이그나시오 이에로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4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이영표

경기 영상

5.1.4. 4경기: 미국 4-0 엘살바도르[편집]


파일:2002골드컵.png
2002 CONCACAF 골드컵 8강전 제4경기
2002. 01. 27. (일) 14:30 (UTC-8)
로즈 볼 (미국, 패서디나)
주심: 파일:CONCACAF NL DOM.png 사무엘 리차드
파일:USA USSF 2002.png
4 : 0
파일:엘살바도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CONCACAF NL USA.png 미국
9', 11', 21' 브라이언 맥브라이드
72' 안테 라조브
득점-
관중 수: 31,628명


5.2. 준결승전[편집]



5.2.1. 1경기: 코스타리카 3-1 대한민국[편집]


파일:2002골드컵.png
2002 CONCACAF 골드컵 준결승전 제1경기
2002. 01. 30. (수) 18:00 (UTC-8)
로즈 볼 (미국, 패서디나)
주심: 파일:CONCACAF NL SLV.png 로돌포 시브리안
파일: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 :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4' 로날드 고메스
77', 82' 파울로 완초페
득점81' 최진철
관중 수: 7,241명

5.2.2. 2경기: 캐나다 0(2)-(4)0 미국[편집]


파일:2002골드컵.png
2002 CONCACAF 골드컵 준결승전 제2경기
2002. 01. 30. (수) 20:30 (UTC-8)
로즈 볼 (미국, 패서디나)
주심: 파일:CONCACAF NL JAM.png 피터 프렌더개스트
파일: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0 : 0
A.E.T.
(P.S.O. 2:4)
파일:USA USSF 2002.png
파일:CONCACAF NL USA.png 미국
-득점-
관중 수: 7,241명

승부차기
캐나다2 : 4미국
선축 후축
케빈 맥케나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1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랜던 도노반
폴 스톨테리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2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브라이언 맥브라이드
드웨인 데 로사리오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3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제프 아구스
탐 은살리와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4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클린트 매시스


5.3. 3·4위전: 캐나다 2-1 대한민국[편집]


파일:2002골드컵.png
2002 CONCACAF 골드컵 3·4위전
2002. 02. 02. (토) 10:00 (UTC-8)
로즈 볼 (미국, 패서디나)
주심: 파일:CONCACAF NL TRI.png 노엘 바이노
파일: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2 :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4' (OG) 김도훈
35' 드웨인 데 로사리오
득점15' 김도훈
관중 수: 14,432명


5.4. 결승전: 미국 2-0 코스타리카[편집]


파일:2002골드컵.png
2002 CONCACAF 골드컵 결승전
2002. 02. 02. (토) 12:00 (UTC-8)
로즈 볼 (미국, 패서디나)
주심: 파일:CONCACAF NL GUA.png 카를로스 바트레스
파일:USA USSF 2002.png
2 : 0
파일: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CONCACAF NL USA.png 미국
37' 조시 울프
63' 제프 아구스
득점-
관중 수: 14,432명

2002 CONCACAF 골드컵 우승
파일:USA USSF 2002.png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파일:CONCACAF NL USA.png {{{#024 미국}}}]] : 2번째 우승


6. 최종 순위[편집]


파일:2002골드컵.png
최종 순위
순위국가경기득실승점비고
1파일:CONCACAF NL USA.png미국541091+813우승
2파일:CONCACAF NL CRC.png코스타리카531185+310준우승
3파일:CONCACAF NL CAN.png캐나다522154+183위
4파일:UEFA KOR.png대한민국502337-424위
5파일:CONCACAF NL MEX.png멕시코321041+378강
6파일:CONCACAF NL MTQ.png마르티니크311123-14
7파일:CONCACAF NL HAI.png아이티310234-13
8파일:CONCACAF NL SLV.png엘살바도르310215-43
9파일:UEFA ECU.png에콰도르21012203조별리그
10파일:CONCACAF NL TRI.png트리니다드201112-11
11파일:CONCACAF NL CUB.png쿠바201101-11
12파일:CONCACAF NL GUA.png과테말라200214-30


7. 이모저모[편집]


  • 대한민국의 경우 승점 2점 2무 3패 무승으로 4위까지 올랐으며, 8강에서 탈락한 4개국과 심지어 대회 9위로 8강 진출 실패한 에콰도르보다도 승점이 낮다. 이는 3개국으로 편성된 12강 조별리그에서 2위까지 토너먼트 진출 자격을 주는 대회의 특성 상 가능했다. 토너먼트에 올라서는 무재배 이후 멕시코를 승부차기로 승리 탈락시켜 4강에 오를 수 있었다.
  • 3·4위전에서 김도훈은 득점과 자책골을 모두 기록하는 진기록을 남겼다. 그 결과 팀은 패배로 최종 4위를 기록하였다.
  • 코스타리카가 사상 최초로 결승에 올라 준우승이라는 최고 성적을 남겼다. 파울로 완초페, 에르난 메드포드, 롤란도 폰세카 등이 맹활약하며 강력한 모습을 보였고, 특히 준결승전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선 대한민국을 압도하는 경기력으로 국내 축구팬들에게 놀라움과 두려움을 안겨주었다.

[1] 프랑스의 해외 영토이기 때문에 마르티니크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비회원국이지만,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의 회원국 자격을 가지고 있어 골드컵에는 진출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