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 CONCACAF 골드컵

덤프버전 :





2005 CONCACAF 골드컵
2005 CONCACAF Gold Cup
파일:2005_CONCACAF_Gold_Cup_logo.svg
대회기간7월 6일 ~ 7월 24일
개최국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참가팀12개팀
대회 결과
우승미국파일:미국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준우승파나마파일:Panamanian Football Federation.png
수상
골든볼파일:CONCACAF NL PAN.png 루이스 테하다
골든부트파일:CONCACAF NL USA.png 다마커스 비즐리
골든글러브파일:CONCACAF NL PAN.png 하이메 피네도
페어플레이상파일:CONCACAF NL HON.png 온두라스
연표
이전 대회2003 CONCACAF 골드컵 (미국)
다음 대회2007 CONCACAF 골드컵 (미국)
1. 개요
2. 경기장
3. 진행 방식
4. 본선 진출국
5. 조별리그
5.1. A조
5.2. B조
5.3. C조
6. 결선 토너먼트
6.1. 조 3위간 순위 결정
6.2. 토너먼트 대진표
6.3. 8강전
6.3.1. 온두라스 3:2 코스타리카
6.3.2. 미국 3:1 자메이카
6.3.3. 멕시코 1:2 콜롬비아
6.3.4. 남아프리카공화국 1:1 (aet.) 3 pso 5 파나마
6.4. 준결승
6.4.1. 온두라스 1:2 미국
6.4.2. 콜롬비아 2:3 파나마
6.5. 결승전
6.5.1. 미국 0:0 (aet.) 3 pso 1 파나마
7. 개인 수상
8. 결과



1. 개요[편집]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주관의 8번째 골드컵. 미국에서 열리는 대회이며 2005년 7월 6일부터 7월 24일까지 7개 도시에서 열린다.

2021 CONCACAF 골드컵 이전까지 마지막으로 초청팀이 참가했던 대회다.


2. 경기장[편집]


국가도시경기장 이름수용인원
미국마이애미오렌지 볼18,000
시애틀퀘스트 필드67,000
폭스버러질레트 스타디움68,756
카슨홈디포 센터27,000
로스앤젤레스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93,607
휴스턴릴라이언트 스타디움71,500
이스트 러더퍼드자이언츠 스타디움80,242


3. 진행 방식[편집]


미국, 캐나다, 멕시코는 예선을 따로 치르지 않고 본선에 진출하며 카리브 지역의 컵대회인 카리브컵 1~3위, UNCAF 네이션스컵 1~4위가 초청팀 2팀과 함께 본선에 진출한다.

이번 대회부터 진행방식이 바뀌었다. 당초 3개 팀씩 4개 조로 나뉘어 조별리그를 치르던 방식에서, 4개 팀씩 3개 조로 조별리그를 치르는 방식으로 변화했다. 따라서 각 조 3위 중 상위 2개팀도 8강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제도가 도입되었다. 이후 8강부터는 기존 방식과 동일한 단판 토너먼트가 적용된다.


4. 본선 진출국[편집]


국가명진출 자격진출횟수최근 출전최고성적FIFA 랭킹[1]
파일:CNL United States.png미국자동진출8회2003우승
(2회[2])
6위
파일:CNL Mexico.png멕시코자동진출8회2003우승
(4회[3])
10위
파일:CNL Canada.png캐나다자동진출7회2003우승
(1회[4])
85위
파일:CNL Jamaica.png자메이카2005년 캐리비안 컵 우승6회20033위
(1회[5])
41위
파일:CNL Cuba.png쿠바2005 캐리비안 컵 준우승4회20038강
(1회[6])
70위
파일:CNL Trinidad and Tobago.png트리니다드토바고2005 캐리비안 컵 3위6회20023위
(1회[7])
58위
파일:CNL Costa Rica.png코스타리카2005 UNCAF 네이션스컵 우승7회2003준우승
(1회[8])
24위
파일:CNL Honduras.png온두라스2005 UNCAF 네이션스컵 준우승8회2003준우승
(1회[9])
50위
파일:CNL Nicaragua.png과테말라2005 UNCAF 네이션스컵 3위7회20034위
(1회[10])
59위
파일:CNL Panama.png파나마2005 UNCAF 네이션스컵 4위2회1993조별리그98위
파일:UEFA RSA.png남아프리카공화국초청팀1회첫 출전-39위
파일:CA2021 Colombia.png콜롬비아초청팀3회2000준우승
(1회)[11]
25위


5. 조별리그[편집]




5.1. A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온두라스321042+27
2파일:파나마 국기.svg파나마31113304
3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31023303
4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트리니다드토바고302135-22



5.2. B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미국 국기.svg미국321061+57
2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코스타리카321041+37
3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310224-23
4파일:쿠바 국기.svg쿠바300339-60

경기 결과
경기스코어
1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0 : 1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2파일:쿠바 국기.svg 쿠바1 : 4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3 : 1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4파일:미국 국기.svg 미국2 : 0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5파일:미국 국기.svg 미국0 : 0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6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2 : 1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5.3. C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320162+46
2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남아프리카공화국312065+15
3파일:자메이카 국기.svg자메이카31117704
4파일:과테말라 국기.svg과테말라301249-51



6. 결선 토너먼트[편집]



6.1. 조 3위간 순위 결정[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C파일:자메이카 국기.svg자메이카31117704
2A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31023303
3B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310224-23


6.2. 토너먼트 대진표[편집]


8강전준결승전결승전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온두라스 3 : 2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온두라스 1 : 2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0 (3) : 0 (1) (aet.)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 : 1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1 : 2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2 : 3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공화국 1 (3) : 1 (5) (aet.)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6.3. 8강전[편집]



6.3.1. 온두라스 3:2 코스타리카[편집]




6.3.2. 미국 3:1 자메이카[편집]




6.3.3. 멕시코 1:2 콜롬비아[편집]




6.3.4. 남아프리카공화국 1:1 (aet.) 3 pso 5 파나마[편집]




6.4. 준결승[편집]



6.4.1. 온두라스 1:2 미국[편집]




6.4.2. 콜롬비아 2:3 파나마[편집]




6.5. 결승전[편집]



6.5.1. 미국 0:0 (aet.) 3 pso 1 파나마[편집]


파일:2005_CONCACAF_Gold_Cup_logo.svg
2005 CONCACAF 골드컵 결승전
2005. 07. 24. (일) 15:00 (UTC-4)
자이언츠 스타디움 (미국, 이스트러더퍼드)
주심: 파일:UEFA GUA.png 카를로스 바르테스
파일:미국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파일:GOLD CUP TROPHY.jpg파일:Panamanian Football Federation.png
00
파일:CNL United States.png 미국파일:CNL Panama.png 파나마
-파일:득점 아이콘.svg-
관중 수: 31,018명

승부차기
미국3 : 1파나마
선축후축
샌티노 콰란타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1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루이스 테하다
크리스토퍼 아르마스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2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호르헤 델리 발데스
랜던 도노번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3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펠리페 발로이
브래드 데이비스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4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알베르토 블랑코
-파일:X표GY.png5파일:X표GY.png-

2005 CONCACAF 골드컵 우승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번째 우승

7. 개인 수상[편집]


  • 득점왕 : 파일:미국 국기.svg 다마커스 비즐리 (3골)[12]
  • MVP : 파일:파나마 국기.svg 루이스 테하다
  • 베스트 골키퍼 : 파일:파나마 국기.svg 하이메 피네도
  • 페어플레이상 :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온두라스
  • 대회 베스트 11

8. 결과[편집]


순위국가경기득실승점비고
1파일:미국 국기.svg 미국6420113+814우승
2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623176+19준우승
3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온두라스531186+2103위
4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520377064위
5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421164+278강
6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420274+368강
7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공화국413076+168강
8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411225-348강
9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310224-231라운드
10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토바고302135-221라운드
11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301249-511라운드
12파일:쿠바 국기.svg 쿠바300339-601라운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1:56:10에 나무위키 2005 CONCACAF 골드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09년 7월 랭킹 기준[2] 1991, 2002[3] 1993, 1996, 1998, 2003[4] 2000[5] 1993[6] 2003[7] 2000[8] 2002[9] 1991[10] 1996[11] 2000[12] 3골을 기록한 5명의 선수가 더 있으나 출전시간이 가장 적은 다마커스 비즐리가 득점왕 타이틀을 얻었다.